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eaningfulness of work, Big 5 character-types and Job Stress

직무 의미감, Big 5 성격유형, 직무스트레스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Received : 2017.10.27
  • Accepted : 2017.12.04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atory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eaningfulness of work, personality(Big 5 character-types) and job stress. To conduct such examination, the author (i) designated meaningfulness of work, personality(Big 5 character-types) and job stress as variables and (ii) designed a research model by conducting preceding studies on the variables. To examine the research model the author collected the survey data from the residents in Kyoungsangbuk-do, 332 copies of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Especially, (1) the meaningfulness of 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extraversion. (2) the meaningfulness of work had a negative effect on neuroticism. (3) the meaningfulness of work had no effect on openness to experience. (4) the neuroticism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job stress and physical job stress. (5) the openness to exper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job stress and physical job stress. (6) the meaningfulness of work had no effect on psychological job stress and physical job stre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whic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discover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fulness of work and Big 5 character-types. Second, Big 5 character-types(neuroticism, openness to experience) had statistically effect on psychological job stress and physical job stress. This study have limitation in that was conducted based on cross-sectional design of research. Because, the mechanism of job stress is a dynamic process.

본 연구는 경북 북부지역 거주 직장인 332명을 대상으로 직무 의미감, Big 5 성격유형, 직무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 의미감은 Big 5 성격유형의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 요인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가 의미감이 커질수록 개인이 지닌 성격특성 중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 등이 강화된다고 풀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직무 의미감은 신경증 요인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직무 의미감이 커지면 직무수행으로 인한 긴장, 화냄, 낙담 등이 줄어들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직무 의미감은 성격특성 중 개방성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Big 5 성격유형 중 신경증 요인은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적 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신경증 성향이 강한 사람일수록 스트레스에 취약하다고 풀이할 수 있다. 다섯째, Big 5 성격유형 중 개방성 요인은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적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개방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동일한 자극에도 개방성향이 낮은 사람에 비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옥(2014),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과 조직행동과의 관계: 조절변수의 완화효과 제약회사 영업사원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대수.윤정현(2017), "직무스트레스, 위험한 직무환경, 그리고 직무복잡성이 반생산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음주행위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경영교육연구, 32(1), 47-78.
  3. 김성천.탁진국(2010), "역할과부하 및 일-가정 갈등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1), 35-49.
  4. 김영숙(2004), 간병인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해소방안,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신(2015), 교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인천 지역 교정시설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인구.허창구(2007), "심리적 수용이 직무탈진에 미치는 효과: 심리적 수용의 직접효과 및 성격 5요인과의 상호작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3), 547-572.
  7. 김일회(2007), 직무스트레스와 A형 행동유형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재경(2006), 조직구성원의 성격유형과 조직 효과성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류수민.유태용(2015), "역할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와 회복 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8(4), 723-747.
  10. 민병모(2001), 성격 5 요인모형에서 개인-조직 일치도와 수행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웅열(2010),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진현(2014), 개인특성이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동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반태현.송신근(2014), "세법복잡성과 조세회피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29(2), 509-530.
  14. 백성욱(2010),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3.3 전략, SERI 경영노트 제70호.
  15. 백유성(2014), 조직행동론, 빅북.
  16. 백유성(2014),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Big 5 성격유형의 조절효과," 경영과 정보연구, 33(2), 155-170.
  17. 백유성(2016),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질서경제저널," 19(3), 117-133.
  18. 손영미.박정열(2014), "여성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유형화: 전일제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75-102.
  19. 신아름(2012), 직무요구, 통제 및 일 가치감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안병훈(2008), 공무원의 여가활동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삶의 질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나영(2014), 회복탄력성의 선행요인과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과 실책관리 문화의 조절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인석(2003), "Big 5 모델의 성격요인 및 윤리적 가치관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 경영학연구, 32(6), 1593-1621.
  23. 이원석(2011), 호텔 베이커리 종사자의 성격유형(Big 5)이 기업의 주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종윤(2012),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무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임지은(2014),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지각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검정," 서비스경영학회지, 15(5), 51-79.
  26. 임현주(2014),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대인관계 성향이 역할관련 직무스트레스와 고객지향성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조나(2010),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특성에 따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국농업은행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조상리, 강명주(2014), "판매원의 성격과 감사 성향이 심리적 안녕감과 친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과 정보연구, 33(4), 119-135.
  29. 진종순(2015), "일과 가정의 갈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9(4), 217-239.
  30. 최수형(2016), "조직구성원의 공감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경영과 정보연구, 35(4), 229-250.
  31. 한정화.홍길표.김영수(1999), "기업구성원의 가치특성과 자원봉사활동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28(4), 1099-1132.
  32. 황연경(2015), 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황종귀.배성희(201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2), 227-239.
  34. Kahn, R. L. and Byosiere, P.(1992), Stress in Organizations, In Dunnette, M. D. & Hough,L. M.(Eds.), Handbook of Industrial & Organizational Psychology 2nd Ed., 3, 571-650.
  35. Robbins, S. P. and Judge, T. A.(2011), Organizational Behavior(14th Ed.), Pearson International Edition.
  36. Caplan, R. and Jones, K(1975), "Effects of Workload, Role Ambiguity, and Type a Personality on Anxiety, Depression and Heart Rat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0(1), 73-719.
  37. Cooper, C. and Marshall, J.(1976), "Occupational Source of Stress: A Review of Literature Relating to Cornary Heart Disease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49, 11-2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76.tb00325.x
  38. Crawford, E. R., LePine, J. A., and Rich, B. L.(2010), "Linking Job Demands and Resources to Employee Engagement and Burnout: A Theoretical Extension and Meta-Analytic Tes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5, 834-848. https://doi.org/10.1037/a0019364
  39. Dex, S. and Bond, S.(2005), "Measuring Work-Life Balance and Its Covariates," Work, Employment & Society, 19, 627-637. https://doi.org/10.1177/0950017005055676
  40. Fornell, C. and Larcker, D. F.(1981), "Evaluation Structural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41. Hackman, J. R. and Oldham, G. R.(1976),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6(2), 250-279. https://doi.org/10.1016/0030-5073(76)90016-7
  42. Herzberg, F.(1968), "One More Time: How Do You Motivate Employees?," Harvard Business Review, 46(1), 53-62.
  43. May, D. R., Gilson, R. L. and Harter, L. M.(2004), "The Psychological Conditions of Meaningfulness, Safety and Availability and the Engagement of the Human Spirit at Work,"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7(1) 11-37. https://doi.org/10.1348/096317904322915892
  44. Nunnally, J. C. and Bernstein, I. H.(1994),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45. Spreitzer, G. M., Kizilos, M, A. and Nason, S. W.(1997), "Dimensional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Effectiveness Satisfaction and Strain," Journal of Management, 23(5), 679-704. https://doi.org/10.1177/014920639702300504

Cited by

  1. SW산업 종사자들의 개인적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보상과 외재적 보상 조절효과 - vol.14, pp.2, 2017, https://doi.org/10.17662/ksdim.2018.14.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