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on 'Seasonal Change'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계절 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11.24
  • Accepted : 2017.12.28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on 'seasonal chang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49 students from 6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P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nd 24 students in one clas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25 students in the other class were selected as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science writing heuristic in 10 times classes related to the 'seasonal change' and the general classes related to the 'seasonal change' were conducted in the comparativ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about 'seasonal chang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for science class. This i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ents being more familiar with their science class through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Second,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about 'seasonal change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This is because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offer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 opportunity to combine their experiences in daily life with the contents of the class. Third, students'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applied in this study were high. Therefore, it seems to be effective i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is used for science cla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계절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P광역시 소재 Y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집단으로 선정된 1개 학급 24명을 대상으로 '계절변화' 단원에 대한 10차시 수업을 탐구적 과학글쓰기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절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학생들이 탐구한 내용을 글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신감과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자신이 탐구한 내용을 글로 표현하고 동료들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호기심과 협동성 그리고 끈기가 생겨 이것이 과학적 태도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에 참가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 조사 결과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연경(2012).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화석에 대한 개념 형성 및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지나, 이형철(2016). 질문중심 하브루타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309-322.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3.309
  3. 고경만(2000). 계절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보영, 김민경(2003). 초등수학에서 쓰기 활동이 수학적 개념 이해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4(1), 55-72.
  5. 김성주(2002). 지구의 운동과 계절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변화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영은(2011).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개념 형성과 과학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은혜(2017). 초등과학 수업에서 과학교과 핵심역량 요소를 기반으로 한 과학글쓰기 활동의 적용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형자, 변정호, 권용주(2012).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생물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36(2), 198-215.
  9.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10. 남경운, 이봉우, 이성목(2004). 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11.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글쓰기의 중학교 과학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22-936.
  12. 박민정(2008).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인문학연구학회지, 35(3), 229-253.
  13. 손정우(2006).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글쓰기 교수법.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33-355.
  14. 손진순, 정진수, 백성혜, 천재순(2012). 초등학생의 과학 글쓰기 수행 안내를 위한 편지글 유형의 루브릭 개발 및 적용.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1), 25-39.
  15. 송영욱, 김범기(2010). 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375-388.
  16. 신우미(2011).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생활과학 글쓰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오정임(2004). ARCS 모델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5학년 전기회로 꾸미기 단원을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오현숙(2011). 과학글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상균(2017). 과학과 Eco-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과 STEAM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62-75.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1.62
  20. 이수영(2010). 초등학교 거울과 렌즈 단원의 탐구적 글쓰기 수업이 개념 형성과 지속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용섭, 김순식(2016). 초등 예비교사의 협력 과학수업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지식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341-351.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3.341
  22. 장현정(2010).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탐구능력과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정홍식(2005). 초인지 학습전략이 초등학생의 계절변화 개념형성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채동현(1999). 계절변화의 원인에 관한 학생들의 유년적 사고. 한국지구과학회지, 13(3), 283-289.
  25. 채동현, 변원섭, 손연아(2003).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과학교육, 22(1), 109-120.
  26. 천재훈(2006).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글쓰기 활동. 경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천재훈, 손정우(2004). 과학 글쓰기에 나타난 창의적 사고 기능의 유형 분석-중학교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7(2), 285-304.
  28. 하옥선(1999). 태양 고도와 계절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한제준(2013). 계절 변화 수업의 논증과정 및 논증적 담화 전략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David M. V. (2008). Why all writing is creative writing.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45(3), 289-294. https://doi.org/10.1080/14703290802176204
  31. keller, J. M., Subhiyah, R. G.(1987). Course interest survey. Florida State University.
  32. Kelly, G. J. & Takao, A. (2002). Epistemic levels in argument: An analysis of university oceanography student's use of evidence in writing. Science Education. 86(3), 314-342. https://doi.org/10.1002/sce.10024
  33. Keys, C. W. (1999).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tific genr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2), 115-130.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15::AID-SCE2>3.0.CO;2-Q
  34. Prain, V. (2006). Lear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 179-201.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6643
  35. Wellington, J., & Osborn,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Buckingham: Poe University Press.
  36. Yore, L. D., Hand, B. M., & Florence, M. K. (2004). Scientists' views of science, models of writing, and science writing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38-369. https://doi.org/10.1002/tea.20008
  37. Zemelman, S., Daniels, H., & Hyde, A. (1998). Best practice New standards for teaching America's schools(2nd ed.). Portsmouth, NH: Heine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