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산업단지 유형 개발 연구: 네트워크형 산업단지

Study on the New Type of Industrial Complex in Response to Changes in Industrial Environment: Network-type Industrial Complex

  • 투고 : 2017.12.21
  • 발행 : 2017.12.31

초록

기존의 산업단지 개발은 대규모 단일 공간 집적형태로 신규 부지를 활용하여 개발하는 방식이나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스마트한 기술적용과 융복합화를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입지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산업단지 공급유형으로 단일공간에 대규모로 집적하는 형태가 아닌 다수의 공간에 분산 배치하여 연계하는 방식으로서 '네트워크형 산업단지'를 제시하였다. 새로운 입지모델 개발을 위해 기업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약 89%의 기업이 네트워크형 산업단지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동 산단의 활성화를 위한 조건으로서 '상호 보완기능형성', '결절지간 교통편리성'을 선택하였다. 네트워크형 산업단지는 도시공간과의 개방 연계 지향 및 기반인프라 공유 등을 통해 저비용 고효율화 산단으로 기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location model to support the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y and confluenc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this study, we propose 'network-type industrial complex' as a method to link several industrial integrated spaces which are dispersed in an area.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of companies in order to develop a new location model, about 89% of companie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network-type industrial complex. As a condition for activa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complementary function formation', and 'convenience of nodular transportation' were select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upply low-cost, high-efficiency industrial complexes through opening and linking with urban space and infrastructure shar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호제.이미영.민성희.장은교.박경현, 2016, 사회.경제 여건변화에 대응한 미래지향적 산업입지 전략 연구, 기본 16-13, 국토연구원.
  2. 국토교통부, 2013,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3. 국토교통부, 2015, 산업단지 개발.공급 제도개선 방안 연구.
  4. 국토연구원, 2017, 우리나라 산업단지 진단 및 중장기 산업구조 변화 예측, 도시건축연구사업 국책 R&D연구 1차년도 보고서(1-1세부).
  5. 김영수.박재곤.정은미, 2012, 산업융합시대의 지역산업 생태계 육성방안, 연구보고서 2012-625, 산업연구원.
  6. 김왕동, 2007, "지리적 혁신클러스터의 한계와 보완방안: 가상혁신클러스터 관점에서," 기술혁신학회지 10(2), pp.808-841.
  7. 김정욱.김석영.양승민, 2012, "산업클러스터 효과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국가식품클러스터조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1), pp.42-62.
  8. 김홍석, 2015, "산업단지내 입주대상 유망서비스업종 확대 방안," 2015 지리학대회 특별세션 발표자료.
  9. 남기범, 2016, "선택과 집중의 종언: 포스트클러스터 지역 산업정책의 논거와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64-78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764
  10. 박경숙.이철우, 2010, "클러스터의 가치사슬 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구문화콘텐츠산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4), pp.601-622.
  11. 배천문, 2010, 택지개발사업지구의 도시지원시설 용지내 아파트형 공장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서동혁.최윤희.김경유.김상훈.황원식.최남희, 2015, 산업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미래 제조업의 발전전략, 연구보고서 2015-740, 산업연구원.
  13. 서연미.류승한.장철순.강호제.박정호, 2012,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도시형 산업입지 공급방안 연구, 국토연 2012-52, 국토연구원.
  14. 손용택, 2007, "한국 경제지리학의 연구동향과 과제," 정신문화연구 30(3), pp. 5-34.
  15. 손정렬, 2011, "새로운 도시성장 모형으로서의 네트워크 도시: 형성과정, 공간구조 관리 및 성장전망에 대한 연구 동향," 대한지리학회지 46(2), pp.181-196.
  16. 송영일.최민아.김홍주.임주호, 2014, 네트워크도시체계 구축을 통한 중소규모 도시개발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지원2014-46, LH 토지주택연구원.
  17. 알트플러스, 2017, 산업단지 개발사업 실무가이드, ALT RE.01(ver. 26), ALT PLUS E&C.
  18. 이삼수.이현주.김태균.김선우, 2013, "산업단지 정책 및 입지변화 특성 고찰,"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4), pp.87-110.
  19. 이종호.이철우, 2016, "스마트 전문화 전략 및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와 클러스터 정책의 연계를 통한 대안적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99-81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799
  20. 이종호.장후은, 2017, "영국의 대학기반 산학협력단지 관련 개념과 동향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214-227. https://doi.org/10.23841/egsk.2017.20.2.214
  21. 이현주, 2015, "산업단지 개발활성화를 위한 복합용도개발 제고 활용방안," 산업입지 57, pp.27-37.
  22. 이현주.김태균.송영일.김선우, 2014, 도시첨단산업단지개발 활성화방안 연구, 연구지원 2014-69, LH 토지주택연구원.
  23. 이현주.김태균.이삼수.김선우, 2013, 산업단지내 기반시설 이용실태분석 및 효율적인 공급방안 연구, 연구지원 2013-44, LH 토지주택연구원.
  24. 이현주.윤정란.장혜선, 2012, 장기 임대산업용지를 활용한 아파트형 공장 공급방안 연구, 연구지원 2012-12, LH 토지주택연구원.
  25. 이현주.윤정중.송영일.김선우, 2012, 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한 복합용도개발방안 연구, 연구지원 2012-61, LH 토지주택연구원.
  26. 장인석.윤정란.윤은혜, 2015, 산업입지 원단위 산정연구, 연구지원 2015-12, LH 토지주택연구원.
  27. 정종필, 2017,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화 방안," 산업입지 66, pp.21-27.
  28. 정준호, 2016, "EU의 스마트 전문화 및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한국 지역산업 정책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82-798.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782
  29. 채민수.이종호, 2017,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사업으로써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 창원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228-244. https://doi.org/10.23841/egsk.2017.20.2.228
  30. 최병두, 2015, "네트워크도시 이론과 영남권 지역의 발전 전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1), pp.1-20.
  31. 최병두.엄진찬.채은혜, 2014, "영남권 도시들의 특화산업과 산업연계: 네트워크도시이론에 바탕을 둔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718-742.
  32. 토지주택연구원 편저, 2010, 녹색의 나라 보금자리의 꿈, LH.
  33. 한국토지주택공사, 2017, 산업입지정책 발전방향 및 LH참여전략 연구.
  34. 홍진기, 2017, "제 4차 산업혁명과 노후 산업단지의 혁신역량 강화," 산업입지 66, pp.12-20.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ex System Evaluating the Location Suitability for the Future-Oriented New Industrial Complex vol.54, pp.7, 2017, https://doi.org/10.17208/jkpa.2019.12.54.7.58
  2. 미니 산업단지의 입지적합성 평가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vol.23, pp.3, 2020, https://doi.org/10.23841/egsk.2020.23.3.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