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bout both historical progress and current situation of user instruction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Emphasis was on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special features and limitations of user instruction from the viewpoints of library users as well as those of librarians. To the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methods: the first tool was such major statistical sources as 'KERIS university library statistics system' and 'Research Reports' by the Korean Private University Library Association. The second was from the results of surveys and interviews with librarians from 20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third was from the results of surveys with library users in two sample university libraries.
이 논문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계 이용자교육의 변화 추이와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면서, 현재의 이용자교육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이용자교육의 변화 추이는 시기별로 나누어 각 시기의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였고, 현재의 이용자교육에 관해서는 교육의 외형적 양상과 내용적 실태를 밝혀내는데 비중을 두었다. 논의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기존의 통계자료와 선행연구의 조사결과 그리고 주요 대학도서관들을 대상으로 한 자체적인 사례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통계자료는 KERIS의 학술정보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대학도서관 통계와 한국사립대학도서관협의회가 생산한 '이용자교육 조사보고서'의 통계를 활용하였다. 사례 조사는 두 번에 걸쳐 실시하였는데, 첫 번째는 이용자교육이 '활발한' 20개 대학도서관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였으며, 두 번째는 거점 국립대학인 P대학의 학부생과 소규모 특성화대학인 U대학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