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후기 왕릉 정자각의 풍판부 용어와 구조의 변화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Terms and the Structure of the Pungpanbu in the T-shaped Wooden Shrines in Royal Tombs in the Later Joseon Period

  • 투고 : 2016.12.15
  • 심사 : 2017.01.17
  • 발행 : 2017.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hange of the terms and the structure of the Pungpanbu in the T-shaped wooden shrines in the later Joseon period through the Salleung-dogamuigwes.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First, the terms in the Salleung-dogamuigwes were similar to Yeonggeon-dogamuigwes but timing difference was verified. The word about the frame of Pungpanbu was different from the current. Second, in accordance with the extended of Pungpanbu, the members of frame of Pungpanbu had been increased and it had been changed to the lattice. The members of Pungpanbu used as plan dimensions and the size of the members had been gradually increased. Third, the Pungpanbu had been extended to protect the side of T-shaped wooden shrines. At the same time, the range of Chukjungbang had been extended. This was the result of the efforts of the era to reduce the range of plaster. This affected the overall elevation change of T-shaped wooden shrin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 2009
  2.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I, 2011
  3.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II, 2012
  4.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V, 2013
  5.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 2013
  6.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I, 2014
  7.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II, 2014
  8.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III, 2015
  9.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X, 2015
  10. 문화재청, 光陵및 徽慶園補修工事修理報告書, 2007
  11. 문화재청, 구리 동구릉 목릉 정자각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3
  12. 문화재청, 구리 동구릉 숭릉 정자각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3
  13. 문화재청, 勤政殿補修工事및 實測調査報告書(上), 2003
  14. 문화재청, 東九陵健元陵丁字閣및 碑閣修理報告書, 2006
  15. 문화재청, 東九陵綏陵丁字閣修理報告書, 2004
  16. 문화재청, 宣.靖陵宣陵丁字閣修理報告書, 2007
  17. 문화재청, 英陵丁字閣지붕補修工事修理報告書, 2007
  18. 문화재청, 인릉(仁陵) 정자각 및 비각 수리보고서, 2009
  19. 문화재청, 화성 건릉 정자각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2013
  20. 문화재청, 화성융릉 정자각 및 비각수리보고서, 2008
  21. 문화재청, 휘릉 정자각 및 비각 수리보고서, 2009
  22. (사)한국건축역사학회, 영조규범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6
  23. 신웅주, 맞배지붕 건물의 풍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7권, 3호, 2011
  24. 신지혜, 조선 숙종대 왕실 喪葬禮設行공간의 건축특성-빈전.산릉.혼전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5.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의궤에 기록된 조선시대 건축, 동녘, 2010
  26. 오창명.손희하.천득염, 서궐영건도감의궤의 목재류 어휘 분석 연구, 건축역사연구, 16권, 1호, 2007
  27. 이권영.김왕직, 초창 정조 건릉 건축물의 복원적 고찰,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1권, 4호, 2009
  28. 이상명, 산릉의궤 정자각을 통해 본 조선후기 관영건축의 시공기술,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9. 장기인, 건축용어제정의 발자취, 건축, 33권, 5호, 1989
  30. 장기인, 韓國建築大系IV: 新編韓國建築辭典, 보성각, 2010
  31. 장기인, 韓國建築大系V: 木造, 보성각, 2001
  32. 주남철, 韓國現存最古의 木造建築鳳停寺極樂殿本形에 관한 연구 -鳳停寺極樂殿修理工事報告書, 鳳停寺極樂殿修理.實測報告書및 鳳停寺大雄殿解體修理工事報告書分析을 기반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8권, 9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