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C 교과서의 과제에 대한 인지적 요구 수준 탐색 -'자료 분석과 확률' 영역을 중심으로-

An Exploration of Cognitive Demand Level in MiC Textbook based on the Tasks of 'Data Analysis and Probability'

  • 투고 : 2016.12.12
  • 심사 : 2017.01.24
  • 발행 : 2017.02.15

초록

수학 수업에서 교사가 학생들이 제시할 적절한 과제를 선정하는 것은 중요하며 다양한 유형의 수학적 과제를 수반하는 수학 교과서의 효율적인 활용 또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NCTM, 2000). 이러한 맥락에서 수학적 과제와 관련하여 이를 수반하는 수학 교과서의 탐색 및 분석은 의미 있는 일이며, 이때 수학적 과제들을 중심으로 구현된 MiC 교과서의 탐색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MiC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수학적 과제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유형의 수학적 과제들을 통해 겪게 되는 인지적 요구 수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에 출판된 MiC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되, MiC 교과서의 모든 내용을 다루기에는 방대하므로 학교 안팎의 실생활 소재나 문제 상황이 보다 풍부한 '자료 분석과 확률' 영역을 선정하여 중학교급에 한정하여 다루기로 하였다. 한 마디로, 본 연구에서는 Stein 외(2009)가 제안한 과제 유형별 특징, 즉 '인지적 요구 수준(cognitive demand level)'을 기반으로 과제 유형 분석틀을 재구성하여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MiC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총 22개의 수학적 과제들의 수준(유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목적에 따라 도출된 양질의 결과를 토대로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제언을 덧붙이고자 한다.

Mathematical tasks in general introduce and deal with real-life situations, and they derive to students' thinking fluently in solving the given tasks. The tasks might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and significant factor to lead a successful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MiC Textbook is a representative one showing such good examples and tasks. This study explores concretely and in detail the cognitive demand level of mathematical tasks, by the subject of MiC Textbook. To accomplish this,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more elaborately the analysis framework developed by Hwang and Park in 2013. The framework basically was set up utilizing 'the cognitive demand level' suggested by Stein, et, al. The cognitive demand level is divided into two levels such as low level and high level. The low level is comprized of two elements such as Memorization Tasks(MT), Procedures Without Connections Tasks(PNCT), and high level is Procedures With Connections Tasks(PWCT), and Doing Mathematics Tasks(DMT). This study deals with the tasks on the area of 'data analysis and statistics' in MiC 1, 2, 3 level Textbook. As a result, mathematical tasks of MiC Textbook led learners to deal with and understand mathematical content for themselves, and furthermore to do leading roles for checking and reinforcing the content. Also, mathematical tasks of MiC Textbook are comprized of the tasks suitable to enhance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communication. In addition, mathematical tasks of MiC Textbook tend to offer more learning opportunity to learners' themselves while the level of MiC Textbook is going up.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정은 (2007). 중학교 수학 교과서 통계 단원 국제 비교 -한국, 미국,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ang, Jung Eun (2007).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Statistics Section presented in Mathematics Textbook in Middle Schools-Cases in Korea, U.S. and Singapore-. Master'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구미영.이광호(2015). 인지적 요구 수준 및 사고 수준의 발달 방향에 따른 초등학교 길이 측정 단원의 수학과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387-408. (Ku, Miyoung & Lee, Kwangho (2015). Analyzing and Restructuring Mathematical Tasks of Length Measurement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9(3), 387-408.)
  3. 권성룡 (2015).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수업에서의 학습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8(2), 61-75. (Kwon, Sungyong (2015). An analysis on the level of cognitive demands of mathematical tasks set up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8(2), 61-75.)
  4. 김미희.김구연 (2013).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학과제 분석. 학교수학, 15(1), 37-59. (Kim, Mihee & Kim, Gooyeon (2013).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5(1), 37-59.)
  5. 김민연 (2010). 중학교 수학교과서 개정에 따른 9단계 통계 단원에 대한 7차 교과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im, Min Yeon (2010). An Analysis of the 7th Textbook on Statistical Section with Nine Stage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6. 박성환 (2015).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수학적 과정에 대한 과제 분석.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ck, Sung Hwan (2015). An Analysis of Tasks on the Mathematical Processes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Math Textbooks. Master's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7. 손재현 (2012). 문맥을 바탕으로 한 통계영역 교수 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Son, Jae Hyun (2012). A Research on Development of Instruction-Materials in Statistics based on Context. Master's Dissertation, Jeonju National University.)
  8. 우정호 (2011).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부. (Woo Jung Ho (2011). A Educational foundation on School Mathema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er.)
  9. 이은영, 이광호 (2015). 교사의 수업반성이 수학 수업에 주는 영향 -수학적 과제의 인지적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8(2), 155-173. (Lee, Eun Young & Lee, Kwangho (2015). The Effect Of Teachers' Reflection For Mathematics Classroom Instruction -Focused on the cognitive demands of mathematical task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8(2), 155-173.)
  10. 이미연, 오영열 (2007). 수학적 과제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17(4), 395-418. (Lee, Mi Yeon, Oh, Young Youl (2007). The Influence of Mathematical Tasks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7(4), 395-418.)
  11. 이병로 (2016). MiC 교과서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중1 통계 단원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Lee, Byung Lo (2016).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Utilizing the Mic Textbooks. Master'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2. 임혜련 (2013). 중학교 통계단원 교과서와 미국의 MiC교과서 비교 분석.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Lim, Hye Ryeon (2013).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iC textbooks with the middle grades mathematics textbook focused of statistics units. Master's Dissertation, Sangmyung University.)
  13. 조민정 (2011). 확률분포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능력 및 지도내용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ho, Min Jeong (2011). Analysis of Instructional Content and Students' Understanding Ability on the Concept of Probability Distribution. Master's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14. 최선희, 이대현(2012). 우리나라 초등 교과서와 MiC 교과서의 통계 단원 비교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5(1), 41-52. (Choi, Seon-Hee & Lee, Dae-Hyun (2012).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Statistical sections between in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the MiC textbook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5(1), 41-52.)
  15. 최인영 (2013). 초등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의사소통 중심 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hoi, In-Young (2013). An Analysis of Cognitive Demands of Communication Centered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Master'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홍창준, 김구연 (2012). 중학교 함수 단원의 수학과제 분석. 학교수학, 14(2), 213-232. (Hong, Chang-Jun & Kim, Goo-Yeon (2012). Function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he Cognitive Demand of the Mathematical Tasks. School Mathematics, 14(2), 213-232.)
  17. 황혜정, 박현파 (2013). MiC 교과서의 수학적 과제의 인지적 요구 정도 분석 -함수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수학 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7(4), 449-472. (Hwang, Hye Jeang & Park, Hyun-Pa (2013). Exploration on Mathematical Tasks on Function Content in MiC 3 level Textbook.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4), 449-472.)
  18. Hierbert, J., et al.(1997). Making Sense: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with understanding. 김수환, 박영희, 이경화, 한 대희(공역)(2004). 어떻게 이해하지. 서울:경문사.
  19. Jonker, V., van Galen, F., Boswinkel, N., Wijers, M., Bakker, A., Simon, A. N., Burrill, G., & Middleton, J. A. (2005). Take a chance. In Wisconsin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 Freudenthal Institute(Eds.) Mathematics in Context. Chicago: Encyclopedia Britannica, Inc.
  2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1. Stein, M. K., & Smith, M. S. (1998). Mathematical tasks as a framework for reflection: from research to practic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 268-275.
  22. Stein, M. K., Smith, M. S., Henningsen, M. A., & Silver, E. A. (2009). Implementing standards-based mathematics instruction: A casebook for professional development(2nd 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