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생 창의·인성 구성요인에 관한 경험적 탐색

Empirical Exploration on the Component Factors of Creativity·Character for College Students

  • 투고 : 2016.10.31
  • 심사 : 2016.12.15
  • 발행 : 2017.02.28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 인성 구성요인과 특징을 이론적, 경험적으로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접근을 통해 창의 인성의 개념 및 구조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창의 인성에 대한 연구자 회의와 자문회의, 교육 전문가 및 예술교육전문가 7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이 갖추어야할 창의 인성으로서 창의성은 인지적 창의성과 정의적 창의성, 인성은 도덕적 인성, 사회적 인성, 감성적 인성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대학생 창의 인성은 창의성영역에 비해 인성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창의 인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나아가 후속연구로서 대학생 창의 인성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방향을 설정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대학교육현장에서 질적으로 고양된 교육공학 및 교수학습방안 마련에 기여할 이론적․경험적 토대를 구축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함께 창의 인성교육의 목적을 지닌 교양교육 및 관련교육자와 상담자, 평가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서 응용적 활용을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 factors of creativity character of college students. Putting together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creativity character through the theoretical approach, the in-depth interview and open survey were conducted targeting 70 specialists in education, education engineering, consultation meeting, and researchers' meeting about creativity character of college students. In the results, as creativity character for college students, creativity was classified into cognitive creativity and affective creativity while character was classified into moral character, social character, and emotional character. Especially, the creativity character of college stud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haracter more than creativity. Through such results, it aims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creativity character of college students, and moreover to provide basic data to set up the research direction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creativity character of college students for follow-up researches. Also, it is considered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empirical foundation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ducation engineering qualitatively enhanced in the site of college.

키워드

참고문헌

  1. 최준환, 박춘성, 연경남, 민영경, 이은아, 정원선, 서지연, 차대길, 허준영, 임청묵,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제9권, 제2호, pp.89-112, 2009.
  2. 한국교육개발원, 미래사회의 특징별 핵심역량, 2007.
  3. 박영하, "교육학적 관점에 따른 창의성 개념분석," 대학무용학회지, 제64권, pp.119-133, 2010.
  4. 문용린, 최인수, 창의.인성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5. 김규훈, 김혜숙, "국어과 창의.인성 교육의 실행 방안 모색 -국어과 핵심 역량에 대한개념화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pp.1-28, 2012.
  6. 박미정,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인성 수업 모델 개발 -'옷차림과 자기표현'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5-56, 2012.
  7. 홍혜정, 윤희정, 우애자, "과학 교과에 적용되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제16권, 제4호, pp.887-908, 2012.
  8. 홍사윤, "창의/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초등 도덕과 교육의 역할: 도덕과 수업모형을 적용한 창의/인성교육의 실천," 초등도덕교육, 제33권, pp.428-449, 2010.
  9. 손진선,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미술과 문학 융합 캘리그라피 수업지도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0. 권오남, 수학과 창의.인성 수업모델 개발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11. 홍배식, "사회과교육 영역 창의.인성 교육의 실제-일반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16권, 제3호, pp.31-61, 2010.
  12. 오정현, 이승실, "역사과 창의.인성 교육 사례 연구:영상물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제17권, 제4호, pp.1143-1167, 2013.
  13. 신기철, "신체활동 본위의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 분석 및 지도 방향 탐색," 한국초등체육교육학회지, 제19권, 제3호, pp.125-139, 2013.
  14. 강민구, "중등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한문교육," 한문교육연구, 제40권, pp.85-138, 2013.
  15. 김병철, "한문과 창의.인성 교수, 학습 방법," 한문교육연구, 제40권, pp.155-209, 2013.
  16. 한은수, "초등교육에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한자.한자어 교육," 한문교육연구, 제40권, pp.41-84, 2013.
  17. 최미정,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pp.501-526, 2010.
  18. 홍혜원, 이창수, 장기철,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인식 비교," 교육문제연구, 제17권, 제1호, pp.1-18, 2011.
  19. 이경민, 최윤정, 박순정,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2권, 제2호, pp.73-96, 2013.
  20. 송명자, 이현림,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인간 관계훈련 프로그램 개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2호, pp.269-291, 2008.
  21. 박은민,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497-50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497
  22. 이영애, "대학 중도탈락자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동서정신과학, 제9권, 제1호, pp.95-104, 2006.
  23. 이지선, "대학무용교육 현황 및 변화," 대한무용학회지, 제74권, 제3호, pp.99-114, 2016.
  24.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 미래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PRC 2012-4, 2012.
  25. 최인수, 이화선, 이건희, 김선진, "국내 대학의 창의성 교과목 현황 및 내용분석:상위 30개 대학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연구, 제30권, 제2호, pp.179-199, 2012.
  26. 이화선, 박선희, 최인수, "학생의 자아실현적 창의성 함양을 위한 창의성 프로그램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1호, pp.177-197, 2012.
  27. S. J. Dudek,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attitude or abil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8, pp.282-292, 1974.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4.tb01136.x
  28. 김훈희, "NFTM-TRIZ에 근거한 지속적인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모형 구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474-48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474
  29. 김훈희, 최윤희,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교훈적 동화 만들기' 수업 모형의 적용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655-663,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655
  30. 문용린, 최인수,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창의.인성교육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pp.71-78, 2010.
  31. T. M. Amabile,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 Springer -Verlag, 1983.
  32. T. M. Amabile, Creativity in context, Boulder, CO: Westview Press, 1996.
  33.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7462&efYd=20150721#0000
  34. 천세영, 김왕준, 성기옥, 정일화, 김수아, 방인자, 인성교육 비전 수립 및 실천 방안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2.
  35. 최경희, "독서요법을 통한 아동의 인성지도 방안," 청람어문교, 제33권, pp.105-138, 2006.
  36. 한국과학창의재단, 미래사회 재를 한 창의.인성교육 방안연구, 서울: 한국과 학창의재단, 2010.
  37. G. J. Feist,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artistic and scientific creativity,"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273-296, 2006.
  38. E. P. Torrance, "The Nature of Creativity as Manifest in Its Testing,"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New York, USA: The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Cambridge, pp.43-75, 1988.
  39. J. P. Guilford,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1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