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본 지역공동체의 실제: 7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을 중심으로

The Reality of Community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the Case of 7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 김숙진 (건국대학교 지리학과/대학원 세계유산학과)
  • Kim, Sook-Jin (Geography Department, College of Science/World Heritage Studies,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 투고 : 2017.03.06
  • 발행 : 2017.03.31

초록

서구 복지국가의 위기와 신자유주의라는 변화된 환경으로 촉발된 공동체 논의는 최근 사회 전 영역에 걸쳐 사회적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지역공동체에 주목하게 만들었다. 세계유산 분야에서도 과거와 같이 세계유산을 지역과 분리된 물리적 보호의 대상으로 보기보다 유산을 오랜 기간 동안 형성하고 함께 한 지역과 지역공동체의 관점에서 바라 볼 필요가 있으며, 유산의 보존과 활용은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지역의 총체적 발전 속에서 만이 가능한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유산협약의 운영지침에는 지역공동체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비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세계유산 등재 추진 중에 있는 한국의 전통산사를 사례로 장소 기반의 사하촌과 종교라는 정체성 기반의 신도회를 가능한 공동체로 상정하고 이들의 사회적 연결망을 분석하여 이론상의 공동체의 일반적 특성과의 정합성을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일부 사찰에서는 사하촌과 신도회의 연결망 특성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이는 공동체가 지역의 구체적 환경과 조건의 변화 속에서 역사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그 정체성과 경계가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과정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경험적 수준에서 각 사례별로 특수한 상황과 변수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crisis of western welfare states and the spread of neoliberalism opened up the debate on community question and paid attention to community to cope with diverse social crises. There has been increasing recognition for the need to see World Heritage in terms of place and local community which had formed it rather than an object for conservation separated from the place where it is located. In addition, the conservation and use of cultural heritage can lead to the region'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 turn is possible with the region's overall development. However, the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does not specify the definition and geographic extent of community. This paper considers place-based communities, Sahachons and religious communities, Sindohoes of seven Buddhist monasteries in preparation for inscription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and analyzes social networks of these two types of communities to see their consistency with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ocial networks analyses indicates that some monasteri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ahachons and Sindohoes, but others do not. This result implies that communities should be seen as processes of constantly reconstituting their features and boundaries under their specific surroundings which are also in constant changes, thus requiring empirical stud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대기, 2001,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서울: 아카넷.
  2. 권갑하.김영만.김용범, 2014, "아리랑의 글로벌 콘텐츠화를 위한 지역문화 브랜딩 전략 연구," 문화정책 논총 28(2), pp.104-128.
  3. 김미영, 2015,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사회와이론 27, pp.181-218.
  4. 김용학, 2004, 사회 연결망 이론, 서울: 박영사.
  5. 김용학, 2011, 사회 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6. 김정한, 1936, 사하촌 (소설).
  7. 노현희 외, 2012,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4(2), pp.159-183.
  8. 박인권, 2012,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4), pp.1-26.
  9. 손동원, 2008, 사회 네트워크 분석, 서울: 경문사.
  10. 송정은.이병민, 2016, "문화유산 자원을 활용한 장소브랜딩: 중국 운남의 인상리장을 사례로," 경제지리학회지 19(2), pp.189-208.
  11. 신용하, 2006, "민족의 사회학적 설명과 '상상의 공동체론' 비판," 한국사회학 40(1), pp.32-58.
  12. 안청시 외 (역), 2006,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서울:박영사 (Putnam, R., 1994,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unesco.or.kr/heritage/wh/reg.asp (최종열람일: 2017년 2월 15일)
  14. 이병민, 2016, "문화자산을 토대로 한 도시재생과 지역발전: 서울동화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지리학회지 19(1), pp.51-67.
  15. 이병민.이원호, 2014,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의 문화변동과 지역발전: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215-230.
  16. 이선미, 2008, "근대사회이론에서 공동체 의미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사회학 42(5), pp.101-139.
  17. 이정훈, 2008, "연성(軟性) 지역개발의 주요 수단으로서 장소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43(6), pp.873-893.
  18. 이지선, 2010, 커뮤니티 관광개발과 이해관계자간 협력관계-슬로시티 증도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문화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철우.박상민, 1998, "사회적 연결망의 연구동향과 공간적 함의," 사회과학 10, pp.163-194.
  20. 이회경.박종관, 2011, "사회자본이 지역축제의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pp.192-200.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192
  21. 장호수, 2015, "문화창의산업에서 문화유산의 가치와 활성화 방안," 문화재 48(2), pp.82-95.
  22. 정수희.이병민, 2014, "창조적 장소자산으로서 예술자산의 유형과 사례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pp.28-44.
  23. 조아라.김숙진, 2016, "세계유산 보존관리와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공동체의 참여: 화성과 남한산성의 비교,"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2), pp.149-167.
  24. 조용란, 2011, "사회자본이 지역문화축제의 주민참여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교정보학보 15(3), pp.385-414.
  25. 조유진.김숙진, 2016, "고도보존육성법과 세계유산협약의 접점에서 찾은 역사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주민 참여방법: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3), pp.27-43.
  26. 최협, 1986, "한국사회, 공동체, 공동체 이념," 한국사회학 20, pp.15-33.
  27. Bowitz, E. and Ibenholt, K., 2009, "Economic impacts of cultural heritage: Research and perspectives,"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10, pp.1-8. https://doi.org/10.1016/j.culher.2008.09.002
  28. Burt, R.S. 2000, "Homophily, legitimacy and competition," Working paper, University of Chicago.
  29. Coleman, J.,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Supplement), pp.S95-S120. https://doi.org/10.1086/228943
  30. Delanty, G., 2003, Community, London: Routledge.
  31. Evans, G., 2002, "Living in a World Heritage City: stakeholders in the dialectic of the universal and particular,"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8(2), pp.117-135. https://doi.org/10.1080/13527250220143913
  32. Everett, M., and Borgatti, S.P., 2005, "Ego network betweenness," Social Networks 27, pp.31-38. https://doi.org/10.1016/j.socnet.2004.11.007
  33. Giddens, A., 1984, The Construction of Socie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4. Jimura, T, 2011, "The impact of world heritage site designation on local communities - A case study of Ogimachi, Shirakawa-mura, Japan," Tourism Management 32, pp.288-296. https://doi.org/10.1016/j.tourman.2010.02.005
  35. Mitchell, C., 1969, Social Networks in Urban Situations: Analyses of Personal Relationships in Central African Towns,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6. Putnam, R.D., 1995, "Bowling alone, revisited," Responsive Community 5(2), pp.18-33.
  37. Staiff, R. and Ongkhluap, S., 2012, "Tourism and the perceptions of local communities: case study of the World Heritage site of the Historic City of Ayutthaya, Thailand," World Heritage Papers 31, pp.48-53.
  38. Vinals, M. and Morant, M., 2012, "Heritage tourism and local community interactions within the framework of site management," World Heritage Papers 31, pp.40-47.
  39. Wellman, B., 1979, "The community question: the intimate networks of East Yorker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4(5), pp.1201-1231. https://doi.org/10.1086/226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