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기도 재정력 변동의 특성에 따른 경제성장 전략 연구 -다양한 지역구분에 따른 실증분석-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Strateg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Public Finance of Gyeonggi-do

  • 투고 : 2017.03.02
  • 발행 : 2017.03.31

초록

본 고에서는 경기도를 동부, 서부, 남부, 북부 4개 지역으로 나누어 지역별로 경제성장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재정변수들을 찾아내고, 이를 통해 각 지역에 대한 맞춤형 경제성장 전략을 도출하였다. 고정효과 모형으로 지역별 지역내총생산(GRDP)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찾아낸 후, 이를 토대로 인과관계 검정을 통해 재정변수에서 GRDP로의 일방 및 쌍방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변수를 도출하였다. 동부지역의 경우 지방세수입, 남부지역의 경우 세출결산 총액, 경상적 지출, 북부지역의 경우 사회복지 지출, 산업 중소기업 지출, 경상적 지출 등으로부터 GRDP로의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변수들이 지역의 경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 변수들이 지역의 경제력에 미치는 절대적 효과의 지역 간 상대 비교를 위해 GRDP에 대한 승수효과를 산출하였다.

In this study, we divided Gyeonggi-do into Northern, Southern, Western, and Eastern Parts and found out fiscal variables which affected regional economic growth of each Part differentially. And we drew the strategy for economic growth of each Part. After we found out the variables which affected regional economic growth using fixed-effect model, we carried out causality test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fiscal variable caused economic growth. In the Eastern Part, local tax revenu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growth. Total expenditures, current expenditure in the Southern Part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 expenditure on industries, current expenditure in the Northern Part had noticeable effects on economic growth respectively. And we calculated multipliers of fiscal variables to compare the magnitudes of effects among these Part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도, 각 연도, 경기통계연보.
  2. 국토교통부, 2013, 지적통계연보.
  3. 김성록, 2012, "산업의 지역간 파급효과에 의한 연계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3), pp.424-436.
  4. 김성순, 2010, "기능별 재정지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재정정책논집 12(4), pp.3-31.
  5. 김성순, 2013, "지방 재정과 지역 경제성장과의 관계 분석," 재정학연구 6(1), pp.27-57.
  6. 김성태, 2000, "한국지방공공자본의 지역경제 성과분석," 재정논집 14(2), pp.99-124.
  7. 김을식 외, 2015, 기초자치단체의 경제력 측정에 관한 연구, GRI 정책연구, 경기연구원.
  8. 김종구, 2008, "우리나라 지방자치제하 지방재정지출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친 영향," 국제지역연구 12(1), pp.143-164.
  9. 민인식.최필선, 2010,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한국 STATA학회.
  10. 박완규, 2009, "우리나라 지방정부는 생산적인가?-Barro Rule에 의한 검정-," 재정학연구 2(1), pp.113-138.
  11. 박완규.홍성표, 2009. Gujarati의 계량경제학, 도서출판지필.
  12. 박완규, 2013, "지방자치단체의 세입 및 세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내 시 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7(2), pp.75-91.
  13. 박완규.김두수, 2014, "재정변수 및 비재정변수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3), pp.554-566.
  14. 박완규.지은초, 2015, "우리나라 사회복지 재정지출이 지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 시.군지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2(1), pp.81-101.
  15. 박창수, 2006, "한국 동남권 지역의 서비스산업 생산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9(2), pp.181-196.
  16. 손승호, 2015, "경기도 도농복합시의 경제공간 변화와 유형 분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pp.45-59.
  17. 신기동 외, 2015, "경기도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실태와 정책과제", 정책연구, 경기연구원.
  18. 이영성, 2009, "시, 군, 구의 사회개발비가 지역내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지역연구 25(3), pp.5-23.
  19. 이외희 외, 2015, "경기북부지역 규제와 지원제도 개선방안", GRI 정책연구, 경기연구원.
  20. 이준구, 2011, 재정학, 제4판, 다산출판사.
  21. 이창근, 2013, "지방재정지출의 지역별 효과 분석," 한국 지방재정논집 18(2), pp.57-81.
  22. 조동근.김종백, 2005, "지방재정 지출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강원도 18개 시, 군을 중심으로-," 재정정책논집 7(1), pp.147-171.
  23. 최재헌, 2013, "한국 인구고령화의 지역적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pp.233-246.
  24. 한국재정연구회, 2004, 재정지출의 성장기여도 분석에 관한 연구.
  25. 행정자치부, 각 연도, 지방재정연감.
  26. 행정자치부, 각 연도, 지방자치단체 예산개요.
  27. Akai, N. and M. Sakata., 2002, "Fiscal Decentralization Contributes to Economic Growth: Evidence from State-level Cross-section Data for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Urban Economics 52(1), pp.93-108. https://doi.org/10.1016/S0094-1190(02)00018-9
  28. Aly, H. and M. Strazicich., 2000, "Is Government Size Optimal in the Gulf Countries of the Middle East?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Economics 14(4), pp.475-483. https://doi.org/10.1080/02692170050150147
  29. Aschauer, D. A., 1989, "Is Public Expenditure Productive,"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23, pp.177-200. https://doi.org/10.1016/0304-3932(89)90047-0
  30. Babihuga, R., 2006, Empirical Evidence on the Optimality and Productivity of Government Services in Sub-Saharan Africa, in Attiat F. Ott and Richard J. Cebula, eds., The Elgar Companion to Public Economics, Edward Elgar.
  31. Barro, R. J., 1990, "Government Spending in a Simple Model of Endogenous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8, pp.S103-125. https://doi.org/10.1086/261726
  32. Barro, R. J. and X. Sala-i-Martin., 1995, Economic Growth. McGraw-Hill, New York.
  33. Helms, L. J., 1985, "The Effect of State and Local Taxes on Economic Growth: A Time Series-Cross Section Approach,"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7(4), pp.574-582. https://doi.org/10.2307/1924801
  34. Holtz-Eakin, D. and M. Lovely., 1995, "Scale Economies, Returns to Variety, and the Productivity of Public Infrastructur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No. 5295.
  35. Karras, G., 1996, "The Optimal Government Size: Further International Evidence on the Productivity of Government Services," Economic Inquiry 34(2), pp.193-203. https://doi.org/10.1111/j.1465-7295.1996.tb01372.x
  36. Karras, G., 1997, "On the Optimal Government Size in Europe: Theory and Empirical Evidence," The Manchester School 65(3), pp.280-294. https://doi.org/10.1111/1467-9957.00057
  37. Landau, D., 1983, "Government Expenditure and Economic Growth: A Cross-Country Study," Southern Economic Journal 49(3), pp.783-792. https://doi.org/10.2307/1058716
  38. Musgrave, R., 1959, Public Finance. McGraw-Hill, New York.
  39. Narayan, P. K., I. Nielson., and R. Smyth., 2008, "Panel Data, Cointegration, Causality and Wagner's Law: Empirical Evidence from Chinese Provinces," China Economic Review 19, pp.297-307. https://doi.org/10.1016/j.chieco.2006.11.004
  40. Pedroni, P., 1999, "Critical Values for Cointegration Tests in Heterogeneous Panels with Multiple Regressors,"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Special Issue: 653-670.
  41. http://stat.gg.go.kr/publication/publication01_01.jsp?pub_sosok=004&htxt_code (경기도, 사업체 조사) (최종열람일: 2016년 6월 10일)
  42. http://stat.gg.go.kr/publication/publication01_01.jsp?pub_ sosok=005&ht xt_code (경기도, 시군단위 GRDP)(최종열람일: 2016년 5월 2일)
  43. http://kosis.kr/ (통계청, 국가통계포탈)(최종열람일: 2016 년 6월 7일)
  44. http://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0103&inputYear=2016 (통계청, 인구동향조사)(최종 열람일: 2016년 6월 8일)
  45. http://rcps.egov.go.kr.8081/jsp/stat/ppl_stat_jf.jsp (행정 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최종열람일: 2016년 6월 8일)

피인용 문헌

  1. 지역내총생산과 지역총소득 비교를 통한 소득의 역외 유출 분석 vol.21, pp.4, 2017, https://doi.org/10.23841/egsk.2018.21.4.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