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hadow of War Covering the Steam Punk Animations

스팀펑크 애니메이션에 드리운 전쟁의 그늘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을 중심으로-

  • 오진희 (대구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학과 / 조형예술연구소)
  • Received : 2017.02.01
  • Accepted : 2017.03.02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Overwhelming images of vividly colored aircraft flying across the blue sky and steam gushing from massive machines are reminiscent of Japanese animation films, especially of works by master director Hayao Miyazaki. By presenting together steam engines, which are mechanical devices of the Industrial Age in the past, and aircraft of the future age, the director constructs ambiguous space and time. These special time and space constitute nostalgia for past time, with devices called steam engines as a medium, and a longing for science and the future as represented by aircraft. In addition, the anticipation and disappointment, ideals and regrets of humans who see these tw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are projected on the works. This shares the characteristic of the steam punk genre, which seeks to return to the past rather than to face current problems. A subgenre of science fiction (henceforth "sci-fi"), steam punk reflects fundamental skepticism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mechanized civilization, which have developed beyond human control. In addition, as works that clearly display such characteristics, director Miyazaki's and < $Nausica{\ddot{a}}$ of the Valley of Wind> can be examined. With spectacles of steam engines and aircraft, these two works enticingly visualize narratives about nature and humans and about the environment and destruction. Such attractiveness on the part of the master director's works has led to support from fans worldwide. However, often in the backgrounds of director Miyazaki's works, which have depicted ideal worlds of nature, environment, and community as highly concentrated fantasies, lie presuppositions of war and the end of the world. As works that are especially prominent in such characteristics, there are and . These two works betray the expectations of the audience by establishing the actual wartime as the temporal background and proceeding toward narratives of reality. Trapped in the ontological identity of the director himself, the war depicted by him projects a subjective and romantic attitude. Such a problem stems also from the ambiguity of the hybrid space and time, which is basic to the steam punk genre. This is because the basic characteristic of steam punk is to transplant past time, which humans were able to control, in the future from a perspective of optimism and longing via steam engines rather than to face current problems. In this respect, steam punk animation films in themselves can be seen as having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t the same time.

파란 하늘을 나는 선명한 색의 비행체와 거대한 기계에서 뿜어져 나오는 증기의 압도적 이미지는 일본 애니메이션을 대표하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을 떠올리게 한다. 감독은 과거를 상징하는 산업시대의 기계장치인 증기기관과 미래의 장치인 비행체를 함께 제시하여 모호한 시공간을 구축한다. 이 특별한 시공간은 증기기관을 매개로 한 과거에 대한 향수(鄕愁)이며 비행체로 대표되는 과학과 미래를 향한 동경이다. 이는 현재의 시간이 아닌 과거와 미래의 혼재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스팀펑크(Steam Punk) 장르의 특성을 공유한다. 스팀펑크는 공상과학(Science Fiction)의 하위 장르로써 인간이 제어할 수 없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과 기계문명에 대한 근본적 회의와 미래 세계에 대한 낙관을 동시에 담고 있다. 또한 현재를 바라보는 인간의 기대와 실망, 이상과 미련이 투영되어 있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 중 <바람계곡의 나우시카>(Nausicaa Of The Valley Of Wind, 風の谷の ナウシカ)와 <천공의 성 라퓨타>(Laputa: Castle In The Sky, 天空の城ラピュタ) 등은 이러한 특성을 분명히 보여준다. 이들 작품은 자연과 인간, 그리고 환경과 파괴에 대한 서사를 증기기관과 비행체로 시각화하여 과거와 미래가 동시에 존재하는 가상의 시공간을 스펙터클하게 구현함으로써 전 세계 팬들을 매혹한다. 그런데 자연과 환경, 공동체의 이상을 매력적으로 표현해 온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에는 기묘하게도 전쟁과 세계 멸망의 이미지가 어김없이 등장한다. <붉은 돼지>(Crimson Pig, 紅の豚)에서는 실제 전쟁 시기를 시대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현실세계의 서술로 나아가며, 심지어 <바람이 분다>(The Wind Rises, 風立ちぬ)에서는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전쟁을 그리면서도 감독 자신의 존재론적 정체성과 주관적 관점을 낭만적 태도로 투사함으로써 다수의 관객을 당혹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그의 작품 전반에서 발견된다. 이는 스팀펑크 장르가 현재의 문제를 마주하기보다 인간이 제어 가능했던 과거와 낙관적인 미래를 혼종하여 모호한 시공간을 그려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애매한 상태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미야자키 하야오, 황의웅 역, 반환점, 대원씨아이, 2013.
  2. 수잔 J. 네피어, 임경희.김진용 역, 아니메, 루비박스, 2005.
  3. 폴 웰스, 한창완 . 김세훈 역, 애니마톨로지@, 한울아카데미, 2001.
  4. 키리도시 리사쿠, 남도현 역, 미야자키 하야오論, 써드아이, 2002.
  5. 호리코시 지로, 제로센 그 탄생과 영광의 기록, 2012.
  6. 김종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과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 한국문예비평연구, Vol.32,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0, pp.349-373.
  7. 김준수,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혼종적 이미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한국콘텐츠학회, 2008, pp.160-167. https://doi.org/10.5392/JKCA.2008.8.12.160
  8. 박진, 스팀펑크의 장르적 성격과 서사 담론: <스팀보이>와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를 중심으로, 국제어문, 제37집, 2006, pp.225-251.
  9. 박상도, <바람이 분다>를 둘러싼 전쟁미화와 반전의식, 한일군사문화연구, 20권, 한일군사문화학회, 2015, pp.335-359.
  10. 박세환, 애니메이션 작품에서의 사이버펑크 특성에 관한 연구, 예술과 미디어, 5권,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06, pp.51-65.
  11. 박기수, <하울의 움직이는 성>, 다성적 서사의 과잉과 결핍, 인문콘텐츠, (23), 인문콘텐츠학회, 2011, pp.41-64.
  12. 이승재, 미야자키 하야오(宮崎 駿) 작품에 투영된 생태론과 환경론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44호, 2016, pp.183-209.
  13. 정경운, 미야자키 하야오의 <바람이 분다>에 드러난 '아름다움'과 '살아야 함'의 의미 연구, 감성연구, 12권, 호남학연구원, 2016, pp.199-229.
  14. 최인숙, 저페니메이션에서의 미야자키 하야오 작가에 관한 연구, 서울일러스트학회학술지,Vol.5,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2, pp.195-228.
  15. Lev Manovich, "Reality Effect in Computer Animation", A Reader in Animation Studies, 1997.
  16. Michele Pierson, Special Effect, Columbia Univ. Press, 2002.
  17. 堀越二郞, 零戰その誕生と榮光の記錄, 角川文庫, 2012.
  18.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인터뷰, '바람이 분다', 왜 하필 세계대전 전투기 기술자인가?, 오마이뉴스, 2013.
  19. 임근준 대담, '나쁜 땅' 일본은 '꿈꾸는 소시민'의 책임 아니다?!, 프레시안, 2013,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69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