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교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조사 및 분석

A Survey and Analysis of Current Collection Management State in School Libraries

  • 투고 : 2017.02.15
  • 심사 : 2017.03.22
  • 발행 : 2017.03.31

초록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154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설문지는 학교도서관의 장서현황, 이용현황, 장서관리 체제의 3개 영역에 걸친 총 12개의 조사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도출된 주요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현황에서 2015년 기준 학생 1명당 단행본 수는 전문단체인 한국도서관협회기준과 비교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기준을 초과하였으나, 고등학교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입수자료의 주제별 비율은 문학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 주제로 사회과학과 역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용현황에서 학교급별 대출현황은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 초등학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한 번도 대출된 적이 없는 자료는 전체 장서의 64.6%로 나타났다. 셋째, 장서관리 체제에서 전체 154개교 중 114개교(74%)가 자체의 장서관리 정책서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모든 학교는 연간 1회 이상의 장서점검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교는 자체의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연 중 2~3회의 회의를 개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는 학교도서관 현안문제에 대한 대화와 소통의 장으로, 그리고 장서개발, 운영지원, 홍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 of the survey on collection management from 154 school libraries in Korea. The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three section: state of collection, state of book use, and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Results reveal that (1)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have many books for each student compared to the KLA's School Library Standards; (2) the component ratio of literature books is the biggest in school library collections; (3) the ratio of library book use is overwhelmingly higher in elementary schools tha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4) 64.6 percent of library books in the sample are never used during 2013-2015; (5) 74 percent of libraries have its own collection management document; (6) Almost all schools compose its own committee for library management, the committee plays an important roles in the communication among school members, collection development and promo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Chang, Durk-Hyun, Eun-Yeong Kang. 2016. "A Descriptive Study on the Collection Development Processes in School Libraries: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Teacher Librarian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3): 241-259. https://doi.org/10.16981/kliss.47.201609.241
  2.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The Result of National Evaluation on Library Management. Seou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3. Kim, Su-Jin. 2007. "A Study on the Collection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Libraries," KLA journal, 48(3): 44-49.
  4. Korea Library Association. 2013. Standards for Korean Libraries. Seoul: Korea Library Association.
  5. Ministry of Education. 2013. Book Selection and Purchase for School Libraries.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6. Park, On-Za. 2003. "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Instructional Media as Guidelines for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2): 27-56. https://doi.org/10.4275/KSLIS.2003.37.2.027
  7. Park, Hye-Seon and Gi-Yeong Kang. 2016.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elf-Censorship in Selec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239-262.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