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도서관 기반 인문학 프로그램에 대한 현상적 연구

A Study on Humanities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 Observations and Reflections

  • 투고 : 2017.02.18
  • 심사 : 2017.03.16
  • 발행 : 2017.03.31

초록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지역자치단체 등의 공공기관과 민간단체 등에서도 다양한 인문학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 중 공공도서관 기반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무엇보다 공공도서관이라는 장소를 지역사회의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문화프로그램 등과 결합하여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비교적 급속하게 인문학 프로그램이 확장되면서 문제점들도 관찰되고 있다. 즉, 기존의 문화프로그램과의 차별성, 인문학 프로그램 전담인력의 확보, 강사 확보 및 교육방식과 내용의 다양성 문제, 참여자 계층의 다양성, 그리고 문화프로그램과 공공도서관자료와의 연계성 확보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기반 인문학 프로그램의 다양한 측면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limitation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humanities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Specifically, this study also surveys such humanities programs open in public libraries and compar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ograms. For the study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such humanities programs for the observation. For the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public librarians who are in charge of such humanities programs. Supplementary data were also collected through qualitative interviews and brain-storming discussions with public librarians and program participants. For the suggestion, future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such programs and to cope with changes of user demands and future trends, the researcher put the emphasis on the networking with local art/cultural communities, proactive marketing strategies, practical program management strategies, and program development on the basis of user needs.

키워드

참고문헌

  1. Kam, M. A. & J. Y. Lee. 2013. "A Comparative Study of Cultural Programs Offered by Public Libraries and Other Regional Public Service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24(4): 197-215.
  2. Kwak, C. W. et. al. 2009. "A Study of the Model and Program Manual of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s."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20(1): 197-208.
  3. Hwang, K. S. et. al. 2008.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219-244. https://doi.org/10.16981/kliss.39.1.200803.219
  4. Lee. K. M. 2003.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Public Libraries Culture Program and Reading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4): 127-151.
  5. Cho, I. and Kim, S. 2010.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y in Jeju Area."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21(1): 31-42.
  6. Choi, H. S. & J. S. Seo. 2009. "A Study on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Jeonbuk Provinci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4): 227-242.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227
  7. McGovern, Gail. 2003. Finding Support for Arts, Humanities and Cultural Programming : A Resource Guide for California Public Libraries. CALIFORNIA STATE LIBRARY.
  8. 김문식. 2014. "공공도서관과 인문학의 만남-재미있는 도서관을 만들자." 도서관문화, 55(4): 20-24.
  9. 박정희. 2010. "장성공공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을 마치고." 도서관문화, 51(10): 55-57.
  10. 이우정. 2007.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 인문학 강좌를 통해 본 공공도서관 문화 프로그램 전략." 도서관문화, 48(10): 24-27.
  11. 이주영. 2013. "둘레길을 걷다 만나는 우리마을 역사-등빛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운영사례." 도서관문화, 54(8): 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