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and Overlook on the National Archives System in the Perspective of Democracy

민주주의 관점으로 본 국가기록관리체계 평가와 전망

  • 조민지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 이영남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 Received : 2017.07.06
  • Accepted : 2017.07.24
  • Published : 2017.07.30

Abstract

This article adapts the democratic approach to the National Archives System. We must now search for a new archival landscape. Authors are agreeing that democracy is a basic principle for the new national archives model.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direction of reform of the national record organizations in terms of individuality, integrity, and professionalism. It is, the fact that there are discussions rising on the need to reform the national records organization in the recent perspective of democracy. Democracy is a system that takes responsibility of even the results. This article describes all the discussions on what the best model for national archives system could be. In this social regulation, the archives carry out a noble mission of accountability. The discussion that suggests a clear perspective of democracy must be taken in to notice. Authors try to represent the voices of records managers. They also argue that records managers are the common wealth for our society. The national archives system is now the signature for the moral identity of national ruling powers. We argue that the new archives model should be derived from the point of the Candle Revolution.

본 논문은 국가기록관리체계를 민주주의 관점에서 보았다. 지난 10년의 국가기록관리체계를 평가하고 새로운 국가기록관리체계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가 우선이 되어야 할 것 같다. 지난 10년의 아카이브가 쭈그러진 아카이브였다면, 새로운 아카이브는 어떤 아카이브이어야 할까? 쭈그러진 깡통을 펴듯이 망가지기 전의 상태로 복구하는 게 필요한 일인줄 알면서도 새로운 기록풍경을 그리는 것도 그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민주주의의 가치를 제도화하는 아카이브 전망에 대한 것이다. 나아가 일상적 민주주의에서 아카이브는 무엇을 할 수 있을지도 짚어보았다. 이를 위해 그간의 국가기록관리기구 개편 제안을 체계적으로 검토했다. 그 다음에는 공공기록관 기록관리직의 목소리를 재현해보았다. 기록관리직은 지난 10년 동안 기록공동체와 우리 사회가 일군 사회적 자산이기 때문에 그 목소리가 무엇을 원하는지 들어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기록은 이제 단순히 통치의 수단이 아니라 그 통치의 정통성을 규정하는 통치의 기반이 되었다. 이처럼 기록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가 달라졌다. 1999년 시점이 아닌 2017년 시점에서, 국가아카이브의 기록풍경을 다시 그려야 할 것이다. 이런 과제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민주주의 관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건홍. 2017. '해체와 재구성': 차기 정부의 역사 기록 분야 조직 개혁 방향. 기록학연구, 52, 39-59.
  2. 곽건홍. 2017. 한국기록학회. 한국기록전문가협회 3월 공동월례발표회 자료집.
  3. 곽건홍. 2014. 국가기록원 개혁 방향: '국가기록원법안' 분석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0, 3-27.
  4. 곽건홍. 2010. 자율과 분권. 연대를 기반으로 한 국가기록관리 체제 구상. 기록학연구, 22, 3-35.
  5. 곽건홍. 2003. 한국 국가기록 관리의 이론과 실제: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없다. 서울: 역사비평사.
  6. 김성수. 2003. 국가기록물 관리의 현황에 관한 발전적 제언. 기록관리학회지, 3(1), 159-184.
  7. 김유승. 2008.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의의와 개선방안: 국가기록원의 위상과 국민의 알권리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5-25.
  8. 김형국. 2012. 기록관리총서2: 공공기록물관리법령. 국가기록원 기록관리교육과.
  9.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2008. 국가기록관리혁신. 참여정부 정책 보고서.
  10. 박상훈. 2011. 정치의 발견. 서울: 후마니타스.
  11. 박종연. n.d. 기록관리 현황분석. (미발표문).
  12. 박찬우. 2005. 국가기록관리 혁신의 방향과 추진전략. 한국비블리아 발표논집, 13, 5-13.
  13. 설문원. 2017. 국가기록관리기구의 권한과 권위. 그리고 분권화. 국가 기록관리 기구 독립성 확보를 위한 토론회 자료집.
  14. 신영복 글.그림. 이승혁.장지숙 엮음. 2007. 처음처럼: 신영복 서화 에세이.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
  15. 심성보. 2017. 국민과 여론이 지지할 수 있는 기록관리의 새모습. 한국기록학회 한국기록전문가협회 3월 공동월례발표회 (구두 발표).
  16. 안병우, 이상민, 심성보, 남경호, 김진성, 오동석, 정태영. 2012. 한국 공공기록관리의 쟁점과 전망: 2013년 기록관리체제를 위하여. 기록학연구, 34, 3-28.
  17. 오항녕. 2017. 제1 기록관, 제2 기록관의 가능성: 기능, 조직, 법령. 한국기록학회 한국 기록전문가협회 3월 공동월례발표회 자료집.
  18. 오항녕. 2005. 한국 기록관리와 '거버넌스'에 대한 역사적 접근. 기록학연구, 11, 15-40.
  19. 이경용. 2003. 한국 기록관리체제 성립과정과 구조: 정부기록보존소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8, 3-56.
  20. 이상민. 2013. 미국 정보자유제도와 정부기록관리 혁신. 기록학연구, 35, 3-40.
  21. 이상민. 2017. 국정 거버넌스의 거시적 기록화를 위한 대통령기록의 생산 관리. 한국기록학회 한국기록전문가협회 3월 공동월례발표회 자료집.
  22. 이승일. 2011. 기록의 역사: 한국의 국가기록관리와 아카이브즈. 서울: 혜안.
  23. 이승일. 2014.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혁과 국가기록원 개편. 기록학연구, 41, 39-73.
  24. 이신철. 2017. 조선시대 사관은 자리에 연연하지 않았다. 오마이뉴스. 2017.3.6.
  25. 이영남. 2017. 박근혜정부의 기록관리 평가와 전망. 박근혜정부의 기록관리.정보공개를 평가한다 국회토론회 자료집.
  26. 이영남, 조민지. 2014. 새로운 기록방법론을 위한 기호론적 접근. 기록학연구, 41, 113-173.
  27. 이영학. 2009. 국가기록관리정책의 미래.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215-231.
  28. 이원규. 2015. 기록관리관련법령. 한국국가기록연구원 교육총서4. 서울: 선인.
  29. 이철우 등. 2013.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이철우, 김세연, 김진태, 황영철, 정희수, 조현룡, 이만우, 황진하, 이상일, 홍지만, 문대성 의원 공동발의).
  30. 이철우 등. 2013. 국가기록원법안, (이철우, 김세연, 김진태, 황영철, 정희수, 조현룡, 이만우, 황진하, 이상일, 홍지만, 문대성 의원 공동발의).
  31.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5. 기록관리혁신전문위원회 국가기록관리혁신 로드맵.
  32. 조민지. 2014. 기록과 기억의 문화정치: 국가기록 전시의 기호학적 접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박사학위 논문.
  33. 조영삼. 2012. 국가기록관리 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 역사비평, 100, 273-298.
  34. 조영삼. 2017. 현 국가기록관리체계의 제도적 한계점과 개선방향. 국가 기록관리 기구 독립성 확보를 위한 토론회 자료집.
  35. 최재희. 2017. 국가기록관리기구의 독립성 확보를 위한 제언. 국가 기록관리 기구 독립성 확보를 위한 토론회 자료집.
  36.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37. 한국기록학회 외. 2017.7.13. 박근혜정부의 기록관리.정보공개를 평가한다. 국가토론회 자료집.
  38. 홍일표. 2017. 제대로 된 정부를 위한 차기 정부 조직개편: 원칙.방향.대안, 대선핵심아젠다 연속토론회.
  39. Palmer, Parker. 2011. Healing the Heart of Democracy: The courage to Create a Politics Worthy of the Human Spirit. John Wiley & Sons. (김찬호 역. 2012.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왜 민주주의에서 마음이 중요한가. 서울: 글항아리).
  40. Rowlands, Mark. 2009. The Philosopher and the Wolf: Lessons from the Wild on Love, Death, and Happiness. New York: Pegasus Books. (강수희 역. 2012. 철학자와 늑대. 서울: 추수밭).

Cited by

  1. 공공기록물법 개정을 위한 방향과 과제 vol.54,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4.289
  2.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
  3. 일본 돗토리현 아카이브 연구 vol.69, pp.None, 2021, https://doi.org/10.20923/kjas.2021.69.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