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Nature of Personal Papers and Documentation Strategies for Personal Archives

개인 기록의 특성과 기록화 전략

  • 오명진 (한국외대 정보기록학과)
  • Received : 2017.07.08
  • Accepted : 2017.07.23
  • Published : 2017.07.30

Abstract

Personal records have both general characteristics as "records" and unique characteristics granted by the context of "personal." This study was conceived by a need to focus on those uniqu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records and examine them specifically to determine various methods for personal records management. In an effor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records, the study made an attempt at two different approaches. First, it examin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records that were approachable in the production context of personal records and the process of records management with a focus on the ISO 15489: 2016 standard, which offers the most fundamental principles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 literature researches on personal records. It then reviewed theories related to "personality," one of man's unique traits, and its applicability to personal records management.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examined personal characteristics with a focus on personality in the group of actual personal records housed at records management agencies in the nation and checked their influences on records managemen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records should be the base of understanding of and strategies for objects to be collected in the documentation activities. That first requires effort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records across diverse dimensions, and it should be employed as the core of documentation strategies for personal records.

개인 기록은 "기록"으로서의 일반적 특성과 "개인"이라는 맥락이 부여한 고유한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이 글은 그 중에서도 고유한 특성에 관한 주목이 필요하며 개인 기록 관리에 관한 다양한 방법들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개인 기록이 갖는 고유한 특성을 구체적으로 고찰해야 한다는 문제 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이 글은 개인 기록이 갖는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두 가지 방법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먼저, 기록관리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을 담고 있는 표준인 ISO 15489: 2016와 개인 기록과 관련된 문헌 연구들을 중심으로 개인 기록의 생산 맥락, 기록관리 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는 개인 기록의 고유한 특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사람의 독특한 성질인 "성격(personality)"과 관련된 이론을 검토하고 개인 기록 관리에서의 적용 필요성을 검토했다. 아울러 국내의 기록 관리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실제 개인에 관한 기록 군에서 성격을 중심으로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것이 기록 관리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개인 기록이 갖는 고유한 특성이야말로 기록화 활동에 있어 수집대상에 대한 이해와 전략의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 기록이 가진 특성을 다양한 차원에서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개인 기록을 기록화하기 위한 전략의 핵심으로서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윤경. 1985. 한결 金允經全集.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 오석홍. 2014. 조직이론. 서울: 박영사.
  3. 한결 김윤경 선생 기념사업회. 1979. 한결 김윤경 선생. 서울: 보성문화사.
  4. 토박이사전 편찬실(엮). 2013. 보리 국어사전. 파주: 도서출판 보리
  5. 홍숙기. 2014. 성격심리. 서울: 박영사.
  6. 로광욱. 2000. 나의 평양행과 미국에서 본 정상회담. 역사비평, 52, 17-28.
  7. 이원규. 2008. 공공기록, 민간기록, 그리고 국가기록. 기록인, 5, 8-13.
  8. 정병준, 2002.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盧光郁 기증사료의 해제.목록, 국사편찬위원회(편). 해외사료총서 2. 미국소재 한국사 자료 조사보고 I-NARA 소장 RG 59.RG 84, 333-466.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9. 정병준, 2004. 김용중의 생애와 통일 독립운동. 역사문제연구소 2004년 학술토론회 자료집. 서울: 역사문제연구소.
  10. 최효진, 임진희, 2015.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기록학연구. 46, 95-152.
  11. 서동국. 2016.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개인 기록의 활용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심재련. 2016. 개인아카이브 활성화를 위한 기록정보서비스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최인혁 2015. 생애사 연구에 기반을 둔 개인 기록화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Liebert, R. M., & Liebert, L. L.1998. Personality. Strategies & issues. Pacific Grove, Calif. :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5. Pervin, L. A., & John, O. P. 1997.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7th Ed. New York : John Wiley & Sons.
  16. Craig, Barbara. 2001. "The Archivist as Planner and Poet" Thought on The Larger Issues of Appraisal for Acquisition, Archivaria, 52, 176-183.
  17. Cook, Terry. 1997. What is Past is Prologue: A History of Archival Ideas Since 1898, and the Future Paradigm Shift, Archivaria 43, 17-63.
  18. Hobbs, Catherine. 2001. The Character of Personal Archives: Reflections on the Value of Records of Individuals. Archivaria, 52, 126-135.
  19. Hobbs, Catherine. 2010. Reenvisioning the Personal Reframing Traces of Individual Life. In : Currents of Archival Thinking. Terry Eastwood and Heather MacNeil, ed. Santa Barbara, Calif. : Libraries Unlimited.
  20. Carter, Rodney & Fisher, Rob & Harris, Carolyn & Hobbs, Catherine. 2013. Perspectives on Personal Archives. Archivaria, 76, 1-5.

Cited by

  1. 기록학과 교육적 관점 기록향연, 몇 가지 단상 vol.57,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8.57.165
  2. 자기역사 구성에서의 SNS 게시물 기록 적용 연구 vol.64,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20.64.063
  3. 모두를 위한 플랫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기반 일상 아카이브 설계 vol.66,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20.66.157
  4. 가족아카이브의 사회적 확대를 위한 시론적 분석 vol.66,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20.66.229
  5. 노회찬 아카이브 기초 연구 vol.67, pp.None, 2021, https://doi.org/10.20923/kjas.2021.68.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