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Redesigning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전자기록관리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 이승억 (국가기록원 전자기록관리과) ;
  • 설문원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7.03.31
  • Accepted : 2017.04.17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In consideration of the drastic transformation of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redesigning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at a national level. First, it clarifies the four implicit objectives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since the 2006 amendment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such as comprehensiveness for ensuring the appropriate management of any type of digital records, digital-friendly processes for records management, proper management for guaranteeing the evidential value of digital records, and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records. Second, it examines the challenging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areas since 2006. Third, it reviews the achievement of the policies as well as failures based on analyzing the policy documents and data from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Fourth and finally, it suggests core areas and directions for redesigning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emphasizing the inclusiveness for data-type electronic records.

이 연구는 기록관리의 내외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전자기록관리정책이 전면 재설계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재설계 영역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 그간의 전자기록관리정책조사를 통해 전자기록관리대상의 포괄성, 프로세스의 기술 친화성, 전자기록의 증거력 보장, 전자기록의 장기보존이 주요 추진목표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그러한 정책목표 추구과정에서 새롭게 조성되고 있는 환경 변화를 검토하였다. 셋째, 앞에서 정리한 정책목표와 기록관리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현행 전자기록관리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국가기록원의 관련 문서와 보고서, 데이터를 토대로 검토하였다. 넷째, 정책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재설계되어야할 정책 영역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특히 '데이터형 전자기록'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전자기록을 핵심 관리대상으로 설정할 것을 강조하면서 정책 재설계 영역을 관리 패러다임의 전환, 절차적 관점에서의 신뢰 보장, 지속가능한 관리체계의 조성으로 잡고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2017. 차세대 기록관리 모델 재설계 제안요청서. 대전: 국가기록원, 2017. 2.
  2. 국가기록원 전자기록관리과. 2016a. 2016년도 웹 기록물 수집계획. 대전: 국가기록원, 2016. 6. 9.
  3. 국가기록원 전자기록관리과. 2016b.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기록관리 방안. 대전: 국가기록원, 2016. 12. 21.
  4. 국가기록원 전자기록관리과. 2016c. 전자기록 기술정보 수집 및 활용체계 구축기본계획(17년-21년). 대전: 국가기록원, 2016. 12. 21.
  5. 국가기록원 전자기록관리과. 2016d. 온나라기록 생산 및 관리실태 결과 공유. 대전: 국가기록원, 2016. 4. 11.(메모보고).
  6. 국가기록원 전자기록관리과. 2016e. 구전자문서 종합정리 추진 계획. 대전: 국가기록원, 2016. 11. 3.
  7. 설문원. 2005. 기록의 품질 기준분석 : 진본성, 신뢰성, 무결성 가용성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1, 41-89.
  8. 이규철. 2016. 행정정보시스템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의 이해와 고려사항, 2016년 기록관리 표준.거버넌스 포럼[자료집](2016. 4. 21. 대전 국가기록원).
  9. 이승억. 2013. 경계 밖의 수용 보존기록학과 포스트모더니즘. 기록학연구, 23, 189-223.
  10. 일리치, 이반. 2016. 텍스트의 포도밭. 정영목 역. 서울: 현암사.
  11. 폰 베이어, 한스 크리스천. 2007.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전대호 역. 서울: 승산.
  12. Brown, John Seely & Duguid, Paul. 2002. The Social Life of Documents. Retrieved February 9, 2017 from http://www.firstmonday.dk/issues/issue1/documents/index/html.
  13. Thibodeau, K. 2016. Breaking down the invisible wall to enrich archival science and practice. ICA 서울총회 발표문(서울, 2016. 9. 10).

Cited by

  1.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록분류 현황과 개선과제 vol.53,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3.229
  2. 공공기록물법 개정을 위한 방향과 과제 vol.54,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4.289
  3. 공공기관의 책임성 강화를 위한 기록평가제도의 재설계 vol.55,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8.55.005
  4.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
  5. 차세대 기록관리를 위한 법체계 개선방안 연구 vol.55, pp.None, 2018, https://doi.org/10.20923/kjas.2018.55.275
  6. 차세대 공공 전자기록의 조직 모형 개발을 위한 방향 탐구 vol.56,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8.56.183
  7. ISO 15489 개정판의 주요 특징에 관한 연구 vol.57,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8.57.075
  8. 복합적 기록 생산 환경에서의 평가를 위한 기록관리기준표 개선방안 A구 '공장설립 및 등록' 업무를 사례로 vol.58, pp.None, 2018, https://doi.org/10.20923/kjas.2018.58.147
  9.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진본인증 모형 연구 vol.89, pp.None, 2019, https://doi.org/10.20923/kjas.2019.59.047
  10. 기록물 폐기중지 제도 도입을 위한 쟁점 분석 vol.63,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20.63.071
  11.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적용 사례 분석: 전자인사관리시스템 데이터세트 관리기준표 작성을 중심으로 vol.21, pp.3, 2017,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