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ed Effect of Ego Resilien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Preschool Children's Peer Competence

어머니-유아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노지영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 이희선 (가천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7.02.15
  • Accepted : 2017.04.10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preschool children's peer competence mediated by ego resiliency Methods: The data from 318 preschool age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were used for this study. Mothers reported mother-child communication using three subscales from the revised parent-child communication inventory(Barnes & Oslom, 1982). This study used four subscales from the Korea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in order to calculate children's ego resiliency and used six subscales from the Child Behavior Scales(Ladd & Profile, 199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in SPSS 19.0. Results: Positive mother-child communication predicted a higher level of children's ego resiliency and peer competence. Ego resiliency fu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prosocial competence, rejection against peers and insecurity. And positive mother-child communication predicted lower levels of children's aggression, dissociality and irritability. Its association was also mediated by ego resiliency.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a mother's posi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 would enhance children's ego resiliency and peer competence in preschool children. Thus, the efforts to facilitate parents' positive communication skills in parent education can be promising for preschool children's positive development.

Keywords

References

  1. 고희선 (2010). 부모-유아 의사소통 및 형제변인에 따른 유아의 또래 간 갈등해결의 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희정(2010).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구상과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대권 (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기영 (2009).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및 대인관계성향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나리 (2013).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영 (2008).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유능감,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민아 (2005). 아동이 지각한 부모 간 갈등, 자아탄력성과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선경 (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초등학생의 사회성발달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정림, 이은정 (2014).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4), 95-113.
  10. 김현령, 류수민 (201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9(2), 193-209.
  11. 김희태, 김정림, 이임순, 남연정 (2014). 유아의 부정적인 또래 상호작용 행동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유아교육연구, 34(2), 29-48.
  12. 남현영, 이소은 (2004).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대인문제해결력.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485-496.
  13. 노은선 (2011).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민유정 (2008).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아동의 사회성 및 친구 간 갈등해결 전략.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주희, 이은혜 (2001). 취학 전 유아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1), 221-231.
  16. 박지영, 강성단, 권경숙 (2010). 유아의 성, 기질, 가정의 월수입,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사회적 유능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359-382.
  17. 박형신, 김정주 (2015).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효능감과 유아 심리적 건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0(4), 1-26.
  18. 배민정 (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양육태도 및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백경미 (200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백민정 (201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가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문연심 (2004).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유아의 공감과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4(1), 115-143.
  22. 서소정 (2006).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유아의 요구전략, 언어발달, 어머니의 친사회성에 관련된 양육신념 및 사회화전략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287-310.
  23. 서혜린 (2007).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손은희 (2009). 중학생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자아탄력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송정 (1999).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 개입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심성경, 김나림 (1997). 아버지-유아 의사소통과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17(2), 139-160.
  27. 심원희 (2003).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수준과 자녀 부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심희옥, 김영미 (2001). 부모와의 의사소통, 교사와의 관계 및 교내 외 활동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1(4), 159-175.
  29. 안지영, 오미경, 김지신 (2011). 애착이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친구 지지의 매개역할. 아동학회지, 32(6), 63-79. https://doi.org/10.5723/KJCS.2011.32.6.63
  30. 안라리, 김정아 (2005).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영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스트레스 및 또래 유능성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6(1), 329-350.
  31. 양인아 (2009). 5세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자기 조절력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오선주 (2004).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과 아동의 대인관계성향과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미경, 이윤경 (2014).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탄력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201-224.
  34. 이명순, 김종운 (2014).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1(1), 335-356.
  35. 이은영 (2012). 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과 또래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지연, 황순택, 이수경, (2001). 한국아동인성검사(KPI-C)의 자아탄력성척도(ERS) 타당도연구. 정신건강연구, 20, 213-225.
  37. 이현미 (2013).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혜지, 양성은 (2012).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거짓말 행동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0(4), 21-36.
  39. 이희선, 선우현정 (201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청소년 자아탄력성,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 방식 간의 관계: 청소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6), 109-122.
  40. 임정숙 (2006).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또래관계와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장명희 (2005).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친구관계의 질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장영애, 박정희 (2008). 부모의 양육행동 및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3(2), 69-85.
  43. 장영애, 엄윤경 (2009). 청소년의 부․모 애착과 또래 애착에 대한 부모의 양육행동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7(4), 3-16.
  44. 정정화 (2008).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 또래관계의 질 및 학교적응도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전은희 (2008).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탄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최경옥 (2004). 부모의 양욱태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최인숙 (2014). 유아의 언어능력 및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32(6), 47-58. https://doi.org/10.7466/JKHMA.2014.32.6.47
  48. 최진현 (2011). 아동의 놀이성과 친구관계 질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허지연 (2004).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 및 촉진적 의사소통 능력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홍연애, 이경희 (2004).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치원교사가 지각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영유아교육연구, 7, 121-140.
  51. 홍은숙 (2006). 탄력성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특수교육학연구, 41(2), 45-67.
  52. Barnes, H., & Olsen, D. 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In D. H. Olson, H. I. McCubbin, H. Barnes, A. Larsen, M. Muxen, & M. Wilson (Eds.), Family inventories (pp. 33-48). MN, St,paul: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5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54. Bhavnagri, N., & Parke, R. D. (1991). Parents as direct facilitators of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Effect of child and sex of parent.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8(3), 423-440. https://doi.org/10.1177/0265407591083007
  55.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 13, pp. 39-101). Hillsdale, NJ: Erlbaum.
  56. Dunn, J., Brown, J., & Bearsall, L. (1991). Family talk about feelings states and children's later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7(3), 448-455. https://doi.org/10.1037/0012-1649.27.3.448
  57. Chaplin, T. M., Cole, P. M., & Zahn-Waxler, C. (2005).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expression: Gender differences and relations to child adjustment. Emotion, 5(1), 80-88. https://doi.org/10.1037/1528-3542.5.1.80
  58. Coie, J. D., Dodge, K. A., & Kupersmidt, J. B. (1990). Peer group behavior and social status.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Crick, N. R. (1996). The role of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children's future soci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5), 2317-2327. https://doi.org/10.2307/1131625
  60. Guralnick, M. J. (1993). Develop 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children's peer relation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3(3), 344-371. https://doi.org/10.1177/027112149301300310
  61. Goldstein, S., & Brooks, R. B. (2006). Why study resilience? In S. Goldstein & R. B. Brooks (Eds.),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pp. 1-16). NY: Springer.
  62. Hartup, W. W. (1983). Peer relations. In E. M. Hetherington & P. H. Mussen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Vol. 4, pp. 103-196). NY: Wiley.
  63. Isley, S., O'Neil, R., & Parke, R. D. (1996). The relation of parental affect and control behaviors to children's classroom acceptance: A concurrent and predictive analysi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7(1), 7-23.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0701_2
  64. Ladd, G. W., & Profilet, S. M. (1996). The child behavior scale: A teacher-report measure of young childer's aggressive, withdrawn, and prosocial behaviors. Developmental Psychology, 32(6), 1008-1024. https://doi.org/10.1037/0012-1649.32.6.1008
  65. Lindsey, E. W., Cremeens, P. R., & Caldera, Y. M. (2010). Mother-child and father-child mutuality in two contexts: Consequences for young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9(2), 142-156. https://doi.org/10.1002/icd.645
  66. O' Dougherty, M., Wright, F. S., & Masten, A. S. (1997).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In J. D. Noshpitz, S. Greenspan, S. Wieder, & J. Osofsky (Eds.), Handbook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pp. 202-224). NY: John Wiley & Sons.
  67.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https://doi.org/10.2307/270723
  68. Sroufe, L. A. (1979). The coherence of individual development: Early care, attachment, and subsequent developmental issues. American Psychologist, 34(10), 834-841. https://doi.org/10.1037/0003-066X.34.10.834
  69. Topping, K. J., & Ehly, S. (Eds.). (1998). Peer-assisted learning. Mahwah, NJ: Erlbaum.
  70. Tugade, M. M., & Fredrickson, B. L. (2004). Resilient individuals use positive emotions to bounce back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2) 320-333. https://doi.org/10.1037/0022-3514.86.2.320
  71. Wine, J. D. (1982). Evaluation anxiety: A cognitive-attentional construct. In H. W. Krohne & L. C. Laux (Eds.). Achievement, stress, and anxiety (pp. 207-222). Wasington, DC: Hemispere.
  72. Wynne, L. C., Jones, J. E., & Al-Khayyal, M. (1982). Healthy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Observation in families 'at risk' for psychopathology, In F. Walsh (Ed.), Normal family processes (pp. 142-164). NY: Guilford Press.
  73. Zahn-Waxler, C., Denham, S., Ianotti, R. J., & Cummings, E. M. (1992). Peer relations in children with a depressed caregiver. In R. D. Parke & G. W. Ladd (Eds.), Family-peer relationships: Modes of linkage (pp. 317-344). Hillsdale. NJ: Erlb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