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Learner Motivation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on Learne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조미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 김미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Received : 2017.01.06
  • Accepted : 2017.02.09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nursing students to verify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acher-student interaction, educational performance, stress and learner motivation on learner satisfaction.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second and third year nursing students at E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ne 15, 2016 to June 24, 2016, and questionnaire comprised items to measure general characteristics, learner motivati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educational performance, and learner satisfaction. A total of 132 students were included for the final analysis. Learner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r= .21, p= .018), teacher-student interaction (r= .39, p<.001), educational performance (r= .21, p= .014), and learner motivation (r= .75, p<.001). In addition, learner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r= .24, p= .005), teacher-student interaction (r= .38, p <.001), and educational performance (r= .21, p= .018). Finally, learner motivation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were found to explain 59.7% of the variance of learner satisfaction. Our findings suggest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that boost learner motivation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which are required to improve learner satisfaction in nursing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새로운 학습법을 도입할 때 대상자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핵심역량, 스트레스와 학습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준비도 검사, 교사-학생관계척도, 대학생 핵심역량, 대학차원의 스트레스 측정도구, 학습동기 측정표, 학습만족도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E대학교 간호대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32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만족도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r= .21, p= .018), 교수-학생 상호작용(r= .39, p<.001), 핵심역량(r= .21, p= .014), 학습동기(r= .75,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학습동기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r= .24, p= .005), 교수-학생 상호작용(r= .38, p<.001), 핵심역량(r= .21, p= .018)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었으며, 이 2개의 변수로 구축된 회귀모형의 학습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59.7%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를 고취시키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중재가 필요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지영, "블렌디드 이러닝(Blended e-learning)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내재동기, 이러닝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6-23,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1.16
  2. A. J. Bennett, L. M. Arnold, and J. A. Welge, "Use of standardized patients during a psychiatry clerkship," Academic Psychiatry, Vol.30, No.3, pp.185-190, 2006. https://doi.org/10.1176/appi.ap.30.3.185
  3. 김지숙, 김영희,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203-212, 2016.
  4. 서지혜, 정종필, 최은주, "스마트 러닝을 활용한 아동간호학의 학습성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784-79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1.784
  5. 유문숙,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학습방법의 개발 및 효과분석 :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6. B. B. Wolman, Dictionary of behavioral science, Academic Press, 1989
  7. 송영아,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과 주제중심학습(Subjective Based Learning)간의 학습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태도 및 동기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pp.55-62, 2008.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1.055
  8. 최선주, 권말숙, 김선화, 김현미, 정양숙, 조금이,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건강사정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 의사소통능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1호, pp.97-105,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1.97
  9. S. Bates and R. Galloway, The inverted classroom in a large enrolment introductory physics course: a case study, The Higher Education Academy, 2012.
  10. 강민석, 임걸, "대학 이러닝 콘텐츠 기반 학습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습동기가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 11호, pp.1014-1023,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1014
  11. 정명순, 권혜진,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 구조모형,"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2호, pp.256-265, 2015.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2.256
  12. 김은희, 한국 대학생의 21세기 생애역량 준비도, 이화여자대학교, 2014.
  13. 송영숙,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삶의 질,"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71-80,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071
  14. 이옥희,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2003.
  15.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16. J. J. Stein, Asynchronous computer conferencing as a supplement to classroom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The impact of selected learner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amount of interaction, MI: Wayne State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997.
  17. 정재삼, 임규연,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제16권, 제2호, pp.107-135, 2000.
  18.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ProQuest Information & Learning, 1978.
  19. 김지자, 김경성, 유귀옥, 유길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평생교육학연구, 제2권, 제1호, pp.1-25, 1996.
  20. G. L. Fisher, Comparing writing with interviews and exams as assessment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derivative, Wisconsi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2001.
  21. 한송이,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2009.
  22. M. Kang, H. Heo, I. Jo, J. Shin, and J. Seo, "Developing an educational performance indicator for new millennium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Vol.43, No.2, pp.157-170, 2010. https://doi.org/10.1080/15391523.2010.10782567
  23. 유지수, 장수정, 최은경, 박지원, "한국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3호, pp.410-419, 2008.
  24. J. M. Keller,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Song, S. H Trans), 1sted., Seoul: Kyoyookbook (Original work published 1983), 1999.
  25. 유병민, 전종철, 박혜진, "대학 수업에서 개인적 성찰과 협력적 성찰이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9권, 제4호, pp.837-859, 2013.
  26. 조성문, 송해덕,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성찰 수준과 스캐폴딩 유형이 인지적 실재감 및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제51권, 제3호, pp.219-242, 2013.
  27. D. A. Cook, M. H. Gelula, D. M. Dupras, and A Schwartz, "Instructional methods and cognitive and learning styles in web‐based learning: report of two randomised trials," Medical Education, Vol.41, No.9, pp.897-905, 2007. https://doi.org/10.1111/j.1365-2923.2007.02822.x
  28. 추희영, 대학생 영어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학습 전략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영남대학교, 2010.
  29. 박혜정, 최명숙, "우리나라 교육에서 e-러닝의 학습효과와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4권, 제1호, pp.27-53, 2008.
  30. V. Simpson and E. Richards, "Flipping the classroom to teach population health: increasing the relevanc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Vol.15, No.3, pp.162-167, 2015. https://doi.org/10.1016/j.nepr.2014.12.001
  31. 한형종, 대학 역전학습 온.오프라인 연계 전략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5.
  32. 이성희, "학습동기향상프로그램이 학습부진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습관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1호, pp.5-12, 2006.
  33. L. M. Pachnowski and J. P. Jurczyk, Correlating self-directed learning with distance learning success, Paper presented to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Easter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learwater, FL, 2000.
  34. V. L. Salyers, "Teaching psychomotor skills to beginning nursing students using a webenhanced approach: a quasi-experiment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4, No.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