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Mibyeong Concept and User on the internet. - Focusing on Naver Jisik-iN Q&A, Cafe posts -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미병의 개념 및 사용자 분석 - 네이버 지식-iN과 카페를 중심으로 -

  • Kim, Sunmin (Mibyeong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Lee, Siwoo (Mibyeong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Mun, Sujeong (Mibyeong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김선민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 문수정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Received : 2017.03.25
  • Accepted : 2017.04.18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Objectives : Although interest in preventive medicine has increased recently, "Mibyeong", the preventive concept of Korean medicine, is still un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Mibyeong and users used on the Internet. Methods : Naver (www.naver.com), which has the highest ranking in terms of market share, number of visitors, search time share, and community category share, has been selected as a search target and jisik-iN Q&A and posts of cafe about Mibyeong were searched for recently approximately 6 years. Results : 105 cases of Jisik-iN Q&A and 283 cases of cafe posts were searched. Overall, the number of Jisik-iN Q&A and cafe posts's Mibyeong term usage was the highest in 2013. In the Internet user category, Mibyeong Term was used most commonly in the Jisik-iN Q&A by Korean medicine related medical personnel (29 cases, 28%) and in the cafe other health-related workers (87cases, 31%). In Mibyeong related cafe classification, Information Exchange (220 cases, 77%) was the most frequent and besides 39 cases (14%) used in Oper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concept of Mibyeong was often used as symptom-based rather than diagnostic test or disease (Cafe posts 52%, Jisik-iN Q&A 70%), in particular, topic of Mibyeong related Jisik-iN Q&A was used in the order of pain (31 cases, 16%), cancer (17 cases, 9%), fatigue (11 cases, 6%). Conclusions :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data of general Internet user group and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awareness promotion, publicity and necessity of Mibyeong.

Keywords

References

  1. 서건석, 김지영, 신민선. 2015년 의료기기산업 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5(81):1-125.
  2. World report on ageing and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WHO; 2014.
  3. 맹광호. 우리나라 예방의학 교육의 미래: 희망과 도전. 예방의학회지. 2006:39(1):7-12.
  4. 진희정, 백영화, 이영섭, 이재철, 김명, 김상혁. 미병 연구의 네트워크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26(4):546-550.
  5. 민진하, 백유상, 장우창, 정창현. 치미병 사상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0:23(1):257-277.
  6. 이상재, 이송실, 김도훈. '未病'연구의 경향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10:23(5):23-34.
  7. Lee JC, Kim SH, Lee Y, Song S, Kim Y, Lee S. The concept of Mibyeong (sub-health) in Korea: A Delphi study. EUJIM. 2013:5(6):514-518.
  8. 진희정, 이영섭, 유하나, 이시우. 미병 특허 동향 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5:19(3):21-28.
  9. 이상현. 삶의 질 향상 및 전통의학 계승발전을 위한 한의학 기술 및 정책 동향.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10:1-34.
  10. 이재철, 김동수, 장은수. 현지 기술 조사활동을 통한 중국의 미병 정책 및 의료서비스 최신 동향 보고.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3:17(1):137-147.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www.who.int/about/en/, April 7, 1998.
  12. Jin XL. Chinese medicine "treating disease" health project management research. dissertation. 2013.
  13. 于晓彦, 汤少梁, 王高玲. 中医药 "治未病" 健康管理 服务发展现状及推广对策研究. 江苏中医药. 2014:46(11):70-73.
  14. Yang LK. Clinical application of "Preventive Treatment of Disease" theory of TCM for perinatal care. CJCM. 2014:6(3):131-133.
  15. 이재철, 김상혁, 이영섭, 장은수, 이시우. 한의학의 미병 개념 및 변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대항예방한의학회지. 2012:16(2):31-39.
  16. 이은영, 이영섭, 박기현, 유종향, 이시우. 미병에 대한 한국 일반인의 인식과 미병률 현황 : 전국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5:19(3):1-10.
  17. 여민경, 박기현, 배광호, 장은수, 이영섭. 건강 증진을 위한 평소 증상 기반의 한열변증 설문지 개발 - 신뢰도를 중심으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6:30(2):116-123. https://doi.org/10.15188/kjopp.2016.04.30.2.116
  18. 박수정, 배영춘, 최나래, 류승엽, 권영미, 주종천. 만성 피로를 치료하기 위한 체질 약차 임상 연구. 대한약침학회. 2014:17(4):55-60. https://doi.org/10.3831/KPI.2014.17.037
  19. 미병의 유병률 현황조사 결과 보고서. (주)한국갤럽조사연구소-KIOM. 2013.
  20. Statista The Statistics Portal. https://www.statista.com/chart/, August 5, 2016.
  21. 류시원, 하유정.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실태 분석. 보건복지포럼. 2004:97:71-87.
  22. 박소연. 네이버와 구글의 모바일 통합 검색 컨텐츠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011:42(4):263-280.
  23. 유현재, 조은선, 안선희. 네이버(www.naver.com) 지식iN 건강/의료상담 서비스에 있어서 질문자와 답변 의사가 행하는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0:3-7.
  24. 김성진. 네이버 지식iN을 매개로 국민건강 챙긴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의료정책포럼 6(4). 2008:6(4):147-150.
  25. 네이버연혁. http://www.navercorp.com/ko/company/companyHistory.nhn
  26. 랭키닷컴. http://www.rankey.com/
  27. 이은영, 박기현, 유종향, 이시우. 일반인의 미병 인식 변화 양상과 관리방안 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6:20(1):1-10.
  28. 김윤경, 임병묵. 네이버 지식인을 통해 본 한의학 인터넷 건강 상담의 현황.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3:17(1):51-63.
  29. 남보령, 김상현, 이명구, 김상균. 한의 건강 지식의 공유를 위한 포털의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6:16(6):614-62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614
  30. 김주영, 조찬형, 장세정, 윤은정. 2015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1-415.
  31. OECD Statistics. http://www.oecd.org/sti/broadband/, August 2, 2016.
  32. 2015년 모바일인터넷이용 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