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trengthening Hwaban Design in the Two-ikgong Style Government Build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ed on the T-shaped Wooden Shrines and Salleung-dogamuigwes-

조선후기 이익공식 관영건축에서 화반의 의장성 강화 -정자각과 산릉도감의궤를 중심으로-

  • 이상명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 Received : 2017.02.14
  • Accepted : 2017.04.11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strengthening Hwaban(flower-shaped support) design in the Two-lkgong style government build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T-shaped wooden shrines, the architectures of royal palace and royal ancestral shrin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First, Janghwaban(the long plate carved with flower-shaped support) was installed in Injeongjeon(1805) for the first time. It took 40 years to introduce Janghwaban to the government building of Two-lkgong style compared with Injeongjeon. Second, the quantity of Hwaban had been increased from 1 to 5 for 300 years in the government building of Two-lkgong style. This had been steadily increased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design. Third, there was a limit to the increase in the quantity of Hwaban. The first reason was to control the rhythm between the Hwaban and the Pobyeok(the wall between Hwabans). The second reason was that if the Pobyeok was too narrow, it was difficult to plaster. The latter was solved by introducing the Janghwaban. Fourth, in attempting to stylize differently from Jusimpo(simple bracket system), the quantity of Hwaban increase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government building of the Two-lkgong style. Since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Hwaban combined style with Ungong served as the norm of the royal palace architecture in the last Joseon period.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욱.김경표.이왕기.박명덕, 朝鮮時代 建築用語 硏究 :朝鮮後期 營建儀軌書에 기록된 部材名稱의 變遷에 대하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권, 3호, 1990
  2.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3. 김왕직, 조선후기 관영건축공사의 건축경제사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4.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 2009
  5.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I, 2011
  6.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II, 2012
  7.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V, 2013
  8.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 2013
  9.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I, 2014
  10.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II, 2014
  11.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III, 2015
  12.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X, 2015
  13.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宗廟 正殿 實測調査報告書, 1989
  14. 문화재관리국, 창덕궁 인정전 실측조사보고서, 1998
  15. 문화재관리국, 昌德宮 芙蓉亭.芙蓉池 實測調査報告書, 1989
  16. 문화재청, 景福宮 修政澱 修理報告書, 2000
  17. 문화재청, 景福宮 慈慶殿 및 慈慶殿 十長生굴뚝 實測調査報告書, 2010
  18. 문화재청, 慶會樓 實測調査 및 修理工事報告書, 2000
  19. 문화재청, 光陵및 徽慶園 補修工事 修理報告書, 2007
  20. 문화재청, 구리 동구릉 숭릉 정자각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3
  21. 문화재청, 東九陵 健元陵 丁字閣 및 碑閣 修理報告書, 2006
  22. 문화재청, 東九陵 綏陵 丁字閣 修理報告書, 2004
  23. 문화재청, 宣.靖陵 宣陵 丁字閣 修理報告書, 2007
  24. 문화재청, 英陵 丁字閣 지붕補修工事 修理報告書, 2007
  25. 문화재청, 인릉(仁陵) 정자각 및 비각 수리보고서, 2009
  26. 문화재청, 종묘 영녕전 정밀실측조사 설계용역 보고서, 2013
  27. 문화재청, 昌慶宮 通明殿 實測調査報告書, 2001
  28. 문화부 문화재관리국, 昌德宮 舊璿源殿 實測調査報告書, 1992
  29. 문화재청, 창덕궁 주합루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6
  30. 문화재청, 昌德宮 新璿源殿 修理報告書, 2001
  31. 문화재청, 昌德宮 熙政堂 修理報告書, 2002
  32. 문화재청, 화성 건릉 정자각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2013
  33. 문화재청, 화성융릉 정자각 및 비각수리보고서, 2008
  34. 문화재청, 휘릉 정자각 및 비각 수리보고서, 2009
  35.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대조전.희정당 내부 시설정비공사 수리보고서, 2011
  36.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창덕궁 승화루 및 일곽 실측.수리보고서, 2005
  37.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昌慶宮 歡慶殿 補修工事, 2010
  38. 박기선, 韓國木造建築의 花盤에 關한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39. 수원시.화성사업소, 水原 八達門 解體.補修工事 修理報告書, 2013
  40. 역사건축기술연구소, 우리 궁궐을 아는 사전 1: 창덕궁_후원_창경궁, 돌베개, 2015
  41.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의궤에 기록된 조선시대 건축, 동녘, 2010
  42. 이달훈, 翼工系 栱包의 發生 및 變遷過程 硏究,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43. 이상명, 산릉의궤 정자각을 통해 본 조선후기 관영건축의 시공기술,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44. 창덕궁관리소, 2005년 함원전 보수공사, 2005
  45. 홍병화, 조선중기 공포형식 간의 장식요소 상호영향과 그 의미, 건축역사연구, 25권, 6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