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of Morality on the Korean Drama Characters and the Drama Enjoyment and Quality Evaluation by Foreign Audience

외국 시청자들의 한국 드라마 등장인물에 대한 도덕성 평가와 드라마 '흥미도'와 '질 평가'와의 관계 분석

  • 이혜은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
  • 유세경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
  • 정윤경 (순천향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이유진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 Received : 2017.02.09
  • Accepted : 2017.04.27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United States, Chinese, and Japanese viewers perceive the morality of the main characters in the family drama 'Take Care of Mom' and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morality has on drama enjoyment and quality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viewers from all three countries evaluated 'Hoonjae' favorably and evaluated selfish older brother, 'Hyung Kyu', unfavorably. This means there are common norms that exist in all three countries for judging the good and evil in a drama. However, the main female characters that played opposing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differently from all three countries. This i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role of mother and woman were perceived differently from each country. These results support the argument that consumption of drama may differ by viewer's cultural background. Additionally,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moral evaluation of major characters will influence the drama enjoyment and evaluation of the drama quality' was not supported in China and Japan, and was only supported by the U.S. viewers.

본 연구는 미국, 중국, 일본 시청자들이 한국에서 방영된 대표적인 가족 드라마인 '부탁해요, 엄마'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의 성격, 태도 행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인식을 근거로 인물의 '도덕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살펴보고 시청자들의 도덕성 평가가 드라마 흥미도와 질 평가에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남자 주인공 훈재'의 경우 3개국 시청자 모두 호의적으로 평가하였고, 이기적인 큰아들 형규는 3개국 시청자 모두 부정적으로 평가하여, 드라마의 선과 악을 판단하는 공통된 규범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진애, 영선, 산옥 등 부모와 자식의 역할에서 대립되는 양상을 보인 주요 여성 인물들에 대해서는 3개국 시청자 간에 평가가 엇갈렸다. 이는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 엄마와 여성의 역할에 대한 생각이 시청자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주요 등장인물에 대한 도덕성 평가가 수용자가 느끼는 드라마 흥미도나 드라마의 질 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연구가설 역시 국가마다 다르게 검증되었는데 중국, 일본의 경우 지지되지 않았고 미국 시청자들에게만 지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L. Antola and E. M. Rogers, "Television flows in Latin America," Communication Research, Vol.11, No.2, pp.183-202, 1984. https://doi.org/10.1177/009365084011002004
  2. J. Straubhaar and G. M. Viscasillas, "Class, genre, and the regionalization of television programming,"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1, No.1, pp.53-70, 1991.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1.tb02292.x
  3. K. Iwabuchi, Becoming "culturally proximate": The a/scent of Japanese idol dramas in Taiwan, Asian media productions, pp.54-74, 2001
  4. S. Park and Y. Hwang, "Effects of cultural proximity and relative market size on the trade of television programs,"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Conference, Seoul, Korea, 2002.
  5. M. Elasmar, The Impact of International Television: A Paradigm Shif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3.
  6. 정윤경, "수입 프로그램에 대한 노출 및 태도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6호, pp.34-61, 2004.
  7. 양혜승, "드라마 수용자는 어떤 특성을 지닌 등장인물을 시청하려 하는가?," 한국방송학보, 제31권, 제1호, pp.78-106, 2017.
  8. D. Zillmann and J. R. Cantor, A disposition theory of humour and mirth, 1976.
  9. D. Zillman, "Television viewing and psychological arousal," In J. Bryant and D. Zillman (Eds.), Responding to the screen: Reception and reaction process, Hillsa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103-133, 1991
  10. A. A. Raney, "The psychology of dispositionbased theories of media enjoyment," In J. Bryant and P. Vorderer (Eds.), Psychology of entertainment, Mahwah, NJ: Erlbaum., pp.137-150, 2006.
  11. A. A. Raney, "Expanding disposition theory: Reconsidering character liking, moral evaluations, and enjoyment," Communication Theory, Vol.14, No.4, pp.348-369, 2004 https://doi.org/10.1111/j.1468-2885.2004.tb00319.x
  12. 영상콘텐츠 제작 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50555&cid=58190&categoryId=58190, 2014.
  13. 이민규, 우형진, "탈북자들의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에 따른 남한사회 현실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6호, pp.248-273, 2004.
  14. H. Newcomb and P. Hirsch, "Televison as cultural forum: Implications for research," Quarterly Review of Film Studies, Summer, pp.44-55, 1983.
  15. 유세경, 김명소, 이윤진,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태도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1호, pp.245-288, 2004.
  16. 정윤경, 유세경, 이혜은, 김지하, "미국 여성 시청자의 한류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40-5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040
  17. 김미선, 유세경, "일본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44-5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044
  18. 박승우, "동아시아 3 국의 한류: 한국, 중국, 일본수용자 분석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23권, 제1호, pp.41-77, 2015.
  19. Rene Weber, Ron Tamborini, Hye Eun Lee, and Horst Stipp, "Soap Opera Exposure and Enjoyment: A Longitudinal Test of Disposition Theory," Media Psychology, 제11권, 제4호, pp.462-487, 2008. https://doi.org/10.1080/15213260802509993
  20. 강명구, 김수아, 서주희, "동아시아 텔레비전 드라마가 재현한 가족과 가족 관계,"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6호, pp.25-56, 2008.
  21. 이한우, "베트남에서의 한류, 그 형성과정과 사회경제적 효과,"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제42권, pp.93-113, 2002.
  22. M. L. Chuang and E. H. Lee, "Korean wave: Enjoyment factors of Korean dramas in the U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Vol.37, No.5, pp.594-604, 2013. https://doi.org/10.1016/j.ijintrel.2013.07.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