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안전 정보의 효율적 제공방안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피서철 해수욕장 안전사고 및 비선박 사고의 감소를 위해 본고에서는 연안해역정밀조사 자료를 활용한 해양안전지도의 제작 및 체감형서비스를 구축하여 서비스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해양안전에 관련한 각종 자료를 수집, 현장조사, GPS측량, 전문가 및 현지주민의 인터뷰 등을 통해 취득하였다. 서비스에 이용될 기본 배경지도로는 5m급 육상 지형기복도와 국립해양조사원의 수심자료를 사용한 해저지형기복도를 융합하여 제작, 이용하였다. 각종 해양안전관련 정보들은 해양영토(구역), 어촌양식, 항로, 각종사고이력, 시설, 위험요소 등 해양안전과 관련한 총 26종의 다양한 분류체계를 구성하여 구축하였다. 이렇게 수집, 구축된 기본 해양공간정보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정보의 전달성을 고려하여 국민이 간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형태의 사이트(해수욕장 등)별 도면 형태의 해양안전지도를 제작하고, 개방형 대국민 해양공간정보 웹서비스인 '개방해(海)', 해양전문 공공기관용 웹서비스인 '공유해(海)' 대국민 해야안전정보 앱서비스 안전해(海)'와 시스템들을 구축하여 서비스 방안을 구축하였다. 각 서비스에는 해양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각종 안전 및 위험정보 콘텐츠들을 수록하였고, 목적에 따라 이용가능한 분석 기능들을 제공하였으며, 위험구역에 노출될 경우 사용자간 위험을 알려주는 알림 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위험에 노출되고 조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현재 각종 기관에서 해양공간정보의 이용을 확대하고자 연계신청 증가와 더불어, 대국민 서비스 이용자수가 증가하는 실적을 기록하였으며, 향후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서 안전사고, 안전대응, 안전관리 등의 분야에서 대책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선박안전기술공단, 2007, 소형어선의 기관사용실태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2. 선박안전기술공단, 2007, 어선의 인명사고 원인분석에 관한 기초 조사연구
  3. 해양수산부, 2005, ISM Code 국내도입 성과분석 및 발전 방안 수립 연구
  4. 해양수산부, 2002, 수산관련 보험공제제도의 도입 및 활성화 방안
  5. 해양수산부, 2006, IMO GUIDE BOOK
  6. 해양수산부, 2007, 수산업 연차보고서
  7. 세계해양포럼, 2010, 기후변화와 해양의 도전-블루이코노미 시대를 향하여
  8. 중앙해심, 2013, 해양사고 통계현황
  9. 해양수산부 , 2013, 해양사고 등의 수습에 관한 규정
  10. 임기택 , 2010, 해양안전증진을 위한 우리나라 주요해사 안전정책
  11. Wickens C. D. et. al, 2008, An introduction to human factors engineering
  12. McDonald, R., 2006, Safe Manning of Ships -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13. USCG, 2000, Simplified Crew Size Evaluation Method;Report No. CG-D-13-00
  14. USCG, 1998, Report No. CG-D-10-99;Crew Fatigue and Performance on U.S Coast Guard Cutters
  15. USCG, 1996, Report No. CG-D-09-97;Procedures for Investigating and Reporting Human Factors and Fatigue Contribution to Marine Casualties
  16. USCG, 2008, Marine Safety Manual(Volume V: Investigations and Enfor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