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Experiences of Prisoners' Families - Driven into Blame and Survival Situation -

수용자 가족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비난과 생존 사이에서 -

  • Received : 2016.12.01
  • Accepted : 2017.02.14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evidence for supporting the families of people in prison, through understanding their families who have suffered for their imprison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seven family members with their spouse, son or daughter, or sibling in prison. The Giorigi's approach of analysis for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to explore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prisoners' families. This qualitative research drew five components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s of prisoners' families : 'Living with the bridle named as the family of a prisoner', 'The pain having to hide from the public', 'Having ambivalence', and 'condemn the sin, but no the sinner', 'Picking oneself up'. The essential subjection of their experiences was interpreted into 'Face life, , with being under a yok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actical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is needed to support the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recovery of the prisoners' families.

본 연구는 자신의 잘못이 아닌 가족의 범죄와 수감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살아가는 수용자 가족을 이해하고 사회적 관심을 이끌어 내어 수용자 가족에 대한 지원의 근거자료를 삼기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는 남편, 자녀, 형제 등의 수용된 가족을 둔 7명의 성인이 참여했다. 연구방법으로 수용자 가족들의 경험의 본질을 살펴보고자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인 Giorigi의 분석틀을 원용하여 해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용자 가족들의 경험은 '굴레를 쓰고 살아가다', '숨겨야 하는 고통', '양가감정',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마라', '다시 일어서다'라는 5개의 구성요소로 도출 되었고 본질적 주제는 "멍에를 짊어지고 삶과 맞서다" 라고 해석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수용자 가족의 심리, 정서, 사회적 회복을 돕고 수용자 자녀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 개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옥, 2008, 중도장애인의 레질리언스(Resilience)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0(2): 99-129.
  2. 박선영.신연희, 2012, 수용자 자녀문제에 관한 미국과 영국의 사례분석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3. 박선영, 2013, 범죄의 대물림 방지를 위한 수용자 자녀지원과 경찰의 역할, 자치경찰연구, 6(1): 117-138.
  4. 박선영, 2016, 수감자 자녀 인권관점으로 본 대한민국의 형사사법절차, 한.미.일 아동인권관점에서 본 수감자 자녀지원 필요성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5. 박혜준.이승연 역, 2009,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교육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한 안내, Irving Seidman, 2006,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3rd Revised edition edition), 학지사.
  6. 법무부, 2014, 가족사랑캠프 평가보고서, 법무부 교정본부 사회복지과 내부자료.
  7. 법무연수원, 2015, 2014 범죄백서.
  8. 신연희.변호순, 2014, 아버지의 수용과 자녀들의 문제행동 : 재정불안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미국의 사례, 교정연구, 63: 145-171.
  9. 신연희.이백철, 2008, 여자비행청소년의 성적학대에 대한 치유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법무부.
  10. 신연희, 2011, 수용자 가족관련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교정담론, 5(2): 111-146
  11. 신연희, 2013, 수용자 가족캠프의 운용과 가족건강성 효과평가, 교정연구, 59: 103-126..
  12. 신연희, 2014, 부모가 교도소에 있는 자녀 및 자녀양육자들의 프로그램 욕구와 클라이언트중심 접근의 적용, 교정담론, 8(2): 281-306.
  13. 신연희, 2015a, 부모가 교도소에 있는 아이들 지원 필요성과 지원방안, 한.일 수용자 자녀 및 가족지원에 관한 실태와 과제 정책 세미나 토론자료, 아동복지실천회세움.
  14. 신연희, 2015b, 출소자 가정복원을 위한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방안 연구,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15. 신연희, 2015c, 부모의 교도소 수용에 따른 자녀들의 문제행동 관련요인 -출소준비 수형자 및 출소자대상 조사, 한국아동복지학, 51: 219-249.
  16. 신연희, 2016, 부모 수용 후 자녀들의 가정환경에 관한 연구, 교정담론, 10(1): 129-158.
  17. 아베 교코, 2015, WOH지원, 한.일 수용자 자녀 및 가족지원에 관한 실태와 과제 정책 세미나 토론자료,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18. 아베 교코, 2016, 한.미.일 아동인권관점에서 살펴본 수용자 자녀 지원의 필요성에 관한 심포지엄 자료집,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19. 유태균 역, 2005,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Deborah K. Padgett, 198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 Challenges and Reward, 나남.
  20. 이경림.최경옥, 2016, 이 땅에서 수용자 가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교정담론, 10(1): 159-196.
  21. 이남인, 2014, 현상학과 질적연구, 한길사.
  22. 이윤호.김순석, 2008, 수용자와 가족간의 친밀도가 수형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14(2): 105-126.
  23. 장혜경, 2008, 현상학적 연구,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의 실제, 학지사.
  24. 전영실.신연희.김영식, 2007, 수형자 가족관계 건강성 실태조사 및 향상방안 연구: 법무부 연구용역보고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5. 전영실.신연희, 2009, 수용자 가족방문 실태 및 그 효과, 교정연구, 45: 279-303.
  26. 한진여 역, 2014, 가해자 가족: 공동 책임자인가 또 다른 피해자인가, 鈴木伸元(스즈키 노부모토), 2010, 加害者家族, 섬앤섬.
  27. 홍한별 역, 2016,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 Sue Klebold, 2016, A Mother's Reckoning: Living in the Aftermath of Tragedy, 반비.
  28. 홍현미라 외, 2008,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의 실제, 학지사.
  29. Bilchik, S., 2007, Mentoring: A Promis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of Prisoners Research in Action, Issue 10, Mentor, National Mentoring Foundation.
  30. Hostetter, E. C., and Jinnah, D. T., 1993., Research Summary: Families of Adult Prisoners, Prison Fellowship Ministries.
  31. Giorgi, A.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dvanced worksho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Advanced Workshi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2-55.
  32. Miller, Kava M., 2006, The Impact of Parental Incarceration on Children: An Emerging Need for Effective Interventions,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23(4): 472-486. https://doi.org/10.1007/s10560-006-0065-6
  33. Murray, Joseph, 2005, The Effects of Imprisonment on Families and Children of Prisoners in The Effects of Imprisonment, edited by Liebling, Alison and Maruna, Shadd eds., New York: Willian Publishing, 442-462.
  34. Murray, Joseph, and David P. Farrington., 2005, Parental imprisonment: effects on boys' antisocial behaviour and delinquency through the life‐cours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6(12): 1269-1278. https://doi.org/10.1111/j.1469-7610.2005.0143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