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주의 장애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산수준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Disability of Household Head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Asset and Self-Esteem

  • 투고 : 2017.02.07
  • 심사 : 2017.04.17
  • 발행 : 2017.05.31

초록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9차년도(2014) 자료를 사용하여 가구주의 장애여부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자산수준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주의 장애는 삶의 만족도와 자산수준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각각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가구주의 자산수준은 삶의 만족도에, 자아존중감에 각각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구주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가구주의 장애여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산수준과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가구주의 장애여부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자산수준과 자아존중감의 다중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성인 장애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저축프로그램 설계의 개입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장애인의 저하된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Sherraden의 자산효과이론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측면을 재조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asset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of household head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9th panel data of KoWePS(Korean Welfare Panel Study) and employed path analysis with A-MOS.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sability of household head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otal assets, and self-esteem. Second, we found not full but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asse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Third, similarly we found not full but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Finally, we found multipl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assets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inancial education as well as asset management targeting persons with disability are necessary and very helpful to sustain their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we need to think about asset-building programs targeting persons with dis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오형, 2015, "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정규직여부의 조절효과분석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25(4): 297-319.
  2. 김계하, 2005, "후천성 지체장애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광석, 2014, "무엇이 '삶의 질'을 결정하는가? OECD 'Better Life Index'를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추정 및 국제 비교", 보건복지포럼, 214: 89-99.
  4. 김대규.신동환, 2015,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강수준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재활복지, 19(1): 151-172.
  5. 김성희.이연희.황주희.오미애.이민경.이난희.강동욱.권선진.오혜경.윤상용.이선우, 2014,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김자영.한창근, 2015, "노인가구의 자산수준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관계망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복지정책, 42(1): 55-79.
  7. 김자영.한창근, 2016a, "장애인 가구주의 사회적 배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산수준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42(2): 169-190.
  8. 김자영.한창근, 2016b, "자산수준과 취업여부가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장애와 고용, 26(3): 5-30.
  9. 김정희.김은혜.이진수, 2010, 장애인 주거지원 방안 연구, (재)한국장애인개발원.
  10. 김지혜, 2012, "청소년 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공동체 의식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봉사활동 시간과 주관적 만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1): 41-62.
  11. 김태완.최현수.김미곤.여유진.김문길.손창균.이선우.우선희.김성아.신재동.이주미.정희선.송치호, 2013, 2013년 최저생계비 계측 조사 연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12. 김태일.김수용, 2009,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삶의 질 격차 분석", 제1회 장애인고용패널학술대회 자료집, 263-284.
  13. 노승현, 2007, "노화에 따른 지체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구축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디딤씨앗통장, 2016, "디딤씨앗통장 소개: 디딤씨앗통장은?", http://www.adongcda.or.kr.
  15. 문수백, 2015,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6. 박수경, 2008, 장애의 사회적 의미와 사회통합, 서울: 집문당.
  17. 박자경, 2009,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모형 구축 및 검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백은령, 2003,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환경 요인과 사회통합정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서울시복지재단, 2014, 저소득층 자산형성 지원 사업 성과분석 연구, http://www.welfare.seoul.kr.
  20. 석상훈, 2012, "자산빈곤의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186: 22-31.
  21. 송지준, 2011,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22. 오세란, 2006,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삶의 질 비교연구: 정신지체인을 중심으로", 재활복지, 10(2): 38-62.
  23. 유정원, 2011, "빈곤이 청소년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생태체계변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윤상용.김태완, 2012, "장애인과 저축: 저축 결정 요인과 고용상태 및 생활 만족도 효과",장애와 고용, 22(3): 101-124.
  25. 이성은, 2009, "여성장애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복지학, 27: 209-242.
  26. 전용호, 2009, 차별로부터의 자유, 그 당당한 삶을 위한 장애인 복지, 서울: 학문사.
  27. 정미영.심미영, 2009, "이용시설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프로그램 참여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4): 1539-1557.
  28. 정은의, 2006, "사회경제적 요인과 기혼여성 행복간 관계 : 개별성-관계성의 조절효과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정인희, 2012, "성인 생애주기별 자아존중감과 영향요인 연구 : 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한국위기관리논집, 8(6): 231-247.
  30. 최아름, 2011, "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한일비교 연구 : 경제, 사회, 신체, 심리요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최현수.한창근.최준영, 2012, 탈수급 촉진을 위한 희망키움통장 참여가구 모니터링 및 평가연구 - 3차,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허 준, 2013,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 기초편. 서울: 한나래출판사.
  33. 홍성원, 2012, "은퇴자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 고령화연구패널 2차 자료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홍세희,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다양한 확장: 중급, 서울: S&M 리서치그룹.
  35. 황혜원, 2011,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체계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8(3): 1-26.
  36. Aaronson, D. 2000, "A note on the benefits of homeownership", Journal of Urban Economics, 47(3): 356-369. https://doi.org/10.1006/juec.1999.2144
  37. Aprile, I., Piazzini, D. B., Bertolini, C., Caliandro, P., Pazzaglia, C., Tonali, P., and Padua, L. 2006, "Predictive variables on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out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Neurol Sci, 27: 40-46. https://doi.org/10.1007/s10072-006-0563-5
  38. Cairney, J. 2005, "Housing tenur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uring adolescence", Environment and Behavior, 37(4): 552-564. https://doi.org/10.1177/0013916504270697
  39. Caner, A., and Wolff, E. 2004, "Asset poverty in the United States", 1984-1999. Challenge, 47: 5-52.
  40. Chan, W. 2007,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SEM: A Sequential Model Fitting Method Using Covariance-Equivalent Specific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4(2): 326-346. https://doi.org/10.1080/10705510709336749
  41. Dew, J. 2007,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 Differing Roles of Assets and Consumer Debt in Marriage", Journal of Family Economic Issues, 28: 89-104. https://doi.org/10.1007/s10834-006-9051-6
  42.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and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43. Dijkers, M. 1997, "Quality of life after spinal cord injury: a meta analysis of the effects of disablement components", Spinal Cord, 35: 829-840. https://doi.org/10.1038/sj.sc.3100571
  44. Guekht, AB., Mitrokhina, TV., and Lebedeva, AV. 2007,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epilepsy", Seizure, 16(2): 128-133. https://doi.org/10.1016/j.seizure.2006.10.011
  45. Hicken, B. L., Putzke, J. D., Novack, T., Sherer, M and Richards, J. S. 2002, "Life satisfaction following spinal cord and traumatic brain injury: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39(3): 359-366.
  46. Han, C.-K. and Hong, S.-I. 2011, "Assets and Life Satisfaction Patterns among Korean Older Adults: Latent Class Analysis", Social Indicators Research, 100(2): 225-240. https://doi.org/10.1007/s11205-010-9613-8
  47. Han, C.-K. and Hong, S.-I. 2013, "Trajectories of Volunteering and Self-Esteem in Later Life: Does Wealth Matter?", Research on Aging, 35(5): 571-590. https://doi.org/10.1177/0164027512449472
  48. Kwan, V.S.Y., Bond, M. H., and Singelis, T. M. 1997, "Pancultural Explanations for Life Satisvaction_Adding Relationship Harmony to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5): 1038-1051. https://doi.org/10.1037/0022-3514.73.5.1038
  49. Lehman, A. F., Ward, N. C., and Linn, L. S. 1982, "Chronic mental patients: The quality of life issu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10): 1271-1276. https://doi.org/10.1176/ajp.139.10.1271
  50. Manuel. J. C., Balkrishnan. R, Camacho. F, Smith. B. P., and Koman., L. A. 2003, "Factors associated with self-esteem in pre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2: 456-458. https://doi.org/10.1016/S1054-139X(03)00050-8
  51. McKernan, S.-M., and Sherraden, M. 2008, Asset Building And Low-Income Families. Washington, DC : The Urban Institute Press.
  52. Parish, S. L., Grinstein-Weiss, M., Yeo, Y. H., Rose, R. A., and Rimmerman, A. 2010, "Assets and Income: Disability-based Disparities in the United States", Social Work Research, 34(2): 71-82. https://doi.org/10.1093/swr/34.2.71
  53. Sherraden, M. 1991, Assets and the Poor: A New American Welfare Policy, Armonk, NY: M.E. Sharpe.
  54. Shin, D. C., and Johnson, D. M. 1978,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5: 475-492. https://doi.org/10.1007/BF00352944
  55. Ssewamala, F. M., Han, C. K., and Neilands, T. B. 2009, "Asset Ownership and Health and Mental Health Functioning Among AIDS-Orphaned Adolescents: Findings From a Randomized Clinical Trial in Rural Uganda",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9(2): 191-198.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9.05.019
  56. Yeo, R. and K. Moore. 2003, "Including Disabled People in Poverty Reduction Work:-Nothing About Us, Without Us", World Development, 31(3): 571-590. https://doi.org/10.1016/S0305-750X(02)00218-8
  57. Zhang, L., and Leung, J. P. 2002,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mainlan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7(2): 83-91. https://doi.org/10.1080/00207560143000252
  58. Zhang, L. 2005, "Prediction of Chinese life satisfaction: Contribution of collective self-esteem",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0(3): 189-200. https://doi.org/10.1080/00207590444000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