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ting Priorities by Computer Science Area Through Quantification of CS2013 Knowledge Area

CS2013 지식영역의 계량화를 통한 컴퓨터과학 영역별 우선순위 설정

  • 유병건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 이원규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Received : 2017.04.17
  • Accepted : 2017.05.28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Countries that considered importance of the quality management of higher education are strengthening through various systems and methods. Field of computer science also, they have constantly made efforts, such as constituting standards of curriculum for the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f we know the priorities of the knowledge area mentioned in the standard of curriculum of computer science, we can give implications to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 system. Therefore, we derive the ranking based on base on CS2013 the lesson time number of Tier 1, Tier 2, Elective, and detail areas for content elements. As a result, the knowledge area with the highest priority was Software Development Fundamentals. The knowledge area is recommended as a beginner course in CS2013 because it is a basic element. The priorities of these areas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elementary and secondary informatics curriculum, higher liberal arts informatics curriculum, Informatics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agency.

고등교육의 질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한 국가들은 다양한 제도나 방법을 통해 교육의 질 강화를 진행하고 있다. 컴퓨터과학 분야에서도 고등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과정 표준을 구성하는 등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컴퓨터과학 분야 교육과정 표준에서 언급한 지식영역의 우선순위를 파악해 보면, 내용체계 구성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CS2013을 토대로 내용요소에 대한 Tier1, Tier2, Elective의 시수와 세부영역의 수를 중심으로 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지닌 지식영역으로는 Software Development Fundamentals이었다. 해당 지식영역은 CS2013에서 기초 요소이기 때문에 초급코스로 권장한다고 기술되기도 하였다. 도출되어진 영역별 우선순위가 향후 초중등 정보교육과정이나 고등 교양 정보교육과정, 교원양성기관의 정보교육과정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화, 백정하, 이윤미, 서정화, 신현석 (2009). 고등교육의 이해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 이원규(2016). 대학교육의 분야별 질 보증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상의 참조기준 정보학 분야. 컴퓨터교육학회 기고문. 19(3).
  3. 신동은, 최금진(2011). 한국, 일본, 대만의 공학교육인증 평가체제 및 평가기준 비교. 교육행정학연구. 19(1), 319-345.
  4. 김정희, 주동범, 박현주(2012). 호주 고등교육 질관리기구(TEQSA)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2(5), 127-154.
  5. 채재은, 이병식(2007). 고등교육 질 보장 (Quality Assurance) 접근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미국, 호주,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38(1), 215-235.
  6. 최금진(2015). 영국의 고등교육과 질 관리 평가에 관한 연구. 비교교육연구. 25(4), 63-91.
  7. 萩谷昌己(2014). 정보학을 정의한다 - 정보학 분야의 참조기준. 일본정보처리학회. 55(7), 734-743.
  8. 한경 경제용어사전. http://dic.hankyung.com
  9. 미래창조과학부. http://www.msip.go.kr
  10. 일본정보처리학회(2009). 표준교육과정 컴퓨터과학 J07-CS. 일본정보처리학회 컴퓨터과학교육 위원회.
  11. ACM IEEE-CS(2013). Computer Science Curricula 2013. US: ACM IEEE Computer Society.
  12. 김자미, 이원규(2016). CSTA 2003과 2011 비교를 통한 한국의 정보교육과정 표준에 대한 시사점. 컴퓨터교육학회. 19(1), 41-51.
  1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2011).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14. 김자미, 이원규(2014).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컴퓨터교육학회. 17(6), 59-69.
  15. ACM(1968). Curriculum 68: Recommendations for academic programs in computer science: a report of the ACM curriculum committee on computer science. Communications of the ACM CACM Homepage archive. 11(3), 151-197.
  16. ACM(1979). Curriculum 78: Recommendations for the undergraduate program in computer science - a report of the ACM curriculum committee on computer science. Communications of the ACM CACM Homepage archive. 22(3), 147-166.
  17. ACM(1991). Computing Curricula 1991. Communications of the ACM. 34(6), 68-84. https://doi.org/10.1145/103701.103710
  18. ACM & IEEE-CS(2001). Computing Curricula 2001 Computer Science. US: The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IEEE Computer Society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19. ACM IEEE-CS(2008). Computer Science Curriculum 2008. US: ACM IEEE Computer Society.
  20. 구병두 외(2015). 교육과정. 서울: 양서원.
  21. 김상원(2015). 소요 교육학논술. 서울: 은하인.
  22. ACM IEEE-CS(2005). Computing Curricula 2005. US: ACM IEEE Computer Society.
  23. 일본정보처리학회(1999). 대학의 이공계학부 정보계열학과를 위한 컴퓨터과학교육 교육과정 J97. 일본정보처리학회 컴퓨터과학교육위원회.
  24. Hamischfeger, A.(1985). Active learning time, In T. Husen & T. N. Postlethwaite(eds.).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1. 4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