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story of Korean flour mills

한국의 제분 산업 발달사

  • Kim, Sung-K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ankook University)
  • Received : 2017.04.04
  • Accepted : 2017.05.11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major food grains in Korea are rice and barley. The wheat was supplied from USA after World War II in 1945 and it changed the eating habits for Korean diet. The role of barley as a food grain has been diminished and that of wheat has been acknowledged; the consumption per capita per year of wheat is over the half of that of rice which is the staple grain in Korea. This article is a brief review on the background of wheat becoming the important grain in Korean diet and the following developmental story of flour mills. Emphasis was given to the statistics on flour mills industry.

Keywords

References

  1. Kim SK. Backgrounds of Korean noodle industry. Food Sci. Ind.50(1) : 38-58 (2017)
  2. 국가기록원. 기록으로 살펴보는 의식주 문화, 음식이야기: 피난민들의 음식. (www.archives.go.kr, 기록 정보 콘텐츠 $\rightarrow$ 콘텐츠 유형별 $\rightarrow$ 교육 $\rightarrow$ 기록으로 살펴보는 의식주 문화)
  3. 신영각. 허기진 군상(2) 인천시. 꿀꿀이죽을 아십니까?. 경향신문 (1964.5.20)
  4. 박완서. 공항에서 만난 사람. 문학과 지성, 문학과 지성사, 통권 33 가을호 (1978)
  5. 정경수. 한국면류공업협동조합30년사. 한국면류공업협동조합 (2012)
  6. 국가기록원. 기록으로 살펴보는 의식주 문화, 음식이야기: 혼분식 이행 실태. (www.archives.go.kr, 기록 정보 콘텐츠 $\rightarrow$ 콘텐츠 유형별 $\rightarrow$ 교육 $\rightarrow$ 기록으로 살펴보는 의식주 문화)
  7. 박상희. 박정희 정권의 국가주의적 총 동원 체제에 대한 비판적 연구-혼분식 장려 정책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8)
  8. 조승환. 한국 빵 과자문화사. 한국제과협회 (2003)
  9. Tracy A. 국내 밀 수급을 위한 미국소맥협회의 역할과 회고. 곡물 교역과 국가 식량 안보. 한국제분협회/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프레스센터 (2017.3.30)
  10. Kim HS. Lee K, Kim SK, Lee SR,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I. Physical and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test of composite flour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5: 6-15 (1973)
  11. Kim HS, Kim YH, Woo CM, LeeSR, Development of composite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II. Bread￾making test with composite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6-24 (1973)
  12. Kim HS, Ahn SB, Lee K, Lee SR,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III. Noodlemaking and cookie-making tests with composite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6-24 (1973)
  13. Chang KJ, Lee SR,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IV. Textural characteristicsof noodles made of composite flours based on barley and sweetpotato. Korean J. Food Sci. Technol. 6: 65-69 (1974)
  14. Kim HS, Oh JS.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Part V. The preparation of noodlesmade of composite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7: 187-193(1975)
  15. 이양희, 김성곤. 복합분을 소재로 한 분식 제품의 시험공장 규모 생산 및 제품의 시장화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소 BS J 120-969-5 (1977)
  16. 최흥식, 김성곤, 김종태. 국산 밀을 이용한 복합분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소 BS KK1-1111-5 (1978)
  17. Kim HS, Cheigh HS, Kwon TW, D'Appolonia BL, Marston PE.Rheological and baking studies of composite flour from wheat andnak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11-15 (1978)
  18. 공제욱. 국가동원 체제 시기 혼분식 장려 운동과 식생활의 변화. 경제와 사회, 비판사화학회, 통권 11, 107 (2008)
  19. 이준용. 제분공업통계편람. 한국제분공업협회 (1996)
  20. 국가통계포털. 1인당 양곡 소비량. 각 연도. (kosis.kr, 주제별 통계 $\rightarrow$ 농림어업 $\rightarrow$ 농업 $\rightarrow$ 양곡 소비량 조사)
  21. 한국제분공업현황. 한국제분공업협회. 각 연도. (www.kofmia.org, 자료실)
  22. 장학길, 이영택. 인류 역사와 함께 하는 밀과 밀가루. 한국제분협회 (2012)
  23. 한국제분산업현황. 한국제분협회 (2014)
  24.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전부 개정 고시.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 2016-154호 (2016. 12. 29)
  25. Peterson, V. 세계 소맥 시장의 현황과 전망. 곡물 교역과 국가 식량안보. 한국제분협회/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프레스센터 (2017.3.30)
  26. 김성곤. 미국 밀의 제면성 연구. 한국제분공업협회/미국소맥협회 (1990)
  27. 캐나다 밀 위원회. 캐나다 밀의 제빵성, 제면성. 캐나다산 밀 심포지엄, 4월 23(서울)/25(부산) (1991)
  28. 편집부. 2012-2013 한국식품연감. HNCOM (2012)
  29. 김성곤. 우리나라의 밀가루 이용실태. 단국대학교 부설 식량개발연구소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