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 최근 5년 동안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xtbooks: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During Recent Five Years

  • 투고 : 2017.05.08
  • 심사 : 2017.06.20
  • 발행 : 2017.06.30

초록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7개 국내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수학 교과서 관련 논문 123편을 대상으로 그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수학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학교급, 수학과 내용 영역, 분석 방법, 시사점 제시 방식으로 나누어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관련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특히 수와 연산 영역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분석 방법과 관련해서는 수학 내용 및 수학적 엄밀성을 기준으로 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새로운 교과서 개발 과정을 기술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시사점 제시 방식의 측면에서는 연구 결과에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거나, 재구성을 시도하고 적용한 연구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본 논문은 또한 외국 수학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연구에 대해 국가별 비교 이유, 학교급, 분석 대상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를 포함하였다. 이와 같은 수학 교과서 동향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학 교과서 연구에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xtbook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textbook research. For this purpose, 123 research papers related to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in seven professional domestic journals during recent five years, were selected. The papers dealing with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were analyzed by school levels (i.e.,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mathematics content areas, analytic methods, and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ny studies analyz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specifically in the content strand of number and operations. The frequent analytic foci were given to content areas along with mathematical rigor or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mathematics textbooks.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research trend, there was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in which detailed implications or ways of re-constructing mathematical topics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orough analysis of textbooks. This study also included an analysis of papers comparing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with foreign counterparts or analyzing foreign mathematics textbooks to elicit implications for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in terms of reasons of the comparison, school levels, and analytic foci. This paper closes with implications for textbook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상숙(2013).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특성에 대한 분석, 수학교육, 52(2), 149-161.
  2. 교육과학기술부(2012).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수학',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 '더불어 함께하는 수학'의 구현을 위한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발표.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2. 1. 11.
  3. 교육부(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4. 교육부(2015b).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발표: 배움을 즐기는 수학교육 추진. 교육부 보도자료, 2015. 3. 16.
  5. 권오남, 주미경, 박정숙, 박지현, 오혜미, 조형미 (2013).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개발 원리와 현장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7(3), 249-266.
  6. 김미화, 손홍찬(2013).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 수학과 교과서에서 공학 도구 활용의 변화 분석. 학교수학, 15(4), 975-994.
  7. 김미희, 김구연(2013).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학과제 분석. 학교수학, 15(1), 37-59.
  8. 김민경, 박은정, 허지연(2012). 맥락성 관점에서 본 수학 교과서의 문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1), 1-25.
  9. 김선희, 서동엽, 강성권, 김수민(2016).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기호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교수학, 18(3), 611-623.
  10. 김수철(2014). 수학 교과서의 정당화 도입 실태 분석: 중학교 2학년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6(2), 201-218.
  11. 김유경, 방정숙(2017). 초등수학교육 연구 동향: 최근 7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0(1), 19-36.
  12. 남진영(2015).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2), 159-178.
  13. 류성림(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 교과서의 STEAM 요소 분석: 5-6학년군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 333-351.
  14. 박만구(2013). 초등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융합적 접근의 탐색: 한국 초등수학 교과서와 미국 Investigations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52(2), 247-270.
  15. 박만구, 장혜원, 김은혜, 조두경, 김윤선, 유대현 외(2015).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모형 연구. 학교수학, 17(1), 79-98.
  16. 박상욱, 박교식, 김지원(2014). 미국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Everyday Mathematics의 확률 영역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475-492.
  17. 박선영, 김원경(2011).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분석. 수학교육, 50(3), 285-308.
  18. 방정숙, 권미선(2016). 초등학교 3, 4학년군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의 어휘 적정성 분석. 학교수학, 18(4), 903-922.
  19. 방정숙, 이지영, 서은미(2016). 문제 해결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도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3), 583-605.
  20. 방정숙, 황현미(2012). 수학 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2006년부터 2011년에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51(3), 247-263.
  21. 백대현(2016). 초등학교 교과서에 서술된 높이 개념과 측정 활동 분석. 초등수학교육, 19(2), 113-125.
  22. 양성현(2015). 고등학교 교과서 내용 영역별 세부 학습내용 차이에 대한 교사 의견 조사: 정적분의 활용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7(4), 555-570.
  23. 양현주, 좌준수, 최승현(2015). 2009 개정 수학 교육과정과 IBDP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교과서 비교 연구: 고등학교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29(3), 391-421.
  24. 오혜미, 권오남(2014).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반례에 대한 학습가능성 탐색. 학교수학, 53(1), 41-55.
  25. 유재혁, 이대현(2013). 우리나라와 중국의 초등 수학 교과서의 도형영역 비교 분석. 초등수학교육, 16(1), 57-70.
  26. 이대현(2016). 대분수와 가분수의 상호 변환에 관한 교과서 내용 분석. 초등수학교육, 19(4), 277-289.
  27. 장혜원, 임미인(2016).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어휘 및 문장 적합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2), 247-267.
  28. 전수경, 조정수(2015).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설명텍스트와 교사 설명담화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비교 분석: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5(4), 525-547.
  29. 정연준, 조영미(2012). 자연수 곱셈 계산 지도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우리나라, 미국, 싱가포르, 일본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2(2), 293-309.
  30. 정혜윤, 이경화(2016a). 북한의 2012년 교육과정 개정 전후 수학 교과서 분석 : 초급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8(1), 143-157.
  31. 정혜윤, 이경화(2016b). 우리나라와 미국 수학 교과서의 과제 비교. 학교수학, 18(4), 749-771.
  32. 조형미, 강완(2015). 한국, 대만, 중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분수 개념 지도 방법. 학교수학, 17(4), 571-591.
  33. 하수현, 방정숙, 주미경(2010). 초등수학교육 연구 동향: 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9(1), 67-83.
  34. 황혜정, 최선아(2016). MiC 교과서의 함수 과제에 대한 의사소통의 유형별 요소에 관한 탐색. 수학교육논문집, 30(3), 353-374.
  35. 허남구, 류희찬(2015). 활동 중심 수학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및 적용. 수학교육학연구, 25(2), 241-261.
  36. Noh J. (2016). 교과서 실생활 문제 분석: 미국 Precalculus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30(3), 295-308.
  37. Park, K. (2013). A study on didactic transposition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lessons in Korea and the U.S..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459-478.
  38. Reys, B, J., Reys, R. E., & Rubenstein, R. (Eds.). (2010). Mathematics curriculum: Issues,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Reston, VA: NCTM.
  39. Tarr, J. E., Reys, B. J., Barker, D. D., & Billstein, R. (2006). Selecting high-quality mathematics textbooks.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12(1), 50-54. Retrieved from http://eric.ed.gov/?id=EJ765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