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완석. (2007). 전반적 신체존중감 척도(KOBES): 개발 및 성차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231-253.
- 김완석, 유연재. (2012). 한국 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일본, 중국과의 비교를 토대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2), 301-327.
- 김완석, 유연재, 박은아. (2007).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2), 329-349.
- 김완석, 박은아, Takemoto. T. (2009). 객체화 신체의식과 신체존중감, 자기해석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1), 23-46.
- 김완석, 김정식. (2007). 동아시아 여대생들의 신체가치관과 신체존중감: 한국, 중국, 일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4), 113-134.
- 김윤. (2007). 사회문화적 압력, 미적 고정관념의 내면화 및 대상화된 신체의식이 신체만족과 외모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주현. (2010).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 관리행동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란숙. (2012).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과 외모의 중요성이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미용학회지, 18(1), 180-186.
- 안나영. (2007).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태도와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왕야, 김용숙. (2007). 중국 여대생의 외모관리 특성과 의복구매행동.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145-157. https://doi.org/10.5934/KJHE.2007.16.1.145
- 어느새 10조원...K뷰티 열풍, 화장발이 아니었다. (2016. 6. 9).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17. 1. 9. 자료출처,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09/20 160609 00356.html.
- 윤성욱, 황경미. (2006). 종업원의 매력성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 중국, 일본 비교 연구. 경영교육논총, 42, 295-315.
- 이경숙. (2007). 성인 여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추구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욱연. (2016). 이만큼 가까운 중국. 경기도: 창비출판사.
- 이종한, 박은아, 김은희. (2007). 행복의 조건에 대한 내-외요인 중요도와 자기존중감 및 낙관주의 관계: 초, 중, 대학생의 비교. 한국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0.
- 이주영. (2012). 여대생의 외모만족과 BMI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8(3), 651-660.
- 이주영. (2011). 여대생의 체중 조절행동과 신체 태도 및 비만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7(3), 461-467.
- 임보형. (2009).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객체화 신체의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경란, 이명희. (2002). 여성의 욕구, 자아존중감과 성형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2(6), 71-83.
- 전현진, 정명선. (2011).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신체 존중감이 체중 및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9(6), 1272-1287.
- 전정혜, 유태순. (2011). 공적자기의식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이미지 관리행동에 미치는 인과관계. 한국의류학회지, 35(11), 1333-1345. https://doi.org/10.5850/JKSCT.2011.35.11.1333
- 조혜란, 최종명. (2007). 대학생의 성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외모향상행동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825-835. https://doi.org/10.5934/KJHE.2007.16.4.825
- 척립. (2004). 중국 신세대 남녀의 외모관리행동 분석. 경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금희. (2011). 여대생의 신체수치심과 외모변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 중국과 독일의 비교.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4), 523-530. https://doi.org/10.5805/KSCI.2011.13.4.523
- 홍금희. (2010). 공적 자기의식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이상적 외모태도와 신체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10), 1731-1741. https://doi.org/10.5850/JKSCT.2010.34.10.1731
- China's Cosmetics Market 2015. (2016. 9. 28.).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6. 10. 7. 자료출처, http://168.188.11.31/3f57cf4/Lib_Proxy_Url/www.samsungdesign.net /ChinaInfo/IssueReport/content.asp?an=40279&glChk=G&block=0&page=1&cnt=9.
- KOTRA. (2016. 12). 수출확대를 위한 국가별 경제협력방안 수립: 중국. KOTRA 심층보고서. 자료검색일. 2017. 1. 10. 자료출처, http://news.kotra.or.kr/user/reports /kotranews/20/usrReportsView.do?page=1.
- P형 소비자, 가치와 이슈를 쫓는 소비 트렌드. (2014. 11. 24).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6. 10. 7. 자료출처, http://168.188.11.31/3f57cf4/_Lib_Proxy_Url/www.sa msungdesign.net/Fashion/Report.
- 20대 소비기준은 오로지 '내 만족'. (2017. 2. 8). 대학내일 20대연구소. 자료검색일 2017 2. 20. 자료출처, https://20slab.naeilshot.co.kr/arch ives/18918.
- 2015 외래관광객 실태조사보고서. (2016. 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자료검색일. 2017. 1. 10. 자료출처, http://kto.visitkorea.or.kr/kor/notice/data/statis/tstatus/forstatus /board/view.kto?id=426627&isNotice=false&instanceId=295&rnum=1.
- 2016 China Fashion Market. (2016. 7. 22).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6. 10. 7. 자료출처, http://168.188.11.31/3f57cf4/_Lib_Proxy_Url/www.samsungdesign.net/C hinaInfo/IssueReport/List.asp?An=40251&glChk=G&block=0&page=1&cnt=9.
- 2016 China Consumer Trend. (2016. 7. 22).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6. 10. 7. 자료출처, http://168.188.11.31/3f57cf4/_Lib_Proxy_Url/www.samsungdesign.net/C hinaInfo/IndustryWatch/Consumer/content.asp?an=40252&glChk=G&block=0&page=1&cnt=9.
- Calogero, R. M, Davis, W. N., & Thompson, J. K. (2005). The role of self-objectification in the experience of women with eating disorders. Sex Roles, 53(1-2), 43-50. https://doi.org/10.1007/s11199-005-4277-6
- Forbes, G. B., & Jung, J. (2008). Measures based on sociocultural theory and feminist theory as predictors of multidimensional measures of body dissatisfaction among Korean and U. S. college wome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7(1), 70-103. https://doi.org/10.1521/jscp.2008.27.1.70
- Fredrickson, B. L., & Roberts, T. A. (1997).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2), 173-206.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7.tb00108.x
- Harrison, K., & Cantor, J.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xposure and eating disorders. Journal of Communication, 47, 40-67.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7.tb02692.x
-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 in context (2nd ed.). New York: Macmillan.
- Kretchmar, J. L. (2001).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n african American and caucasian college-age women of varying physical activity leve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North Carolina.
- McConnell, C. A. (2001). An object to her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girls and their bod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 McKinley, N. M., & Hide, J. S. (1996).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2), 181-215.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6.tb00467.x
- Nisbett, R. E. (2003). The geography of though: how Asians and Westerns think differently... and why. (최인철 역). 김영사.
- Noll, S. M., & Fredrickson, B. L. (1998). A mediational model linking self-objectification, body shame, and disordered eating.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2(4), 623-636. https://doi.org/10.1111/j.1471-6402.1998.tb00181.x
- Sinclair, S. L. (2006). Object lesson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n women.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8(1), 48-68. https://doi.org/10.17744/mehc.28.1.ey0r0wve2hbc2gj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