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문제의 정량·정성 분석 - 두 자리 수 범위의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과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Problem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Carry on in the Range of Two Digit Numbers -

  • 투고 : 2017.10.10
  • 심사 : 2017.11.13
  • 발행 : 2017.11.30

초록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수학은 문제의 답을 구하는 것이라는 신념이 강하기 때문에 교과서에 제시되는 문제가 특히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문제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수학 교과서의 두 자리 수 범위의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과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 관련 문제를 문제 빈도, 형태 및 수행 요구, 활용 주체의 정량적 차원에서, 문제의 표현과 맥락의 정성적 차원에서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교과서에 제시된 문제는 교육과정 및 교육사조의 변화를 반영하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학생들의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교과서 집필 시 다루어야 할 문제와 관련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Problems in mathematics textbooks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re is a high reliance on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es and there is a strong belief that mathematics is to find the solution to problems. Considering this importance, we analyzed problem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Concretely, problems of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carry on in the range of two digit numbers in the mathematics textbooks from the 1st to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problems in each textbook were found to reveal important features of the textbook reflecting changes in curriculum and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problem of textbooks h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students' reasoning,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dealing with problem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태석, 임미인, 장혜원(2015). 초등학교 2학년 수 개념 지도를 위한 비비례모델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305-321.
  2. 교육과학기술부(2009). 수학 2-1. 서울: (주)두산.
  3. 교육부(1995). 수학 2-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4. 교육부(2000a). 수학 2-가.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교육부(2000b). 수학익힘책 2-가.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6. 교육부(2013). 수학 3. 서울: (주)천재교육.
  7. 교육부(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8. 교육부(2017). 수학 2-1. 서울: (주)천재교육.
  9. 권미연, 전평국(1999). 초.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 형성의 요인 분석 -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8, 189-207
  10. 김민경, 박은정, 허지연(2012). '맥락성' 관점에서 본 수학교과서의 문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1), 1-25.
  11. 김민경, 이지영, 홍지연, 김은경(201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나타난 '문제'의 비구조성(ill-structured)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2), 1-21.
  12. 김유경, 방정숙(2017).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최근 7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0(1), 19-36.
  13. 김진숙(1998). 문제해결과 교과서 문제의 교육과정적 의미. 교육과정연구, 16(2), 205-226.
  14. 노현옥, 정은실(200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오는 자연수의 사칙 연산 문장제 분석. 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 28, 1-19.
  15. 문교부(1959). 산수 2-2. 서울: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16. 문교부(1965). 산수 2-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7. 문교부(1976). 산수 2-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8. 문교부(1982). 산수 2-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 문교부(1989). 산수 2-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0. 이대현(2009). 수학 교과서의 덧셈과 뺄셈 문장제와 그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분석. 학교수학, 11(3), 479-196
  21. 정인철, 안희정(2008).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실린 문장제 문제의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1), 117-132.
  22. 조명현, 김부미(2013).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기하영역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4), 1321-1341.
  23. 한국과학창의재단(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공개토론회.
  24. Garofalo, J. (1989). Beliefs and their influence on mathematical performance. The Mathematics Teacher, 82(7), 502-505
  25. Li, Y. (2000). A comparison of problems that follow selected content presentations in american and chinese mathematics textbook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2), 234-241. https://doi.org/10.2307/749754
  26. Stigler, J. W., & Hiebert, J. (1999). The Teaching Gap: Best Ideas from the World's Teachers for Improv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New York: The Free Press.
  27. Watanabe, T. (2014). Transformation of japanes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1958-2012. In Y. Li, E. A. Silver, & S. Li (Eds.). Transforming Mathematics Instruction : Advances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99-215. New York: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