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ypology and Contents of Social Welfare Program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사회복지사업 유형 및 내용 분석

  • Received : 2016.12.27
  • Accepted : 2017.03.02
  • Published : 2017.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ocial welfare approach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social welfare techniques in recent urban regener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hysical approach to urban regeneration. We used the method of the content analysis to extract social welfare programs in project plans of urban regeneration regions and vulnerable residence regions and then let them be categoriz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 and form of their progra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4 welfare programs in urban regeneration regions; setting the economic fundament,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cusing on welfare, pursuing community integration and social service providing. And each type was classified into 12 subtyp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operate social welfare techniques in a stable manner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link of the suitable jobs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the project process, empowerment for community integration and expanded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 대한 기존의 물리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추진 중인 최근 도시재생의 흐름속에서 사회복지적 접근의 실체를 파악하고 사회복지 기법의 정착과 확대에 필요한 제안 사항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시재생 선도지역과 주거취약지역의 사업계획서에서 내용분석의 방법을 적용하여 사회복지 사업을 추출하였으며 사업들을 특성과 형태에 따라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재생 지역의 사회복지사업은 경제적 기반마련, 복지중심 주거환경개선, 지역사회통합추구, 사회서비스제공의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각 유형은 다시 12개의 세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도시재생사업에 사회복지기법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일자리 연계, 사업수행과정에서 당사자의 적극적 참여,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역량 강화, 사회서비스 확대 제공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정, "도시재생과 건강의 연계성에 대한 개념화," 도시행정학보, 제29권, 제3호, pp.163-180, 2016.
  2. 추미경, 지역문화정책의 도시재생 기여방안, 도시재생컨퍼런스 발표자료집, 국토교통부, 2014.
  3. 국토교통부, 규제합리화를 통한 주택시장 활력회복 및 서민 주거안정 강화방안, 국토 교통부[2014. 9. 1 보도자료]
  4. 정광진, 이종근, 이삼수,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사업유형 및 재원조달 특성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9-37, 2016.
  5. 감정기, 도시재생의 동향에 대한 사회복지 관점에서의 조명,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136-148, 2010.
  6. 김혜천, "시장과 도시재생: 시장과 도시재생의 조응성을 중심으로," 환경논총, 제47호, pp.71-94, 2008.
  7. 김남룡, 김영, 고석남, "도시정비사업에 관한 도시재생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국토계획, 제44권, 제6호, pp.89-103, 2009.
  8. M. Gibson and M. Langstaff, An Introduction to Urban Renewal, Hutchinson Publishers, 1981.
  9. R. Roberts and H. Sykes,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SAGE. 2004.
  10. 홍경구,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향," 건축, 제59권, 제6호, pp.51-56, 2005.
  11. 국토교통부,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사업대상 85개소 선정, 국토교통부[2015.3.24. 보도자료]
  12. V. Kupke, Measuring Urban Renewal Outcomes, 14th Pacific Rim Real Estate Society Conference, Kuala Lumpur, 2008.
  13. Beatriz Plaza and Silke N. Haarich, "The Guggenheim Museum Bilbao: Between Regional Embeddedness and Gleobal Networking," European Planning Studies, Vol.23, No.8, pp.1456-1475, 2015. https://doi.org/10.1080/09654313.2013.817543
  14. Labadi, Sophia, Evaluating the socio-economic impacts of selected regenerated heritage sites in Europe, European cultural Foundation, 2011.
  15. 민혜숙, 김영범, 남진, "도시재생사업의 사회적 효용에 관한 연구 : 공공의 관점," 국토계획, 제51권, 제3호, pp.113-133, 2016.
  16. 장용일, 김창성, "도시재생 사례분석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영국 독일 한국의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제16권, 제5호, pp.93-101, 2016.
  17. Sally McDonald, Naglis Malys and Vida Maliene, "Urban regeneration for sustainable communities: A case study," Ukio Technolog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Economy, Vol.15, No.1, pp.49-59, 2010.
  18. Karen Hibbitt, Peris Jones and Richard Meegan, "Tackling Social Exclusion: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Urban Regeneration on Merseyside-From Mistrust to Trust?," European Planning Studies, Vol.9, No.2, pp.141-161, 2001. https://doi.org/10.1080/09654310124536
  19. http://www.city.go.kr/portal/
  20. 충남 공주시, 광주시 동구, 전북 군산시, 대구 남구, 전남 목포시, 서울 종로구, 전남 순천시, 경북 영주시, 경남 창원시, 충남 천안시, 강원도 태백시,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 2014.
  21. 서울시 종로구, 부산시 서구, 부산시 사상구, 부산시 사하구, 대구시 중구, 인천시 동구, 전북 전주시, 전북 익산시, 전남 여수시, 전남 순천시, 인천시 부평구, 광주시 남구, 광주시 서구, 경북 김천시, 경남 양산시, 경남 창원시, 경남 진주시, 대전시 대덕구, 강원도 동해시, 강원도 강릉시, 강원도 태백시, 울산시 남구, 세종시 조치원읍, 제주시, 경기도 포천시, 경기도 양주시, 충북 제천시, 충남 논산시, 주거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선 프로젝트 사업신청서, 2015.
  22. T. Anderson, L. Rourke, D. R. Garrison, and W. Archer,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e contex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Vol.5, 2001.
  23. http://www.ncbi.nlm.nih.gov/pubmed/16204405
  24. 최조순, 김태영, 김종수, "도시재생과 사회적기업의 역할,"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4권, 제1호, pp.283-302, 2011.
  25. 하창호, 곽희종, 김현숙, "근린재생을 위한 노후 저층주거지 내 공지 및 폐가의 활용방안 및 텃밭 조성에 관한 연구-전주시 노송동 노후주거지구를 사례로," 도시설계, 제14권, 제6호, pp.81-93, 2013.
  26. 이창우, 이재우, "주거지 공.폐가 정비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평가기준 연구," 주거환경, 제13권, 제2호, pp.67-79, 2015.
  27. 최우함, 원현성, "공.폐가를 활용한 예술마을 대상지 선정방법-광주광역시(대한민국)를 중심으로-," KIEAE Journal, 제16권, 제5호, pp.81-86, 2016. https://doi.org/10.12813/kieae.2016.16.5.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