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of Remarried Couples, Marital Intimacy, Marital Conflict Coping Style on Marital Satisfaction

재혼부부의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박희정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 변상해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Received : 2017.05.29
  • Accepted : 2017.06.27
  • Published : 2017.07.28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marital intimacy, and marital conflict coping strategies on marital satisfaction for remarried married coupl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4, 2017 to April 25, 2017 for the subject remarried couples aged more then 30years living in Sooul, Gyeonggi province, chungchong province, Jeolla province and Kyeongsang province. 48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and analyzed with SPSS WIN 21.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f the remarried couple, the more positive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on the emotional intimacy and sexual intimacy as the sub-factors of marital intimacy, (-), respectively.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low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have negative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intimacy, resulting in a vicious cycle in marital conflict. And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the unified construction of a marital satisfaction improvement program considering self-differentiation, marital intimacy, and marital conflict coping style.

본 연구는 재혼부부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재혼부부를 대상으로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서울과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 살고 있는 30세 이상의 재혼부부를 대상으로 2017년 4월 4일부터 4월 25일까지 이루어졌다. 설문은 총 48부를 배포하였으며, SPSS WIN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혼부부의 자기분화수준이 높을수록 부부친밀감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친밀감과 성적 친밀감은 결혼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부갈등대처방식인 성격요인은 결혼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접결과 낮은 자기분화수준은 결혼만족도와 부부친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부갈등에 악순환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혼부부를 위한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은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을 고려하여 통합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혼인.이혼통계 결과, 2016.
  2. 노명숙,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의 현황과 과제,"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4권, 제1호, pp.169-175,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1.169
  3. 김연옥, "재혼가족의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4권, 제3호, pp.183-202, 2012.
  4. 김효순, "재혼가족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방향, 새부모.새자녀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262-28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262
  5. J. Gosselin, "Individual and Family Factors Related to Psychosocial Adjustment in Stepmother Families With Adolescents,"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Vol.51, No.2, pp.108-123, 2010. https://doi.org/10.1080/10502550903455174
  6. E. Carter and M. McGoldrick, eds. The expanded family life cycle, 3rd ed. Boston: Alyn and Bacon, 1999.
  7. 김유정, "재혼가족의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실천모형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0권, 제4호, pp.147-161,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4.147
  8. E. B. Visher, J. S. Visher, and K. Pasley, Remarriage families & stepparenting: Walsh, F.(2003). Normal family process: Growing diversity & complexity, 3rdEd. The Guilford Press, 2003.
  9. M. Bowen,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P. J. Guerin(Eds.),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Gardner Press, 1976.
  10. D. Patton and E. M. War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marital intimacy in the marriages of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제10권, 제3호, pp.201-206, 1984. https://doi.org/10.1080/00926238408405946
  11. 유희남, 김영희,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대처행동 및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9권, 제3호, pp.141-158, 2011.
  12. M. Bowen, On the differentiation of self.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ason Aronson, 1978.
  13. 조유리, 김경신, "부부의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5권, 제2호, pp.1-21, 2000.
  14. 김형민, 이은경, "재혼가정의 부모와 청소년자녀의 적응과정연구," 청소년학 연구, 제23권, 제2호, pp.243-269, 2016.
  15. 김효순, 하춘광, "청소년 자녀가 있는 재혼가족의 새부모 역할 경험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37-168, 2011.
  16. 변복수, 박승민, "재혼가정 성인 자녀들의 적응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7권, 제3권, pp.721-748, 2015.
  17. L. K. White and A. Booth,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Remarriage: The Role of Stepchildr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0, pp.689-698, 1985. https://doi.org/10.2307/2095382
  18. G. Spanier and F. Furstenberg, Remarriage and reconstituted families, In M. B. Sussman and S.D. Steinmetz(Ed.),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NY : Plenum, pp.419-432, 1987.
  19. L. H. Ganong and M. Coleman, "Preparing for Remarriage: Anticipating the Issues, Seeking Solutions," Family Relations, Vol.38, No.1, pp.28-33, 1989. https://doi.org/10.2307/583606
  20. J. Farrell and H. Markman,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factors in the etiology of marital distress: The example of remarital couples. In R. Gilmour & S. Duck(Eds.), The emerging field of personal relationship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pp.251-263, 1986.
  21. M. E. Kerr and M. Bowen, Family evaluation, New York: Norton, 1988.
  22. M. E. Kerr, Marital satisfaction and attachment as a function of differentiation of self. Ph.D. Dissertation, School of professional of psychology, 1978.
  23. E. A. Skowron and M. L. Friedlander,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5, No.3, pp.235-246, 1998. https://doi.org/10.1037/0022-0167.45.3.235
  24. 권정란, 이인수,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1권, 제1호, pp.35-56, 2006.
  25. 박형원, "기혼 성인의 가족건강성에 대한 영향요인: 원가족 경험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184-19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184
  26. 박수진, 이인수, "부부의 원가족건강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가족과 가족치료, 제23권, 제2호, pp.381-400, 2015.
  27. J. H. Brown and C. S. Brown, Marital therapy: Concepts and skills for effective practice, New York; Brooks/Cole, 2002.
  28. 박봉순, 김영희,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8권, 제9호, pp.1-11, 2010. https://doi.org/10.6115/khea.2010.48.9.001
  29. E. Pearlin and M. Schooler, Integrating feminist theory and practice, Feminist Perspectives, 1988.
  30. 안창현, 김진이, "부부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가족응집성.적응성과 부부갈등대처방식간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6권, 제2호, pp.95-114, 2008.
  31. 김경주, 김영혜,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부모의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0권, 제3호, pp.93-112, 2015.
  32. J. Wallastein, The good marriage How and why love lasts, New York: Houghton Muffin, 1995.
  33. 최규련, "가족체계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40-152, 1994.
  34. J. H. Grych and F. D. Fincham, "Children's appraisals of marital conflict: Initial investigations of the cognitive-contextual framework," Child Development, Vol.64, pp.215-230, 1993. https://doi.org/10.2307/1131447
  35. 조지용, 박태영, "갈등으로 이한 이혼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부부의 부부치료 사례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9권, 제2호, pp.41-62, 2011.
  36. R. A. Lewis and G. B. Spainer,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 Burr, W., Hill, Nye, I., & Ress, I.(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Vo1 Z (New York NY : Free press), pp.268-284, 1979.
  37. G. B. Spanier and R. A. Lewis, "Marital quality: A review of the seven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2, No.4, pp.825-839, 1980. https://doi.org/10.2307/351827
  38. 권정혜, 채규만,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8권, 제1호, pp.123-139, 1999.
  39. 임나현,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230-24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230
  40. 신현정, 부부의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간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배우자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41. 정혜정, 조은경,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개발과 타당성에 관한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제15권, 제1호, pp.19-46, 2007.
  42. 이경희,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유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43. 양여진, 중년기 기혼남녀의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4. D. K. Synder, "Multimensiona assement of martial satifaction," Juou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1, pp.813-823, 1979. https://doi.org/10.2307/351481
  45. 현정희, Bowen과 대상관계 이론을 통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6. 정재완, "성인애착 및 자아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성적, 정서적 친밀감의 매개효과,"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제17권, 제1호, pp.1-21,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