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중적인 판소리 콘텐츠 개발 필요성에 관한 인식조사

A Survey on the Necessity Developing of Popular Pansori Contents

  • 투고 : 2017.05.04
  • 심사 : 2017.07.12
  • 발행 : 2017.07.28

초록

본 연구는 대중적인 판소리 콘텐츠에 대한 판소리 비전문가의 인식조사를 통해 대중적인 판소리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판소리 전문가와의 면담조사를 통해 대중적인 판소리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첫째, 대중적인 판소리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판소리 비전문가 100인을 대상으로 동일한 대중적인 판소리 콘텐츠의 경험을 통한 인식조사를 진행한 결과 대중적인 판소리 콘텐츠가 판소리의 새로운 면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내용과 전문성을 보완한다면 대중성의 확장 가능성이 높고, 대중적인 판소리 콘텐츠의 개발은 필수적이며 대중성 확보, 재미와 흥미, 다른 장르와의 융합, 판소리에 대한 본질적 고민, 다른 전통예술로의 확대, 트렌드에 맞는 소재, 가사, 언어, 음악의 개발, 전문 프로듀서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대중적인 판소리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판소리 전문가 31인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진행한 결과 대중적인 판소리 콘텐츠 개발은 필수적이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점으로 판소리와 시대와 대중에 대한 분석, 끊임없는 도전과 시도, 소재의 개발, 전문 인력과의 협업, 음악확장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ansori non-Specialist After reviewing the need for content development and conducting interviews with Pansori Specialist, the contents of popular Pansori contents It is aimed to derive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ment.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popular Pansori contents, 100 Pansori non-specialists survey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same popular Pansori Contents revealed that the contents of popular Pansori showed a new aspect of Pansori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pular Pansori contents. it is necessary to secure popularity, fun and interest, Convergence with other genres, intrinsic troubles about Pansori, Expansion in to traditional arts, materials suitable for trends, development of lirics, language, music, and professional producers should be considered.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interviews 31 Pansori Specialist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opular Pansori contents, its essential to develop popular Pansori contents. and analysis of the public, endless challenges and attempts, material development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worker and expan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최동현, "판소리 문화 콘텐츠에 관한 연구," 판소리학회논문지, 제22권, pp.393-422, 2006.
  2. 판소리학회, 판소리 전승과 재창조, 도서출판 박이정, 2008.
  3. 최혜진, "판소리 대중화를 위한 문화 콘텐츠 전략," 비교민속학회논문지, 제27권, pp.539-570, 2004.
  4. 백대웅, 국악용어 해설집, 보고사, 2007.
  5. 서유석, "전통예술에서 대중예술로: 청중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는 판소리 연행의 새로운 방향," 한국구비문학학회, 제42권, pp.105-141, 2016.
  6. 최혜진, 판소리 유파의 전승연구, 민속원, 2012.
  7. 김명자, 전통판소리의 대중화를 위한 재창작 방안 연구: <춘향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8. 이태화, "판소리에 대한 엇갈린 인식과 대중화의 향방," 판소리학회논문지, 제35권, pp.153-182, 2013.
  9. 박병호,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판소리 정책적 지원 방안 연구," 한국문화콘텐츠학회지, 제3권, pp.27-60, 2009.
  10. 정종수, 판소리 대중화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1. 백승국, 문화기호학과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5.
  12. 이진원, "판소리<춘향가>의 현대적 재창조에 관한 연구," 판소리학회논문지, 제19권, p.73-118, 2005.
  13. http://www.empresschung.com
  14. DVD video, Kbs Media, 2005.
  15. https://youtu.be/0GbtaV0ahnI
  16. https://youtu.be/WT_0TT8IyaY
  17. 이정원, 전통예술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판소리 4마당의 콘텐츠 요소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2011.
  18. 한상일, 판소리 예술적 전형화 과정 연구 : 문화접변 양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9. 문화재청 홈페이지, www.ch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