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rends on the Safety Area Utilizing Big Data : Focused on Fake News

빅데이터를 활용한 안전분야 트렌드 분석 : 가짜뉴스(fake news)를 중심으로

  • 주성빈 (동의대학교 소방방재행정학과)
  • Received : 2017.12.02
  • Accepted : 2017.12.31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As of March 2017, fake news is largely focused on political issues. Outside the country, main issues of the fake news have been a hot topic in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in 2016 and emerged as a new political and social problem in countries like Germany and France. In Korea, issues of the fake news are also linked with political issues such as presidential impeachment and prosecution, impeachment quota, early election, etc. This phenomenon has recently led to the production and spread of fake news related to safety and security issues as well as political issues in connection with various methods of generating articles and sharing information. As a resul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information will be transformed into information that can cause considerable confusion to the public.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such problems means that it is important at this point to consider the related situation analysis and effective countermeasures. To do this, we tried to make accurate and meaningful analysis for the diagnosis, analysis, forecasting and management of issues utilizing Big Data.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fake news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relation to the safety and security issue as well as the political issue in the South Korea, and differs from the general form occurring outside the country.

2017년 3월 기준, 가짜 뉴스로 인한 폐해는 대체로 정치적 이슈에 집중되어 있다. 국외에서 가짜뉴스 문제는 2016년 미국 대선에서 크게 화제가 된 적이 있고 독일, 프랑스 등 선거를 앞둔 국가들에서도 새로운 정치사회적 문제로 등장하였다. 국내에서는 대통령 탄핵소추 및 탄핵 인용, 조기 대선 등 정치적 이슈와 맞물려 이슈 및 언급량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다양한 형태의 기사 생성방법 및 정보의 공유방식과 연계되어, 정치적 쟁점과 관련된 가짜 뉴스뿐만 아니라 안전 이슈(safety & security issue)와 관련된 가짜 뉴스의 생산, 확산에 이르고 있고, 결과적으로 국민들에게 상당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정보로 변질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인식은 관련된 실태분석과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고민하는 것은 현 시점에서 중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가짜 뉴스가 안전 분야에 어떠한 형태로 생성되고 있고, 관련 분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수많은 데이터 속에서 이슈 진단 분석 전망 관리를 위한 정확하고 유의미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언급되고 있는 가짜뉴스는 정치적 이슈뿐만 아니라 안전 이슈와 관련되어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있고, 국외에서 발생하는 일반적 형태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옥스퍼드 사전(https://en.oxforddictionaries.com), 2017년 7월 20일 검색.
  2.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이슈, 제3권 제3호, 2017.
  3. 연합뉴스(hwww.yonhapnews.co.kr), 2016년 12월 28일 기사; 세계일보, 2016년 12월 28일 기사.
  4. 포브스(www.forbes.com), 2017년 7월 20일 검색.
  5. 중앙일보(joongang.joins.com), 2017년 2월 22일 기사.
  6. 한국언론학회.한국언론진흥재단, 'Fake News(가짜뉴스) 개념과 대응방안' 토론회자료집, 2017.
  7. Hunt Allcott. Matthew Gentzkow, Social Media and Fake News in the 2016 Electio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31(2), 2017; 뉴욕타임즈(www.nytimes.com), 2017년 10월 20일 기사.
  8. 뉴욕타임즈(www.nytimes.com), 2017년 10월 20일 기사.
  9. Manoel Horta Ribeiro.Pedro H. Calais. Virglio A. F. Almeida.Wagner Meira Jr, "Everything I Disagree With is #FakeNews": Correlating Political Polarization and Spread of Misinformation, https://arxiv.org/pdf/1706.05924.pdf, 2017
  10. Marina Azzimonti, Marcos Fernandes, Social Media Networks, Fake News, and Polarization, http://marina-azzimonti.com/wp-content/uploads/2015/01/draft-03_1_2017.pdf, 2017;
  11. Lynn Silipigni Connaway. Heidi Julien.Michael Seadle.Alex Kasprak, Digital literacy in the era of fake news: Key roles for information professionals,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4(1), 2017.
  12. Peter-J. Jost, Johanna Punder, Isabell Schulze-Lohoff, Fake News - Does Perception Matter More Than the Truth?, GERMAN ECONO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7
  13. Florida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Fake News and Digital Literacy: The Academic Library's Role in Shaping Digital Citizenship, 2017 FACRL Annual Conference,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