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Establishment of Occupational Identity and Occupational Prestige of Private Security

민간경비의 직업정체성과 직업명망 확립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 한국표준직업분류상 경비원 직업분류의 개선을 중심으로

  • 서진석 (중부대학교 경호융합보안학 전공)
  • Received : 2017.12.02
  • Accepted : 2017.12.26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KSCO), which is a formal and institutional implementation method that affects the occupational identity and Occupational Prestige of Private Security,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it. The following should be supplemented. (1) It is necessary to unify occupations related to private security that are classified into simple labor workers. (2) Delete the Technical Security Guards(4123) and create a Security Guard(4123) instead. (3) Facility Security Guards(41230), Convoy Security Guards, Technical Security Guards(41232), Security monitoring and control personnel(41233), and Special Security Guards(National important facility security guard)(41234) will be newly established. (4) Change the name of subclassification and subclassification in simple labor worker of Major Class 9(Code 9), and adjust Security Guards(9421) to the Surveillance Personnel(9421).

본 연구는 민간경비의 직업정체성이나 직업적 명망에 영향을 주는 공식적 제도적 구현방법인 한국표준직업분류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이 있다. 현행 한국표준직업분류(KSCO)는 현행 민간경비 관련 법규체계, 관련된 고등교육체계와 사회교육체계에서의 교과과정, 향후의 NCS체계나 신자격 체계 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현재의 보안 및 경비관련 시장과 부정합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1) 단순노무종사자에 중복 분류된 민간 경비 관련 직업을 일원화하여야 한다. (2) 무인경비원(4123)을 삭제하고, 대신 보안경비원(4123)을 신설한다. (3) 보안경비원(4123)에 대한 세세분류로 시설경비원(41230), 호송경비원(41231), 기계경비원(41232), 보안관제원(41233), 특수경비원(41234) 등을 신설한다. (4) 대분류 9(코드9)의 단순노무종사자에서 중분류 및 소분류의 명칭을 변경하고, 경비원(9421)을 감시원(9421)로 조정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용관,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매개로 육군전문인력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 박종철.최현정, "호텔종사원의 직업정체성에 따른 임파워링 리더십이 선제적 행동 및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제8권 제4호, 2016: 126-148.
  3. 유홍준.정태인.김월화, "한국인의 직업정체성과 직업위세", 한국사회, 제18권, 2017: 77-103.
  4. 유홍준.정태인.김기헌, '직업사회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7.
  5. 김월화.유홍준, "한국의 직업위세 변화",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3: 181-193.
  6. 유홍준.김월화, "한국 직업지위 지수: 과거와 현재", 한국사회학, 제40권 제6호, 2006: 153-186.
  7. 구혜란.허혜옥.전은주, "직업위세 평가에 대한 사회적 합의 정도", 후기 사회학대회 발표집, 2005.
  8. 김수란, "재직자가 지각한 직업명성수준과 직장인지도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9. 유홍준.유태용.정태인.배성호.조아름, "직업정체성 척도개발과 직업정체 성의 선행 및 결과변인들 간 관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7권 제4호, 2014: 617-642.
  10. http://www.police.go.kr
  11. 김성언, "한국의 민간경비 현황", 연구보고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12. (사)한국경비협회
  13. 네이버 국어사전
  14. http://kostat.go.kr
  15. 김계원, "민간경비원의 복리증진 방안: 임금 및 복리후생제도를 중심으로", 융합보안논문지, 제16권제6호, 2016: 3-22.
  16. http://laborsta.il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