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odern History and the Problematic issues of Built-in Furniture in Korea - from the mid 1930's to mid 1990's -

한국 근현대 붙박이 가구의 변천과 현안 - 193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를 중심으로 -

  • Kang, Hyesung (Department of Design History and 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soo (Division of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 강혜승 (서울대학교 디자인역사문화전공) ;
  • 김민수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 Received : 2017.06.13
  • Accepted : 2017.07.24
  • Published : 2017.07.25

Abstract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has been accompanied by a corresponding development of storage facilities. In particular, the storage of residential spaces not only performs the storage management function for personal property but also is considered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a comfortable life. While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transformation of built-in furniture, this study emphasizes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Korean residences. Therefore, We attempt to uncover the Korean characteristics that can be discovered in the transformation of storage furniture according to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Korean residential forms following the modern era and to question the problematic issues of the built-in furniture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곽인순. 1983. 아파트 收納空間의 적정규모 설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 김희숙. 1997. 아파트 수납공간의 건축계획과 적정한 설치 기준에 관한 연구 : 25-35평형의 중규모 아파트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3. 박영. 1986. 전통적 수장공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4. 신진욱. 2011.2. 국제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 주거자본주의 체제의 특성, 동향과전망, 112-155, 143쪽.
  5. 이인희. 1975. 우리나라 都市住宅의 收納空間에 관한 硏究 : 特히 서울地域을 中心으로 所得 階層 및 住居構造別로 實態分析을 통해 본 合理的인 活用方案,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6. 이숙영, 박영순. 1987. 아파트 붙박이 가구 개조실태 조사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Vol. 5, No. 2.
  7. 임춘삼. 1998. 아파트 실내공간의 수납유형에 관한 연구 : LDK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8. 2014년 2월 13일 매일 경제, 임대주택 다시 보기 ${(8)}$해외 공공임대주택 유형 및 재원 조달 구조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1658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