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Consideration of Children's Furniture Design Elements

아동용 가구디자인 요소의 고려 사항 연구

  • Lee, Sang Ill (Graduate School of Formative Desig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Chung Ho (Department of Formative Desig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상일 (공주대학교 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 ;
  • 김정호 (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 Received : 2017.06.15
  • Accepted : 2017.07.17
  • Published : 2017.07.25

Abstract

With the advent of industrial society, the phenomenon of nuclear families has brought many changes in the family environment. Of change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new-born babies led to one-child families, which then led to an increase in interest in children. Interest in children gave birth to a consumptive trend called "kids marketing," and phenomena of generous investment and consumption for children appear to continue to the future. In reality, too, the consumer market of children's apparel and learning materials for children has sharply increased over the past few years, and products related to children have become the center of family consumptions. Therefore, at this point when children are the center of consumptive life in the famil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s and users is becoming an increasingly more important variable, the conductive research focusing on children is necessary. These important factors embraced wide areas of activities in research on children, from children's physical changes, children's preference, such as color and material, to children's consumptive environment, as they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furniture design suitable for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강건해. 2006. 어린이 도서관에서 아동의 독서공간과 행태의 관계에 관한 연구; 어린이 기적의 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8.
  2. 구진영. 2002. 초등학교의 열린교육을 위한 단위학습공간에서의 가구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경희. 2002. 아동용 가구 디자인에 관한 연구; 6-12세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종철. 2009. 미취학 아동의 가정용 시스템가구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윤희. 2008. 넉-다운 시스템을 활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유아용 놀이가구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문성. 2015. 아동가구에 적용된 색채와 아동 색채 인시 구조의 상관관계연구; 아동이 선호하는 색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정은. 1994. 취학 전 놀이학습 겸용 아동용 가구디자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성임자. 2004. 아동소비자의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신준위. 2001. 놀이형태에 따른 미취학 아동용 가구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제29호.
  10. 오영순. 1998. 아동용 의자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상범. 2013. 아동용 가구의 디자인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놀이.학습겸용가구를 중심으로. 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상일. 2017. 아동가구의 사용자 행위에 따른 디자인 요소 연구.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15-75.
  13. 이은정. 2008. 사용자행태를 고려한 도심 공공 휴식공간 디자인 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윤승환. 2009. 아동의 놀이 행태 및 환경심리를 고려한 놀이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전우. 2013. 신체발달을 고려한 어린이가구 디자인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만3-5세 어린이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정경숙. 2008. 아동친화적인 주거커뮤니티를 위한 공간환경 디자인 고려 사항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정연희. 2008. 영 유아 교육 시설의 색채 적용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정영미. 1990. 아동의 경제적 개념 이해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천윤정. 2015. 아동발달특성에 따른 아파트 단지 내 아동 커뮤니티 교육시설 계획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최기, 김은선. 2011. 아동용 가구 브랜드와 구매자의 색채 선호도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 11, No. 3.
  21. 한상희. 1999. 아동용 가구에 관한 연구; 4-7세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http://kosis.kr/ 2015년도 주택총조사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