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Digital Camera Has Changed Photographer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Digital Labor

디지털 사진 이후 사진가들의 변화 현상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Cho, In Won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Hanyang University)
  • 조인원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7.05.30
  • Accepted : 2017.07.19
  • Published : 2017.08.25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photographers who experienced steep changes from film to digital photography working and photography culture after using digital camera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Digital technologies have brought many transition. Most of all digital camera popularize photography among people who had no knowledge and experience about camera. On the contrary digital photography made many professional photographers difficulties. After being digital photography, most film companies and film developing and printing studios have diminished. In addition many professional photographers have to cover increasing working time by decreasing photography price. For this research researcher interviewed 12 professional photographers who is working as a digital photographer. After collecting data, researcher analyse data by phenomenological approach. This study is looking for a meaning of photographers' labor after digital photography times.

이 연구는 필름 사진에서 디지털 사진으로의 변화를 경험한 직업사진가들이 겪은 경험과 인식에 대해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직업사진가들의 노동과 창작 환경의 변화 의미와 맥락을 찾아보려는 데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사진도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으로 커다란 변화를 겪었다. 아날로그 사진에 비해 디지털 카메라는 어렵고 복잡했던 사진 제작 공정을 카메라 안에서 촬영과 동시에 완성되도록 만들었다. 조작이 쉬운 디지털 카메라는 대중에게 빠르게 보급되었고 사진의 창작과 소비 형태도 크게 변해 갔다. 반면, 기존의 전문 사진 업계는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광학 기반의 사진 산업은 붕괴되고 직업사진가들은 수입의 감소나 소외감을 겪기도 했다.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디지털 사진과 디지털 산업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찾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직업사진가 12명을 만나 심층인터뷰를 실시했고 수집된 자료들로 현상학적 분석을 적용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필름 사진에서 디지털 사진으로 변화된 이면에 사진가들이 느끼는 불안과 소외감, 그리고 새로운 방식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 등을 통해 디지털 사진 시대에 직업사진가들이 겪은 경험과 사회적인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홍규 (2003). N세대 디지털 사진 문화에 관한 연구: dcincide.com의 사례분석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논문집>, 1권 1호, 128-131.
  2. 권오걸 (2013). 디지털 사진의 진정성 증명방안에 관한 외국례의 소개. , 7집, 181-191.
  3. 권익현 (2008). 디지털 기술에 의한 이미지 변형의 미학적 의의: 상상과 유희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포럼>, 19권, 317-326.
  4. 김민정 (2015, 7월). 스톡사진 시장의 오늘. <월간사진>, 570호, 120-121.
  5. 김예란 (2007). 디지털사회, 소통의 문화: 디지털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논고. <언론과 사회>, 15권 3호, 39-70.
  6. 김현돈 (2008). 디지털 시대의 예술. <대동철학회지>, 44집. 222-238.
  7. 류재우 (2001). 디지털 경제의 도래와 노동시장의 변화. <국민경제연구>, 24집, 91-104.
  8. 매일경제 (2016, 3, 25). 누드사진 사라진 63살 플레이보이 매물로 나왔다. URL: http://news.mk.co.kr/newsRead.php?no=224105&year=2016
  9. 박평종 (2011). 디지털 복제시대의 사진. <황해문화>, 통권73호 , 326-329.
  10. 신현준 (2010). 디지털 음악 경제에 관한 명상. <작가세계>, 22권 2호, 363-369.
  11. 안현경 (2013). 다중매체 환경과 문학의 길. <한글말글학>, 30권, 110-111.
  12. 윤세민 (2012). 디지털 시대 출판의 의미와 방향. <한국전자출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9-11쪽).
  13. 이경민 (2000). 디지털 시대, 사진의 존재론. <황해문화>, 28호, 409.
  14. 이영준 (2005). 디지털 사진에서의 이미지와 텍스트와의 관계. <영상예술연구>, 6호. 95-112.
  15. 장미혜.이충한 (2006).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음악시장 변화: 소유에서 향유로, 전유에서 공유로. <경제와 사회>, 72호, 231-255.
  16. 정규형.정진헌 (2013). 디지털미디어의 탈물질화에 기반한 감각의 확장에 관한 고찰: 디지털 카메라의 Raw 데이터를 중심으로. <디지털 정책과 경영>, 11권 10호, 682-683.
  17. 주형일 (2005). 포스트포토그래피 시대의 사진을 통한 현실 재현의 문제. <언론과 사회>, 13권 3호, 39-66.
  18. 진동선 (2007). 테크놀로지 미학으로서의 사진. <조형예술연구>, 11권, 238-244.
  19. 최종철 (2014). 후기 매체 시대의 비평적 담론들.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41집, 181-209.
  20. 통계청 (2017). 가구매체 보유현황. URL: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1. 한겨레 (2015, 7, 12). "음악은 공짜가 아니다...테일러 스위프트 음악 산업 구할까". URL: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globaleconomy/699895.html
  22. 홍성태 (2009). 한국의 디지털 문화: 특징과 문제. <동향과 전망>, 통권76호, 336-367.
  23. Alper, M. (2014) War on Instagram: Framing conflict photojournalism with mobile photography apps. New Media & Society, 16(8), 1233-1248. https://doi.org/10.1177/1461444813504265
  24. Anden-Papadopoulos, K. (2009). Body horror on the internet: US soldiers recording the war in Iraq and Afghanistan. Journalism, 31(6), 921-938.
  25. Anden-Papadopoulos, K., & Pantti, M. (2013). Re-imagining crisis reporting: Professional ideology of journalists and citizen eyewitness images. Journalism, 14(7), 960- 977. https://doi.org/10.1177/1464884913479055
  26. Becker, K. (2015). Gesture of seeing: Amateur photographers in the news. Journalism, 16(4), 451-469. https://doi.org/10.1177/1464884913511566
  27. Couldry, N. (2006). Culture and citizenship: The missing link?. London, UK: Sage Publications.
  28. Creswell, J. (2013). Qualitive inquiry & Research designs: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CA: Sage.
  29. Deuze, M. (2009). Media industries, work and life.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24(4), 467-480. https://doi.org/10.1177/0267323109345523
  30. Gursel, Z. D. (2012). The politics of wire service photography: Infrastructures of representation in a digital newsroom. American Ethnologist, 39, 71-89. https://doi.org/10.1111/j.1548-1425.2011.01351.x
  31. Hardt, M., & Negri, A. (2000). Empire. 윤수종 (역). <제국>. 이학문선.
  32. Hesmondhalgh, D., & Baker, S. (2011). Creative labor: Media work in three culture industries. 안채린 (역) (2016). <창의노동과 미디어 산업>.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3. Krauss, R. (1999). A voyage on the North Sea. Art in the age of the post-medium condition. New York, NY: Themes & Hudson.
  34. Lazzarato, M. (1996). Immaterial labor. In P. Virno & M. Hardt (Eds.), Radical thought in Italy (pp. 133-147).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5. Levy, P. (2000). Cyberculture. 김동윤 (역)(2000). <사이버문화>. 서울: 문예출판사.
  36.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37. MacLuhan, H. M. (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김성기.이한우 (역) (2002). <미디어의 이해>. 서울: 민음사.
  38. Manovich, L. (2001). The language of new media. 서정신 (역) (2014). <뉴미디어의 언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9. Mitchell, W. J. (1992). The reconfigured eye: Visual truth in the photographic era. 김은조 (역) (2005). <디지털 이미지론>. 서울: 클라이닉스.
  40. Moustakas, C. (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s Oaks, CA; Sage.
  41. Mortensen, M. (2011). When citizen photojournalism sets the news agenda: Neda Agha Soltan as a web 2.0 icon of post-election unrest in Iran. Global Media and Communication, 7(1), 4-16. https://doi.org/10.1177/1742766510397936
  42. Paul, J. (2011). Torture and the replication of religious iconography at the Abu Ghraib prison: A visual semiotic experiment. The Journal of Religion and Popular Culture, 23(3), 342-357. https://doi.org/10.3138/jrpc.23.3.342
  43. Pantti, M., & Baker, P. (2009). Misfortunes, memories and sunsets: Non-professional images in Dutch news media.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studies, 12(5), 471- 489. https://doi.org/10.1177/1367877909337860
  44. Patton, M. Q. (2015).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4th ed.). SAGE Publication, Inc.
  45. Semati, M., & Brookey, R. A. (2014). Not for Neda: Digital media,(citizen) journalism, and the invention of a postfeminist martyr. Communication, Culture & Critique, 7, 137-153. https://doi.org/10.1111/cccr.12042
  46. Laurent, O. (2016, 5, 30). Steve McCurry: I'm a visual storyteller not a photojournalist. TIME [On-line]. Retrieved from http://time.com/4351725/steve-mccurry-not-photojourna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