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and Application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Flipped learning of Programming Class

프로그래밍 수업의 플립드러닝 학습모형 설계 및 적용

  • Received : 2017.05.31
  • Accepted : 2017.07.28
  • Published : 2017.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 an instructional model for flipped learning of programming class. Because a programming process requires a high level of abstract thinking with a good understanding of a programming language, many students have difficulty in programming. For this characteristic of programming, it is not easy to effectively achieve learning goals of programming lesson by lecturing grammatical elements of a programming language and the following examples in a limited class time.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to make effective programming lessons, we designed an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Especially, in this study, we analyzed learners' difficulties in programming learning and errors that occurred in actual programming process for designing the instructional model.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model to the clas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lesson by having positive communication with other students in the classroom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본 연구는 대학의 프로그래밍 수업을 위해 플립드러닝에 기반한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한 내용이다. 프로그래밍 과정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함께 높은 추상적인 사고를 요구하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학습에 어려움을 갖게 된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학습의 특징으로 인하여 한정된 수업시간에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적인 요소들을 강의하고 예제를 따라하는 학습 방법으로는 프로그래밍 수업의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는 플립드러닝에 기반한 수업 모델을 설계하고 그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발생되는 학습자들의 어려움과 실제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들을 분석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하여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모델을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교실 수업에서 다른 학생들과 많은 소통의 기회를 가졌고 학습의 참여도가 높아진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수업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011. Retrieved from http://csta.acm.org/Curriculum/sub/urrFiles/CSTA_K-12_CSS.pdf.
  2. Department for Education. (2013).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Framework document. Retrieved from https://www.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file/210969/NC_framework_document_-_FINAL.pdf.
  3. 배학진, 이은경, 이영준 (2009). 문제중심 학습을 적용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모형.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2(3), 11-22
  4. 이지연, 김영환, 김영배, 학습자 중심 플립드 러닝 수업의 적용사례. 교육공학연구, 30(2), 2014, 163-191
  5. 이동엽 (2013).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디지털정책연구, 11(12), 83-92.
  6. Bergmann, J., Overmyer, J., & Wilie, B. (2013, July 9). The flipped class: what it is and what it is not. Retrieved from http://www.thedailyriff.com/articles/the-flipped-classconversation-689.php.
  7. Hamdan, N., Mcknight, P., Mcknight, K. & Arfstrom, K. (2013). A REVIEW OF FLIPPED LEARNING. Retrieved from http://www.flipped learning.org/
  8. 이종연 외 (2014).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9), 2014, 313-323. https://doi.org/10.14400/JDC.2014.12.9.313
  9. Chen, Y., Wang, Y., Kinshuk, & Chen, N. S. (2014). Is FLIP enough? Or should we use the FLIPPED model instead?. Computers & Education, 79, 16-27. https://doi.org/10.1016/j.compedu.2014.07.004
  10. 김연경 (2016). 대학수업을 위한 활동이론 기반 플립트 러닝 수업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1. 최현종 (2011). 대학 프로그래밍 강좌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프레임워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4(1).
  12. Mayer , R. E . (1992). Thinking, problem solving. New York : W. H. Freeman and Company.
  13. 이정모, 이건효, (1998). 초보자의 C언어 학습 과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분석 연구 : 프로그래밍 학습과정 동안의 은유 사용의 효과. 인지과학, 9(4), 2-3,
  14. Mayer, R. (Ed.)(2013). Teaching and Learning Computer Programming:Multiple Research Perspectives, Routledge.
  15. 김보경(2014). 교직수업을 위한 역진행 수업 모형 개발. 교육종합연구, 12(2), 25-56.
  16. 권오남 외 (2013). 반전학습 (Flipped Classroom) 수업 모형 개발: 대학 미적분학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수학교육논집, 30, 91-111.
  17. 최정빈, 김은경(2015). 공과대학의 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교과운영사례. 공학교육연구, 18(2), 77-88.
  18. 정동섭(2015). 교양 스페인어 수업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수업모형 제안 -말하기 중심으로 진행되는 전북대학교 교양 스페인어 수업의 사례-.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8(1), 127-150.
  19. 김경미, 이강(2016). 사전질문을 이용한 플립드 수업모델과 이 모델의 프로그래밍 초보 학습자 대상 적용 사례,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발표회논문집, 20(2).
  20. 유상미 (2015). C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플립드러닝 적용 사례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49-150.
  21. Amresh, A., Carberry, A., & Femiani, J., (2013).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Classrooms or Teaching CS1. Retrieved from https://interactive.asu.edu/p-contentpapercite data/pdf/amresh2013evaluating.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