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북지역 산업체급식소 조리종사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안전사고 실태 및 안전사고 예방관리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tatus of safety accident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bout precautions of safety accidents by employment type of industry foodservices in Jeonbuk area

  • 소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So, Hee (Major of Nutrition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Rho, Jeong O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7.06.09
  • 심사 : 2017.07.10
  • 발행 : 2017.08.31

초록

본 연구는 전북지역 산업체급식소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조리종사자 282명을 대상으로 급식소에서의 안전사고, 안전교육 실태 및 안전사고 예방관리의 중요도 및 수행도를 조사하여 산업체급식소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정규직 42.2% (119명), 비정규직 57.8% (163명) 이며 96.5%는 여자이었다. 고용형태에 따라서는 연봉수준 (p < 0.001), 직급 (p < 0.001), 평균 연령 (p < 0.001), 급식횟수 (p < 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정규직의 66.4%, 비정규직의 53.4%가 안전사고의 경험이 있으며 (p < 0.05), 사고원인은 본인의 부주의 (53.5%)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사고처리는 정규직은 회사부담 (71.6%)이 높으며 비정규직은 산재처리 (44.6%)가 높았다. 안전사고는 정규직은 화상 (48.6%), 절단사고 (31.1%)가 높았으며 비정규직은 미끄러짐 (47.8%)과 화상 (44.6%)의 순으로 차이가 있었다. 사고부위는 주로 손과 팔 (63.3%) 이었다. 정규직의 98.3%, 비정규직의 95.1%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을 받았으며, 교육은 주로 영양사 (93.4%)가 실시하나 정규직은 산업안전관리공단 (6.8%)과 협회(2.6%)의 교육도 받고 있었다. 교육 빈도는 정규직의 68.4%가 1회, 23.9%가 2회, 7.7%는 3회 이상의 교육을 받았으나 비정규직은 1회 50.3%, 2회 37.4%, 3회 이상 12,2%로 비정규직의 교육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교육방법은 주로 강의 (77.2%)로 진행되며, 교육 후 정규직의 37.6%는 별도의 평가가 없으나, 비정규직의 33.5%는 시험, 25.2%는 면담, 12.3%는 실기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p < 0.05). 교육만족도는 조사대상자의 81.6%가 만족하며 비정규직 (85.2%)이 정규직 (76.9%)보다 더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 후 정규직의 73.5%, 비정규직의 71.6%만이 실제 작업에 교육내용을 적용하고 있었다. 적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업무과중으로 인한 시간부족과 습관적인 작업행태 때문이었다. 산업체급식소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조리종사원의 안전사고 예방관리에 대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중요도는 각각 4.26점, 4.15점이며 수행도는 정규직 3.96점, 비정규직 3.94점이었다.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한 결과, 21개의 항목 중 '튀김요리 시 물이 튀지 않게 하며 화상에 주의한다'에서 정규직 (4.43점)이 비정규직 (4.24점)보다 중요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 < 0.05), 수행도는 모든 항목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대응표본 t-test 분석결과, 정규직의 중요도와 수행도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01). 전체 21개 항목의 중요도와 수행도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IPA분석결과,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은 A영역 (Doing great)에서 '작업장 바닥의 물, 기름을 청소', '작업장과 통로의 물건 정리', '작업 시 미끄럼방지 안전화 착용', '사용하지 않는 호스는 감아서 정리', '화재위험 있는 전열기 코드 뽑기', '튀김요리 시 화상에 주의하며 조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해당되었으며, 이외 '물기 있는 손으로 전기시설 관리하지 않기'는 정규직에만 해당되었으며 '야채절단기 사용 시전용방망이 사용', '안전하게 칼 관리'는 비정규직에만 포함되었다. 중요도가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B영역 (Focus here)에서 '출근 후 환기와 가스누출 확인', '콘센트 안전관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해당되었으며 이외에 '영양사에게 건강상태 보고' 및 '중량물 취급 시 올바른 자세로 작업'은 정규직에만 '가스차단기 작동확인'은 비정규직에만 포함되었다.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도가 높은 C영역(Overdone)에서 '기계설비 잠금장치 확인'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에 해당되었으며 이외에 '야채절단기 사용 시 전용방망이 사용', '안전하게 칼 관리'는 정규직에 포함되었으며 '물기 있는 손으로 전기시설 관리하지 않기', '전기기구 연결 확인', '영양사에게 건강상태 보고' 및 '중량물 취급 시 올바른 자세로 작업'은 비정규직에 포함되었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낮은 D영역 (Low priority)에 'MSDS관리', '화학물질 위험표시 인지', '화학물질 취급 전 보호 장갑 등의 장비 착용', '작업 전 스트레칭 실시' 및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작업대 높이 조정'이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포함되었으며 이외에 정규직에 '전기기구 연결 확인', '가스차단기 작동확인'이 추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전북지역 산업체급식소에서의 안전교육 실시는 잘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교육을 받지 못하는 비정규직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경영주 및 영양사의 인식전환이 필요하겠다. 또한 조리종사원들의 안전사고 예방관리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고용형태 간 유의적인 차이 없이 높은 수준이었으나 교육 후 업무과중의 이유로 실제 적용하는 어려움이 있는 점을 볼 때 효율적인 업무관리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철저한 감독이 요구된다. 특히, 화학물질에 대한 이해 및 MSDS관리에 대한 조리종사원들의 낮은 중요도 인식과 수행도는 향후 안전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겠다. 향후 정규직과 비정규직 구분에 따른 지원의 차이를 줄이고 소속감을 높여 조리종사원의 책임감과 안전의식을 높여 보다 안전한 급식소환경이 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tus of safety accident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ees in industry foodservic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regular employees (n = 119) and non-regular employees (n = 163) in industry foodservices in the Jeonbuk area.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atus of safety accidents, safety education, and importance and performance status were assess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Approximately 66.4% of regular employees and 53.4% of non-regular employees experienced safety accidents (p < 0.05). Types of safety accidents of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ees were mostly burns, and causes were mostly from their own negligence. Approximately 98.3% of regular employees and 95.1% of non-regular employees experienced safety education. Approximately 88.9% of regular employees and 96.8% of non-regular employees received safety education from dietitians. Approximately 41.9% of regular employees and 50.0% of non-regular employees had difficulty applying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due to lack of time during work. As a result of IPA,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ee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following and performed them well: 'Clean the floor of the work place', 'Arrange in the work area', 'Wear safety shoes', 'Check for heater cord', and 'Safety cooking when using oil'. On the other hand, they were not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following and performed them insufficiently: 'Check for the MSDS', 'Aware of chemical signs', 'Wear protection gloves etc.', 'Do stretching exercise', and 'Using ancillary tools'. Conclu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sciousness of dietitian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of contents, especially MSDS, and related things.

키워드

참고문헌

  1. Cho AJ. Study on measure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of irregular workers. Labor Res 2009; 18: 79-113.
  2. Park JY, Lee NK, Yoon SH, Choi BK, Kim SS.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tandard employment and health in South Korea. Health Soc Welf Rev 2016; 36(3): 119-157. https://doi.org/10.15709/hswr.2016.36.3.119
  3. Statistics Korea.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job/ working style 6th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6 Jul 1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4. Statistics Korea. Women's life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7 May 28].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5. Jeonju Non-regular Employees Support Center. Working status of employees in school foodservices in Jeonju. Jeonju: Jeonju Nonregular Employees Support Center; 2013.
  6. Rho JO, Choi SA. The working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chool cafeteria employees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type in Chonbuk, South Korea. Korean J Hum Ecol 2010; 19(4): 733-744. https://doi.org/10.5934/KJHE.2010.19.4.733
  7. Cho HA, Lee YE, Park EH. Actual conditions and perception of safety accidents b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Chungb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43(10): 1594-1606. https://doi.org/10.3746/jkfn.2014.43.10.1594
  8. Cho YJ, Kim HA. Safety accidents and physical fatigue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9): 1482-1491. https://doi.org/10.3746/jkfn.2013.42.9.1482
  9. Park HC. A study for hygiene management of organization meals cupboards using K-means clustering. J Korean Data Anal Soc 2010; 12(1): 241-250.
  10. Kim SH.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of safety accident of cooking workers in school meals [dissertation]. Cheongju: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
  11. Shin KH.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analysis of safety accidents status and safety management for employees of school meals in Gyeongbuk area [dissertation].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3.
  12. Oh SI, Kim OS. Research on actual workplace safety accidents and recognition of workplace safety by employment types of contracted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Korean J Food Nutr 2011; 24(3): 396-405. https://doi.org/10.9799/ksfan.2011.24.3.396
  13. Choi HY, Rho JO. A study on school dietitians’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facilities andutilities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Food Nutr 2007; 20(2): 218-225.
  14. Kim OS, Oh SI. Assessment of accidents occurrence and cuisine employees’ awareness of workplace safety in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J Korean Diet Assoc 2010; 16(4): 299-317.
  15.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R). Food sanitation act [Internet]. Sejong: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6 [cited 2016 Aug14]. Available from: http://www.moleg.go.kr.
  16. Choi TS. Influence of a nutrition teacher's servant leadership on cooks' empowerment &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 Culinary Res 2014; 20(4): 239-252.
  17. Oh ST. Study on the accident of kitchen food service industry employees in accordance with the safety and environment awareness and accident experience. Korean J Culinary Res 2015; 21(2): 85-102.
  1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R).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Internet]. Sejong: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6 [cited 2016 Aug 14]. Available from: http://www.moleg.go.kr.
  19.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Occupational accidents (health-foodservice) [Internet]. Ulsa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6 [cited 2016 Aug10]. Available from: http://www.kosha.or.kr.
  20. Im HJ, Lee YE. Job satisfactio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Hum Ecol 2011; 20(3): 651-663. https://doi.org/10.5934/KJHE.2011.20.3.651
  21. Kook SJ, Choi BS, RhoJO. A study on foodservice facilities, utilities,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Food Nutr 2009; 22(4): 497-507.
  22. Lee JS, Kim YS. Occupational musculoskeletal disease and stress levelsof restaurant cooks in Gangwon province. Culin Sci Hosp Res 2017; 23(2): 1-10. https://doi.org/10.20878/cshr.2017.23.7.001001001
  23.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ternet]. Sejong: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6 [cited 2016 Aug11]. Available from: http://www.mple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