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모바일을 활용한 한류 기반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 연구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Using Mobile Based on Korean Wave

  • 투고 : 2017.06.15
  • 심사 : 2017.07.17
  • 발행 : 2017.09.28

초록

한류의 유행은 국제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불러 일으켰으나 이것이 진정한 한국어 학습자 형성으로는 이어지지 않고 있다. 그 이유로 한류 기반 한국어 학습자에게 다른 한국어 학습자와는 다른 특성이 있음을 들 수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다른 방식의 학습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기가 가지는 학습 도구로서의 효과에 주목하여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살피고 이것이 교육에 사용된 사례를 통해 모바일 기기가 한류 기반 한국어 학습자들의 지속적인 한국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 결과 모바일 기기가 가지는 다양한 특징이 한류 기반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자 특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 지속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기대를 할 수 있었다.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have attracted global interst and attention in Korean and Korean culture internationally, but this has not led to the formation of true Korean learner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Korean learners based on Korean Wav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Korean learn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different learning methods in order to increase learning effect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effect of mobile devices as learning tool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devices and found that mobile devices could positively influence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result, various features of mobile devices can positively affect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Korean Wave, so that it can be expected to enhance their learning effects and enable them to constantly learn Korean languag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현정, "한류 애호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자료개발의 방향성 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pp.253-263, 2008.
  2. 조항록, 한국어 교육정책론, 한국문화사, 2010.
  3. 심혜령, "문화향유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모바일 학습(Mobile-Learning) 연구," 이중언어학, 제57호, pp.103-124, 2014.
  4. 이유인, "한국어 교육의 잠재적 학습자에 대한 고찰 - 한류 기반 외국인의 실질적인 학습자로의 전환 가능성 검토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제11권, 제1호, pp.105-137, 2015.
  5.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SC36/SIG11), "KERIS 주관 "e-러닝 표준화 연구회 세미나" 발표 자료, "m-Learning 기술표준화를 위한 Survey(I)," 2006.
  6. H. J. Kim, "Mobile 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Use and Implementation," 현대문법연구, Vol.52, pp.195-211, 2008.
  7. 한상용, 김경숙, 모바일 컴퓨팅 환경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8. 김태영 외, 미래교육 시나리오에 기반한 e-러닝 표준화 로드맵 v2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9. 서정희 외, 미래교육을 위한 u-러닝 교수, 학습 모델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10. 윤정주,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u-러닝 지향적 영어 학습 모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11. H. S. Kim, "Emerging Mobile Apps to Improve English Listening Skills = Emerging Mobile Apps to Improve English Listening Skills,"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Vol.16, No.2, pp.11-30, 2013.
  12. 김명관, 김지한, 권형준, 이시화, "모바일 기반 CAT의 외국어 능력시험 적용," 정보과학회 논문지:기술교육, 제2권, 제1호, pp.67-74, 2005
  13. 최은주, 영어 어휘 학습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14. 강지훈, 문상호, "안드로이드 기반 외국인을 위한 초급 한글 교육용 어학 콘텐츠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477-483, 2011. https://doi.org/10.6109/jkiice.2011.15.2.477
  15. 홍은실, "한국어교육의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기초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제44권, pp.585-612, 2012.
  16. 이인숙, "스마트러닝에서 모바일 증강현실의 효과적인 활용 방향성 제안," 한국디자인포럼, 제40권, pp.195-208, 2013.
  17. 괵셀퇴르쾨쥬, "터키에서의 한류와 한국어 교육 현황," 한국언어문화학, 제4권, 제1호, pp.19-33, 2007.
  18. 김동국,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류의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Vol.10, pp.259-267, 2006.
  19. 한도 치즈코, "일본의 한국어 시민강좌에 미치는 한류의 영향 - 요코하마 한국어 교실에서의 사례 소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학술대회, Vol.2005, No.1, pp.201-216, 2005.
  20. 왕혜숙, "한국어 학습에 미치는 '한류'의 영향: 학습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pp.232-240, 2016.
  21. 이정평, 김종근, "한국어 학습이 중국에서의 한류 및 한국 상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품학연구, 제33권, 제6호, pp.87-98, 2015.
  22. 이서구, 전병찬, 이성근, 김준환, 김종근, "한류의 선순환적 확장을 위한 한국어의 역할에 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제19권, 제3호, pp.55-75, 2016.
  23. 오문경,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국외 보급정책 연구 - 한류 기반 잠재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24. L. Naismith, P. Lonsdale, G. Vavoula, and M. Sharples, "Literature review in mobile technologies and learning," Future Lab Report 11, Retrieved Aug 16, 2007.
  25. 박현진, 황주희, "모바일 기반 한국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조사," 이중언어학, 제61호, pp.125-161, 2015.
  26. 이정은, 정동빈, "모바일을 활용한 대학생 영어말하기 녹음과제의 효과성," 영어영문학연구, 제38권, 제1호, pp.267-297, 2012.
  27. 조세경, "모바일 중심 외국어 교육의 현황과 전망,"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Vol.10, No.3, pp.197-211, 2007.
  28. 민슬기, 김성훈, "학습자 몰입 증진을 위한 스마트 e-러닝의 게이미피케이션 적용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1권, 제4호, pp.177-187, 2015.
  29. 정혜경,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활성화에 대한 연구: 일본과 중국에 있어서의 한국대중문화의 파급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한국연구재단(NRF)연구성과물, 2007.
  30. 나카무라 마유, 일본에서의 한류와 한국인에 대한 인식 변화 : 삿포로 한국어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12.
  31. 한국콘텐츠진흥원.주식회사 안다물, 2010 한류 팬수요조사 결과 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32. 한상미, 김종인, "모바일러닝(Mobile Learning)에 관한 한국어 학습자 의식 조사 연구," 제39권, pp.407-445, 2013.
  33. 近藤裕美子, 村中雅子, "日本のポップカルチャー.ファンは潜在的日本語學習者. といえるか," 國際交流基金日本語教育紀要, 第6号, pp.1-7, 2010.
  34. 강명희, 신은미, 유지원, "외국어 학습에서 모바일러닝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29권, 제3호, pp.637-665, 2013.
  35. 김준태, "한류 콘텐츠의 국제적 교류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5권, 제1호, pp.1-17, 2015.
  36. 김혜정, "M-러닝을 활용한 공손 영어 표현 학습에 대한 연구," 비교문화연구, 제42집, pp.261-283, 2016.
  37. 한동현, "모바일 서비스 시대의 향토 문화 자료서비스 방안," 역사문화연구, 제40집, pp.449-484, 2011.
  38. 한정엽, "모바일 탈착형 HMD기반 VR 콘텐츠 디자인 유형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37권, pp.79-87,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