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임수진 (호남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7.08.01
  • Accepted : 2017.08.22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It was established the study modeling which shows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e questionnaire has carried out for 307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follow: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o sex. but there are n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o grade and affiliation. Career barriers has significant influenced on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e more they had career barriers, the less they ha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there exist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higher level of social support, the more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모델을 설정하였다. 5개 대학의 1-4학년 대학생 307명의 응답이 분석되었다. 통계분석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학년이나 계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진로장벽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진로장벽이 증가할수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낮아졌다. 또한 진로장벽은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 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었다.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경우에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였지만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경우에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더 적은 영향을 주었다. 진로장벽을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것은 결과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여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도움을 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208598.
  2.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39&lev=0&statusYN=W&s=moe&m=02&opType=N&boardSeq=56967
  3. http://snucounsel.snu.ac.kr/board/boardDataView.
  4. 경희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15학년도 서울캠퍼스 신입생의 대학생활 및 의식에 대한 실태 학생생활연구," 제31호, pp.1-41, 2014.
  5. http://counsel.jnu.ac.kr/user/indexSub.action?codyMenuSeq=12468&siteId=counsel&menuUIType=top.
  6. 이종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연구성과의 비교분석," 취업진로연구, 제3권, 제1호, pp.40-66, 2013.
  7. 이종찬, 홍아정,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탐색," 교육학연구, 제50권, 제3호, pp.177-206, 2012.
  8. 김수임, 김창대, "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진로발달 및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상담학연구, 제10권, 제3호, pp.1573-1591, 2009.
  9. 유나현, 이기학,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제10권, 제4호, pp.2241-2255, 2009.
  10. 임수진, "부모애착과 심리적독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12권, 제3호, pp.349-363, 2015.
  11. R. Taylor and B. Betz,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2, pp.63-81, 1983.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
  12. N. E. Betz and K. K. Voyten,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6, No.2, pp.179-189, 1997.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1004.x
  13. N. E. Betz and G. Hackett, "The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perceived career options in college women an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8, No.5, pp.399-410, 1981. https://doi.org/10.1037/0022-0167.28.5.399
  14. R. W. Lent, S. T. Brown, and G. Hackett,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In D. B & Associates(4th ed.),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pp.255-311,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2.
  15. 이미진, 진로준비행동 관련 변인의 메타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6. G. Hackett and N. E. Betz,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8, pp.326-339, 1981.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17.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8. 이명숙,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9. 김민정, 이희경, "대학생의 강점인식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5권, 제5호, pp.1811-1830, 2014.
  20. 박주현, 유성경, "대학생의 소명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일희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3권, 제2호, pp.543-560, 2012.
  21. 이상희, "진로장애와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중재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2호, pp.375-392, 2007.
  22. 최수미, 강유림, "부모지각 진로지지가 자녀의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4호, pp.2291-2306, 2013.
  23. 강유선, 조은애, 김양희, "학업우수 고등학생이었던 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대학생활연구, 제17권, 제2호, pp.1-16, 2011.
  24. 이옥인, 임양미, 유장순, "장애대학생의 자기조절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제9권, 제1호, pp.125-141, 2016.
  25. 주영주, 고경미, 정유진, "대학생의 긍정적 정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pp.65-83, 2015.
  26. 황지영, 고미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제34권, 제2호, pp.135-150, 2015.
  27. R. W. Lent, S. D. Brown, and G. Hackett,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No.1, p.36, 2000. https://doi.org/10.1037/0022-0167.47.1.36
  28. J. L. Swanson and M. B. Woitke,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5, No.4, pp.443-467, 1997. https://doi.org/10.1177/106907279700500405
  29. 고미나, 박재황, "대학생의 내.외적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30. A. Bandura, "Fearful expectations and avoidant actions as coeffects of perceived self-inefficacy," American Psychologist, Vol.41, No.12, pp.1389-1391, 1986. https://doi.org/10.1037/0003-066X.41.12.1389
  31. 손은령,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상담학연구, 제2권, 제2호, pp.251-262, 2001.
  32. 김민정,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9권, 제2호, 2016.
  33. 오은주,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4호, pp.31-58, 2014.
  34. J. L. Swanson and K. L. Daniel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Revised, Unpublished manuscrip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1995.
  35. D. A. Luzzo,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22, pp.239-248, 1996. https://doi.org/10.1007/BF02259993
  36. 김종운, 박성실,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제26권, 제3호, pp.123-131, 2013.
  37. 유승혜,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취업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직업탐색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비서학논총, 제20권, 제3호, 2011.
  38. 이희정, 김금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1권, 제2호, pp.650-672, 2010.
  39. 정민, 노안영,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2호, pp.391-405, 2008.
  40. 박용두, 이기학, "정서지능, 지각된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4호, pp.1041-1056, 2007.
  41. S. Cohen and H.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42. 심응철, 전우병, 양돈규, "심리학과 생활," 서현사, 2008.
  43. 조혜정,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1호, pp.157-184, 2013.
  44. 서인균, 이연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 및 절망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17-147, 2015.
  45. D. L. Blustein, "A context-rich perspective of career exploration across the life role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5, No.3, pp.260-274, 1997.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0470.x
  46. 문승태, 박미하, 양복만, "대학생의 인간관계와 학습의 자기주도성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39, 2012.
  47. 윤현희, 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8. 송현심, 홍혜영,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횬으감의 매개효과," 상담학 연구, 제11권, 제3호, pp.1325-1350, 2010.
  49. 신정옥,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 교육연구, 제19권, 제2호, pp.109-141, 2012.
  50. 이경선,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1. 조명실, 최경숙,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모형 검증," 상담학연구 제8권, 제3호, pp.1085-1099, 2007.
  52. 김종학, 최보영,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제24권, 제10호, pp.25-42, 2016.
  53. 박지은,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4. 김수리,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55. 서경희, 곽원준, 심지현,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취업진로연구, 제5권, 제4호, pp.57-88, 2015.
  56. 김은영,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관계성,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pp.79-96, 2010.
  57. 이성식,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58. 이은경, 진로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59. 탁진국, 이기학, "직업결정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경영연구, 제1권, 제1호, pp.167-180, 2001.
  60.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61. 황윤경, 청소년 또래집단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심리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62. 이은진,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6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d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64. L. S. Aiken and S. G. West,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