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Virtual Reality Exercise Program after Applying Taping and Microwave on Balance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테이핑과 극초단파를 적용 후 가상현실 운동 프로그램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균형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7.05.22
  • Accepted : 2017.07.22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virtual reality exercise program on ankle balance with ankle taping or microwave.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18 subjects. Eightee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ducted virtual reality exercises with taping (n=9), and performed virtual reality exercises after microwave application (n=9). Both groups performed the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for comparing before and after changes of factors in each group and performed the Mann-Whitney test for comparing groups. Result : Taping and microwave groups were increased dynamic balance after virtual reality exercises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after applying taping and microwave for virtual reality exercises (p<.05). Conclusion : Reducing the frequency of recurrent ankle sprain in functional ankle subjects,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virtual reality exercise after applying taping and microwave.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종(2012). 근력 및 고유수용성 통합운동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기종, 제갈혁, 전현주 등(2013). Cumberland 발목 불안정성 도구에 의한 안정성과 불안정성 발목의 균형 비교. 대한물리의학회지, 8(3), 361-368. https://doi.org/10.13066/kspm.2013.8.3.361
  3. 김명철(2008).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축구선수들의 등속성 하지근력과 균형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용균, 강순희(2016). 가상현실 기반 운동이 파킨슨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대한통합의학회지, 4(2), 1-11. https://doi.org/10.15268/KSIM.2016.4.2.001
  5. 김중휘(2005).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선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7(3), 351-367.
  6. 김훈, 강현주(2014). 1주간의 키네시오 테이핑이 발목 고유수용감각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16(4), 93-99.
  7. 김희주(2010). 발목 테이핑 방법들이 정적 균형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남형천, 문공희, 최예지(2016). 20세 이상 성인의 구두 굽 높이에 따른 균형과 보행형태의 변화. 대한통합의학회지, 4(1), 49-56. https://doi.org/10.15268/KSIM.2016.4.1.049
  9. 이인학, 강종호, 김수현 등(2014). 물리적인자치료. 4판, 서울, 범문에듀케이션, pp.437-466.
  10. 이재형, 고은경, 김기열 등(2015). 근거중심 최신전기치료학. 3판, 서울, 대학서림, pp.541-599.
  11. 이효정, 고지은(2016).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 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4(4), 53-65. https://doi.org/10.15268/KSIM.2016.4.4.053
  12. 임은영(2005).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의 발목 근력과 순발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조태성(2015). 발목 테이핑이 만성 발목 불안정 환자의 착지 후 방향 전환 시 하지 관절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주성범, 이원재(2006). 키네시오테이핑과 운동치료 프로그램의 복합적용이 요추 추간판 탈출증 수술환자의 요부신전근력과 통증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3), 537-546.
  15. 한경진(2006). 발목 테이핑 후 운동시간에 따른 근력, ROM, 고유수용성 감각의 변화.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한용준(2011). 원적외선 온열요법의 효과에 관한 문헌고찰.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황명중(2009). 4주간의 근력 운동과 평형 운동이 발목 불안정성 지표와 기능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Deutsch JE, Borbely M, Filler J, et al(2008). Use of a low-cost, commercially available gaming console (Wii) for rehabilitation of an adolescent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88(10), 1196-1207. https://doi.org/10.2522/ptj.20080062
  19. Freeman MA, Dean MR, Hanham IW(1965). The etiology and prevention of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foot. J Bone Joint Surg Br, 47(4), 678-685.
  20. Kim KJ(2013). Impact of combined muscle strength and proprioceptive exercises on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J Int Acad Phys Ther Res, 4(2), 600-604. https://doi.org/10.5854/JIAPTR.2013.10.25.600
  21. Kim KJ, Heo M(2015).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s on balance in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J Phys Ther Sci, 27(10), 3097-3101. https://doi.org/10.1589/jpts.27.3097
  22. Kim KJ, Jun HJ, Heo M(2015). Effects of Nintendo Wii Fit Plus training on ankle strength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J Phys Ther Sci, 27(11), 3381-3385. https://doi.org/10.1589/jpts.27.3381
  23. Koritnik T, Bajd T, Munih M(2008). Virtual environment for lower-extremities training. Gait Posture, 27(2), 323-330. https://doi.org/10.1016/j.gaitpost.2007.04.015
  24. Lambers K, Ootes D, Ring D(2012). Incidence of patients with lower extremity injuries presenting to US emergency departments by anatomic region, disease category, and age. Clin Orthop Relat Res, 470(1), 284-290. https://doi.org/10.1007/s11999-011-1982-z
  25. Lohrer H, Alt W, Gollhofer A(1999). Neuromuscular properties and functional aspects of taped ankles. Am J Sports Med, 27(1), 69-75. https://doi.org/10.1177/03635465990270012001
  26. Obata H, Kawashima N, Ohtsuki T, et al(2012). Aging effects on posture-related modulation of stretch reflex excitability in the ankle muscles in humans. J Electromyogr Kinesiol, 22(1), 31-36. https://doi.org/10.1016/j.jelekin.2011.10.009

Cited by

  1. 테이핑의 종류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성인의 정적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효과 비교 vol.8, pp.1, 2020, https://doi.org/10.15268/ksim.2020.8.1.027
  2. Effect of Virtual Reality on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vol.2021, pp.None, 2017, https://doi.org/10.1155/2021/7363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