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emantic Network Structure of the Regime in the Image Contents

영상콘텐츠분야의 정권별 의미연결망 연구

  • 황고은 (중앙대학교 예술학과) ;
  • 문신정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Received : 2017.08.30
  • Accepted : 2017.09.20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image contents and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words, word cluster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emantic map within image contents. For this research, from 1993 until 2016 the field of the image contents were collected for a total of 2,624 cases papers. The word appeared in Title analyzed the social network by using the R program of Big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of image contents is based on researches related to 'image', 'media' and 'contents'. Second, there is a three-step flow ('education' -> 'media' -> 'contents') of research in the field of image contents. Third, researches related to 'broadcasting', 'digital', 'technology', and 'production' were continuously carried out. Finally, There were new research subjects for each regime.

이 연구는 영상콘텐츠분야 연구의 의제설정 경향을 분석하여, 정권별 정책과 연결되는 의미화 과정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문화산업의 도입시점인 <문민정부(1993년)>부터 <박근혜정부(2016년)>까지의 영상콘텐츠 석박사학위논문 총 2,624편의 초록에서 43,991개의 단어를 추출하고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R프로그램의 다양한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텍스트 분석과 시각화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상콘텐츠분야 연구는 출현빈도별, 정권순서별로 '영상', '미디어', '콘텐츠'의 순위와 순서로 진화되었다. 둘째, 정권별로는 3단계 연구흐름을 볼 수 있다. <문민정부>는 '교육'과 '표현', <국민의정부>와 <참여정부>에서는 '미디어',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에서는 '콘텐츠'관련 연구들이 중심이 되었다. 셋째, 연구대상 기간 또는 정권별 기간 내내 지속적으로 꾸준하게 진행되는 연구주제는 '방송', '디지털', '기술', '제작' 등이며, 향후에도 계속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각 정권마다 새롭게 등장한 연구대상이 있었다. <문민정부>는 '콤팩트디스크기억장치(CD-ROM)', <국민의정부>는 '워터마크', '고화질', '3D', '가상현실', <참여정부>는 '플랫폼', <이명박정부>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박근혜정부>는 '스마트'이며, '콤팩트디스크기억장치'와 '워터마크' 등은 단기에 소멸되었다. 연구의 의제설정과 산업화 과정에서 트렌드와 미래예측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현. 2012. 문화산업 정책의 변동에 관한 소고. 문화콘텐츠, 2: 31-68.(Kim, Kee-Hyun. 2012.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the cultural industry policies." The Study of Cultural Contents, 2: 31-68.)
  2. 김종업. 2016. 문화산업정책의 평가와 정책방향에 관한 탐색적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학술대회발표논문집, 2-26.(Kim, Jong-Up. 2016.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valuation and policy direction of cultural industry policy."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y Evaluation & Management, 2-26.)
  3. 김진해. 2009. 한국의 영상산업 클러스터 정책: 영화영상 관련기관 부산 이전과 관련한 논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5), 128-136.(Kim, Jin-Hae. 2009. "Policy of the Korean Film Industry Cluster - Discuss of the Busan City Moving of the Film Related Public Organization." The Korea Contents Society, 9(5): 128-136.) https://doi.org/10.5392/JKCA.2009.9.5.128
  4. 김창수. 2009. 문화공공성 개념에 입각한 정권별 문화산업정책 비교연구 - 영화와 문화콘텐츠정책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Kim, Chang-Soo. 2009.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st governments' cultural industry policie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cultural public Spirits. Ph. D. diss. University of Hanyang, Seoul. Korea.)
  5. 김현미. 2015.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연구 경향 분석. 음악교육연구, 44(4): 49-68.(Kim, Hyun-Mi. 2015.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south korean music education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Society for Pentecostal Studies, 44(4): 49-68.)
  6. 문화체육관광부. 2004. 문화산업백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4. The white paper of culture industry.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7. 문화체육관광부. 2008a. 문화산업백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8a. The white paper of culture industry.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8. 문화체육관광부. 2013a. 콘텐츠 산업 통계조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a. Content industry statistics survey.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9. 박정기. 2014. 빅데이터 시대의 문화콘텐츠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 323-334.(Park, Jeong-Kee. 2014. "A study on measures to active cultural contents service in Big Data 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1): 323-334.)
  10. 서진수. 2015. R라뷰. 서울: 더알음.(Seo, Jin-Su. 2015. Data R Love. Seoul: The R-EUM.)
  11. 안현용. 2005.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Ahn, Hyun-Yong. 2005. An analysis of the study trend on korean women's lifelong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2. 원도연. 2014. 이명박 정부 이후 문화정책의 변화와 문화민주주의에 대한 연구. 인문콘텐츠, 32: 219-245.(Won, Do-Yeon. 2014. "Characteristics of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cultural policy and search for the timely change." Korea Humanities Content Society, 32: 219-245.)
  13. 윤홍근. 2013. 문화산업에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10: 157-179.(Yoon, Hong Keun. 2013. "Research on the application methods of Big Data within the cultural industry." The Journal of Global Cultural Contents, 10: 157-179.)
  14. 정광렬. 2015. 문화예술분야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Jeong, Gwang-Ryul. 2015. Fundamental research for using big data in culture and art field. Seoul: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15. 차민경. 2015. 국내 언론에 나타난 '예술경영' 관련 이슈의 의미연결망 분석. 문화정책논총, 29(2): 168-200.(Cha, Min-Kyung. 2015.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arts management" in newspaper articles."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29(2): 168-200.)
  16.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14. 데이터 분석 전문가 가이드. 서울: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Korea Database Agency. 2014. The guide for advanced data analytics professional. Seoul: Korea Database Agency.)
  17.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1998. 미래디자인 가치예측 및 활용기술 개발. 서울: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Korea Association of Industrial Designers. 1998. Future design value prediction and uti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Seoul: Korea Association of Industrial Designers.)
  18. 허명회. 2012. R을 활용한 사회네트워크분석 입문. 서울: 자유아카데미.(Huh, Myeng-Heah. 2012. Introduction to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R. Seoul: Ja-Yoo Academy.)
  19. 황동열, 문신정, 황고은. 2016. 무용연구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회연결망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5(1): 611-621.(Hwang, Dong-Ryul, Sin-Jung Moon, and Go-Eun Hwang. 2016. "Social network analysis of dance studies utilizing Big Data."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5(1): 611-621.)
  20. 황동열, 황고은. 2016.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인문콘텐츠 분야의 의미연결망 분석. 인문콘텐츠, 43: 229-255.(Hwang, Dong-Ryul and Go-Eun Hwang. 2016. "Examining of semantic map of humanities content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 Humanities Content Society, 43: 229-255.)
  21. WARD, J. H. 1963. "Hierarchical Grouping to Optimize an Objective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58: 236-244. https://doi.org/10.1080/01621459.1963.10500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