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essential identity of public library is a lo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center that guarantees access and use of present generation and descendant. However recently the public library is being called with core space for lifelong learning, hub of cultural activities, information gateway, community center, local public goods, information commons, democracy cradle, the second living room, etc. The spectrum for the identity of the public library in Korea is not only very wide, but also is confused. The researcher who paid attention to such a reality analyzed laws and regulations,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national and official statistics related public library, and suggested evidences of the identity confusion. Based on this result, researcher proposed the principles and plans to get over the identity confusion of the public library.
모든 공공도서관의 본질적 정체성은 당대 및 후대의 통시적 접근 이용을 보장하는 지식정보센터이다. 그럼에도 최근에 평생학습 산실, 문화활동 거점, 정보게이트웨이, 커뮤니티센터, 지방공공재, 정보공통체, 민주주의 요람, 제2의 거실 등으로 회자되면서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이 요동치고 있다. 이에 각종 관계법령, 지방행정기구, 정부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정체성 혼란의 실상과 증거를 제시한 후에 공공도서관 정체성 혼란의 극복방안을 제안하였다. 차제에 공공도서관이 지식정보센터를 기반으로 지역문화 향유 확산을 위한 베이스캠프로 정립되려면 집단주의, 귀속주의, 편의주의를 경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