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article or study subjectively explores actual experiences of a human book from a phenomenal viewpoint and is based on considerable amounts of reference literature and the collecting/analyzing of precedent theses data. Selecting specific research samples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ere made to elicit the phenomenal marks or responses in human book experiences. Samples included a total of three human book practicing teachers belonging to Gy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ho were picked out or chosen according to their rich performance experiences/activities over a two year period. They were interviewed in four different basic topic areas or parts sectioned out to the following: 1) actual needs of a human book; 2) experiences in human book; 3) changes of cognition to the human book; and, lastly 4) improvement in the application of a human book. As a result, the number of schools, the number of readers,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human book activities continued to expand. In addition, human book activities have become an opportunity for growth not only for participating readers, but also for the human book itself.
이 연구는 사람 책의 실제 체험을 통해 겪게 되는 주관적인 경험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헌들을 고찰하고 선행되어진 논문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사람 책 체험의 현상학적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고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로는 경기도 교육청 소속으로 사람 책 활동을 2년 이상 하고 있는 분들 3명으로서, 심층 인터뷰의 내용은 첫째, 사람 책의 필요성, 둘째, 사람 책 활동을 통한 체험, 셋째, 사람 책에 대한 인식의 변화, 넷째, 사람 책 적용의 개선점의 4가지로 분류하여 인터뷰 하였다. 그 결과 사람 책 활동에 참여한 학교 및 독자 수, 사람 책의 숫자는 계속 확장되었고, 더불어 사람 책 활동은 참여 독자들은 물론이고 사람 책 자신에게도 성장의 기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