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istance between 'I' and 'me' in Korean modern poetr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ad mood' and 'reflection'- focussing on ‘I’ of Kim So-wol, Kim Jong-sam and Lee Han-jik’ poetry -

한국 현대시에서 ‘나(I)’와 ‘나를(me)’의 ‘거리’, 그리고 ‘슬픈 기분’의 ‘성찰’- 김소월, 이한직, 김종삼 시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170000

Abstract

In the poetry of Kim So-wol, when I see ‘me’ in the work outside the work, the gaze of the ‘community’ is involved in the view of ‘me’. When the gaze of the “I” of Kim So-Wol’ poetry was involved in the gazeof the other, The distance ‘jeomanchi’ between ‘I’ and ‘me’ operates. In this case, ‘I’ reflects the lack of ‘me’ that does not meet the criteria of the gaze. ‘Me’ is consists of a melancholic being. ‘Me’ is absorbed into loss itself rather than a lost target. This becomes a poetic strategy that owns ‘nim’ in an unowned state. This newness in the Korean modern poetry history of Kim So-wol poetry is later on the whole through Lee Han-jik and Kim Jong-sam poetry. Their modernistic poems have generally been regarded as having nothing to do with Kim Soo-wol, who represents the traditional lyric poetry. However, the ‘I’ of Lee Han-jik and Kim Jong-sam poetry is a a melancholic being. And this is the criterion of self existence. In this respect, it has reciprocity with the ‘I’ of a groupof Kim So-wol poetry.The ‘I’ in the poem of Lee Han-jik and Kim Jong–sam’ potery do not value lost targets. Therefore, the reason for sadness becomes unclear.‘I’ constitutes itself through ‘me’ caught in this melancholy. In the LeeHan-Jik poetry, ‘I’ present ‘me’ transparently. ‘Me’ is only presented asan independent part phenomenon. Thus, only the partial phenomenon of ‘me’ is clearly highlighted. However, ‘me’ remains a part of ambiguous period that is not always explained. Accordingly, ‘I’ constitutes self-existence as Patos, a melancholy who continually reflects on the ambiguity of‘me’. On the other hand, ‘I’ of Kim Jong-Sam poem connects the reflection on the lack of ‘me’ to the fantasy supplementing the lack. ‘I’ reflectsthe lack of ‘me’ which does not meet the expectation of ‘me’ in which the gaze of death(the other) intervenes. And this causes me to experience death as this fantasy. In other words It reveals similarities of death.The content of melancholy and refl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I’ and ‘me’ as form come from the poem of Kim So-wol. It is crossed, misguided, and connected to Lee Han-jik and Kim Jong-sam’ poetry. Through this, we can find the new current context of Korean modern poetry.

김소월 시에서 작품 밖의 ‘나’가 공동체(대타자)의 응시가 개입된 눈으로 작품 안의 ‘나를’ 보는 경우, 김소월 시에는 주격 ‘나(I)’와 목적격 ‘나를(me)’ 사이의 ‘저만치’의 거리가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 ‘나’는 응시의 기준에 이르지 못하는 ‘나를’의 결여를 성찰한다. 그리고 ‘나를’은 멜랑콜리적 기분에 처한 존재로 현현된다. 김소월 시의 멜랑콜리는 상실한 대상에서 상실 그 자체에 몰입하는 ‘나를’을 통해, ‘님’을 소유 불가능한 상태 자체로 소유하는 하나의 시적 전략이 된다. 김소월 시 ‘나’가 가진 한국현대시사에서의 새로움은 이후 이한직과 김소월 시를 통해서 전면화 된다. 이들의 모더니즘적인 시는 전통 서정시를 대표하는 김소월 시와는 별 연관성이 없던 것으로 일반적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런데 이한직과 김종삼 시의 ‘나’가 상실된 대상이 약호화된 슬픈 기분, 즉 그 이유가 중요하지 않고 오로지 슬픈 기분 자체가 자기 준거가 되는 멜랑콜리적 존재라는 점에서 일군의 김소월 시의 ‘나’와 상호성을 가진다. 이한직 시의 ‘나’는 ‘나를’을 투명하게 제시한다. ‘나를’은 하나의 독립된 부분 현상으로만 제시된다. 그럼으로써 ‘나를’의 부분 현상 그 자체가 선명하게 부각된다. 그런데 ‘나를’에게는 항상 설명되지 않는 애매한 기의 부분이 남는다. 이에 따라 ‘나’는 ‘나를’의 애매함을 지속해서 성찰하는 페이소스. 즉 멜랑콜리로써 자기 존재를 구성한다. 반면에 김종삼 시의 ‘나’는 ‘나를’의 결여에 대한 성찰을, 결여를 대리로 보충하는 환상으로 연결시킨다. ‘나’는 죽음(대타자)의 응시가 개입된 ‘나’의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나를’의 결여를 성찰한다. 그리고 이는 ‘나’가 환상으로의 ‘나를’의 죽음, 즉 죽음의 유사물을 현현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멜랑콜리와 성찰이라는 내용과 주격 ‘나’와 목적격 ‘나를’의 거리라는 형식이 김소월의 시로부터 비롯하며 이한직과 김종삼 시에게로 교차되고 어긋나며 연결되는 양상을 통해, 우리는 한국 현대시의 새로운 시사적 맥락을 가늠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