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al Behavior among Menopausal Middle-aged Women in Korea: Mediating Effect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갱년기 중년여성의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 건강관련 삶의 질의 매개효과 및 소득의 조절효과

  • 박수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선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박영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Received : 2017.07.27
  • Accepted : 2017.09.04
  • Published : 2017.11.28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and mediating effect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al behavior among menopausal middle-aged women in Korea. This study employed 1,182 middle-aged women aged 40 to 60 of the third year (2015) data from the 6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 The results are that first, depression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 Secondly,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ppear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al behavior. Thirdly, income wa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al behavior in relatively low income group below average income after controlling for mediating effect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need to enhance health policy for mental health care in middle-aged women and to expand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especially, intervention for improving mental health of low-income group.

본 연구는 갱년기 중년여성의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과의 관계와 이 두변수간의 관계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의 매개효과 및 소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년여성들의 정신건강증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2015년) 자료 중 만 40세에서 60세까지 중년여성 1,182명이다. 분석결과, 첫째, 갱년기 중년여성의 우울감 경험은 자살행동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은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득은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효과는 평균소득 이하의 저소득집단에서 나타났다.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갱년기 중년여성의 자살예방 정책마련 필요,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 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개입의 필요 및 저소득층의 정신건강을 위한 정책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연세대학교

References

  1. 장혜경, 차보경, "갱년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33권, 제7호, pp.972-980, 2003. https://doi.org/10.4040/jkan.2003.33.7.972
  2. 구본진, "일지역 중년 여성의 갱년기증상, 화병과 삶의 질," 글로벌사회복지연구, 제3권, 제2호, pp.5-23, 2013.
  3. 박영미, 신창식, "갱년기 여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아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54-26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254
  4. 연희남, 이지영, "갱년기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우울이 피부 및 체형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7권, pp.59-66, 2016.
  5. 성미혜,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호소와 우울과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6권, 제4호, pp.465-476, 2000.
  6.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2005) 심층분석," 서울: 질병관리본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7. 전혜정, 엄현주, "중년기 남녀의 자살생각에 관한 예측요인,"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42권, 제2호, pp.35-62, 2014.
  8. 정미영, 김경나, 김선영, "한국 성인의 연령계층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3차(2012) 자료를 이용하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1권, 제2호, pp.1-14, 2014.
  9.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서울: 국립서울정신병원, 서울대의대정신과, 2011.
  10. EuroQol Group, "EuroQol-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Health Policy, Vol.16, No.3, pp.199-208, 1990. https://doi.org/10.1016/0168-8510(90)90421-9
  11. 이경은, 조은희, "고혈압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399-40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399
  12. 손신영,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직업 특성별 건강 상태 및 건강관련 삶의 질,"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18권, 제1호, pp.33-43, 2009.
  13. 김예순, 김명숙, "장애인의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제6기(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보건연구, 제42권, 제2호, pp.31-43, 2016.
  14. 이예종, 최금주, "연령대별 성인의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제5기(2010)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pp.321-327, 2013.
  15. 오창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과 삶의 질이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6권, 제2호, pp.179-191,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2.6.2.179
  16. A. K. Fairweather, K. J. Anstey, B. Rodgers, and P. Butterworth, "Factors Distinguishing suicide attempters from suicide ideators in a community sample: social issues and physical health problems," Psychological Medicine, Vol.36, Issue.9, pp.1235-1245, 2006. https://doi.org/10.1017/S0033291706007823
  17. 통계청, "년 사회조사 결과 (복지.사회참여.문화와 여가.소득과 소비.노동) 보도자료," 2014.
  18. 신동균, 장지연, "소득 양극화와 자살," 사회보장연구, 제26권, 제2호, pp.1-21, 2010.
  19. 박순희, 양정남, 최은정, "저소득층 밀집지역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 자살생각 간의 관계-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5호, pp.301-323, 2015.
  20. 이윤정, 송인한, "자살과 연관된 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부채와 자살생각,"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3권, 제1호, pp.58-82, 2015.
  21. 이병희, 김민지, 노진원, 이주현, "공공부조 수급자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366-37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366
  22. 최용환, "자살의 사회경제적 진단," 이슈&진단, 제3호, pp.1-25, 2011.
  23. 우혜경, 조영태, "빈곤의 동태와 자살생각," 보건사회사회과학, 제34집, pp.5-35, 2013.
  24. 김진혁, "최근 자살의 실태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7권, pp.1-34, 2004.
  25. 김태경, 김명희, 유은광,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갱년기 증상, 우울과의 관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2호, pp.225-237, 1999.
  26. 박영숙, 김숙영, 김혜원, 안숙희, 이선옥, 이숙희, 정재원, 조인숙, "기혼 직장 여성 우울-사회역할 이론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42권, 제4호, pp.496-507, 2012. https://doi.org/10.4040/jkan.2012.42.4.496
  27. 문길남, 권숙희, 김영자, 김인순, 박금자, 박춘화, 배정이, 송애리, 정은순, 여정희, 정향미, "중년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2권, 제2호, pp.235-245, 1996.
  28.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06130
  29.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 원시자료," 2014.
  30.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479234&code=61121111&cp=nv
  31. 김재엽, 남석인, 최선아, "기혼 직장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의 관계-TSL 대처방식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2권, pp.275-308, 2009.
  32. 김현숙, 김병석, "자살생각과 그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2호, pp.201-219, 2008.
  33. 이수인, "자살생각에 대한 사회적 영향 요인과 심리적 영향 요인의 통합적 접근,"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제30권, 제0호, pp.104-139, 2016.
  34. 박은옥, "한국 성인의 성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 분석," 농촌의학.지역보건, 제39권, 제3호, pp.161-175, 2014.
  35. 모지환, 배진희, "자살행동 영향 요인-성별, 연령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121-145, 2011.
  36. 배상숙, "50세 이상 당뇨병 환자의 스트레스인지, 우울, 자살생각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9권, 제2호, pp.57-68, 2015. https://doi.org/10.12811/kshsm.2015.9.2.057
  37.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로 본 가구의 동태적 변화 분석, 2016.
  38. 이미애, "노인우울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5권, 제4호, pp.461-471, 2014. https://doi.org/10.7856/kjcls.2014.25.4.461
  39. K. A. Hemnstead and J. A. Phillips, "Rising Suicide Among Adults Aged 40-64 Years-The role of job and financial circumstance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48, Issue.5, pp.491-500, 2015. https://doi.org/10.1016/j.amepre.2014.11.006
  40. D. De Leo, S. Burgis, J. M. Bertolote, A. J. F. M. Kerkhof, and U. Bille-Brahe, "Definitions of suicidal behavior: Lessons learned from the WHO/EURO Multicentre Study," Crisis Vol.27, No.1, pp.4-15, 2006. https://doi.org/10.1027/0227-5910.27.1.4
  41. Harwood, Daniel, and Robin Jacoby, "Suicidal behaviour bmong the elderly,"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pp.275-291, 2000.
  42. 박경,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이 음주 여대생의 음주관련 지식, 음주거절 자기효능, 음주결과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364-373,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364
  43. Kristopher J. Preacher and F. Andrew, Hayes,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0, No.3, pp.879-891, 2008. https://doi.org/10.3758/BRM.40.3.879
  44. Reuben M. Baron, and Davi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1173,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5.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1609182308, 2013.
  46. 이형권,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서울:신영사, 2015.
  47. Leona S. Atephen G. West, and Raymond R. Reno,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1991.
  48. 이일현, Easy Flow 회귀분석,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14.
  49. Patrick E. Shrout and Niall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 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4, pp.422-445,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50. 김나래, 마림, 김경아, 이동귀, "중학생의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통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제13권, 제4호, pp.1799-1818, 2012.
  51. 정은순, "중년여성의 우울증과 폐경증후군과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3권, 제2호, pp.230-240, 1997.
  52. 이규은, 최의순, "일부지역 중년여성의 우울 정도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5권, 제3호, pp.299-312, 1999.
  53. 최희아, 이동숙, 김영주, "한국 성인여성들의 우울증과 자살생각에 대한 분석: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3권, 제2호, pp.709-720, 2011.
  54. Denollet, Johan, Johan Vaes, and Dirk L. Brutsaert, "Inadequate response to treatment in coronary heart disease," Circulation, Vol.2, No.6, pp.630-635, 2000.
  55. 구춘영, 김정순, 유정옥, "노인의 성별에 따른 자살생각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5권, 제1호, pp.24-32, 2014.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1.24
  56. 김복자, "제6기 1 차년도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로 추정한 노인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11호, pp.27-35,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11.27
  57. 김승곤,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률," 보건과 사회과학, 제16권, pp.155-177, 2004.
  58. 서홍란, 김희년, "요보호여성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5권, pp.176-202, 2010.
  59. http://imnews.imbc.com/replay/2015/nwdesk/article/3821004_17821.html
  60. 김원, 김민호, 심규범, 신문주,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에 대한 만족도 연구-부산시의 건강 검진수검자를 대상,"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4권, 제2호, pp.1-8, 2013. https://doi.org/10.15207/JKCS.2013.4.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