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egal Standard and Verification Cases for the Judgement of the Tax Tribunal of FTA Conventional Tariffs

FTA 협정관세 심판청구결정의 법적 기준과 검증사례에 관한 연구

  • Kwon, Soonkoo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Economics and Trade)
  • 권순국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 Received : 2017.05.03
  • Accepted : 2017.06.1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FTA conventional tariffs shall be applied that the imported goods are subject to the conventional tariffs under any agreement, and the origin of the good is the contracting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for determination origin under any agreement. An importer who intends to be eligible for the application of a conventional tariff shall file a request for the application of a conventional tariff with the head of the competent customs house before the relevant import declaration is accep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gal standard and verification cases for the judgement of the tax tribunal of FTA conventional tariffs. Through this study, this paper is to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seeking the benefits of FTA conventional tariffs. The Korean companies to do the following: confirm the effective requirements for direct transport of goods through non-parties under the Korea EU FTA, confirm the criterion for application of conventional tariffs such as certificate of origin and claims for ex post facto conventional tariffs under the Korea US FTA, confirm the issuer of origin declaration and the recognition of origin declaration of bill of lading under the Korea EU FTA, utilize the tax appeal system by denial of FTA conventional tariffs, and prepare the discrepancies in interpretation of legal standard under FTA and FTA Special Customs Act.

FTA 협정관세는 수입물품이 협정에 따른 협정관세의 적용대상이며, 협정상의 원산지결정기준에 따라 물품의 원산지가 해당 체약상대국일 경우에 적용된다. 협정관세를 적용받고자 하는 수입자는 수입신고 수리 전까지 세관장에게 협정관세의 적용을 신청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FTA 체약상대국에서 수입한 물품에 대해 FTA 협정관세 혜택이 배제되어 수입자가 관세당국의 결정에 대한 심판청구를 한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FTA를 활용하는 기업의 협정관세 적용상 유의점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한 EU FTA와 FTA 관세특례법상의 비당사국을 경유하는 물품의 직접운송원칙과 관련된 유효요건을 확인하고, 한 미 FTA와 FTA 관세특례법상의 원산지증명서의 인정기준과 협정관세 사후적용을 위한 신청기준 등과 같은 협정관세의 적용기준을 확인하여야한다. 그리고 한 EU FTA와 FTA 관세특례법상의 원산지신고서의 발행자 기준과 선하증권의 원산지신고서 인정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무역기업은 관세당국의 FTA 협정관세 배제 결정시 조세심판원의 조세심판청구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FTA 협정관세 혜택을 향유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FTA 협정관세 적용과정에서 특정사안에 대해 무역기업과 관세당국 간에 FTA 협정과 관세특례법상 법적용 기준의 해석상 불일치에 대비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덕종.김희호, "원산지조사에 대한 수입자의 통제불가능한 위험", 무역학회지, 제42권 제1호, 한국무역학회, 2017.
  2. 김만길.정재완, "한국과 미국, EU의 FTA협정 상 원산지검증에 대한 비교연구", 무역상무연구, 제58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3.
  3. 배명렬, "수출기업의 원산지검증 대비를 위한 원산지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4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6.
  4. 성윤갑, FTA 관세특례 해설, 한국관세무역개발원, 2008.
  5. 유광현.김형철.신성식, "한․미 FTA 원산지검증 절차를 위한 관세특례법 개정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2권 제1호, 한국관세학회, 2011.
  6. 윤준웅.이춘수, "FTA 원산지결정기준 위반의 유형별 사례분석 및 대응방안", 통상정보연구, 제17권 제2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5.
  7. 이명구.정재완.정재호, FTA 이해와 활용(제2판), 청람, 2017.
  8. 이병락.임성수, "군집에 기초한 FTA 원산지검증의 분류", 무역연구, 제11권 제5호, 한국무역연구원, 2015.
  9. 이영달, 한.중 FTA 전략적 활용을 위한 FTA 협정 및 법령해설, 세인북스, 2016a.
  10. 이영달, "FTA 관세특례법령 전부 개정 내용에 대한 해설", 계간 관세사, 통권 181호, 한국관세사회, 2016b.
  11. 이영수.권순국, "FTA 원산지규정상의 직접운송원칙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4권 제4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2.
  12. 이종익.박병목, 자유무역협정(FTA)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해설, 세경사, 2016.
  13.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14. 자유무역협정의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사무처리에 관한 고시
  15. 정영석, 선하증권론 : 법과 실무 , 텍스트북스, 2007.
  16. 정재완, "FTA 이행관리에서 제기되는 문제점과 그 보완방안에 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3권 제4호, 한국관세학회, 2012.
  17. 하충룡, "한.미 FTA 특혜관세분쟁을 대비한 미국판례의 동향과 함의", 통상정보연구 , 제17권 제3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5.
  18. Abreu, M. D, Preferential Rules of Origin in Regional Trade Agreements, WTO Staff Working Paper ERSD-2013-05, World Trade Organization, 2013.
  19. Cadot, O. et al., The Origins of Goods: Rules of Origin in Regional Trade Agre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0. Estevadeordal, A. and Suominen, K., Gatekeepers of Global Commerce: Rules of Origin and International Economic Integration,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2008.
  21.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le, available from http://www.fta.go.kr/webmodule/_PSD_FTA/cl/1/Text_of_Agreement_eng.pdf
  22.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of the One Part, and the European Union and its Member States, of the Other Part, available from http://www.fta.go.kr/webmodule/_PSD_FTA/eu/doc/Full_Text.pdf
  23.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vailable from http://www.fta.go.kr/webmodule/_PSD_FTA/us/doc/us_Fulltext_eng.pdf
  24. Heetkamp, A. van de., and Tusveld, R., Origin Management: Rules of Origin in Free Trade Agreements, Springer, 2011.
  25. Inama, S., Rules of Origin in International Tra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6. Rohini, A.(Ed.), Regional Trade Agreements and the Multilaterial Trading Syst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27. Stocker, W., Comparative Study on Preferential Rules of Origin, WCO Research Paper , Vol. 12, World Customs Organization, 2011.
  28. Tanaka, A., World Trends in Preferential Origin Certification and Verification, WCO Research Paper , Vol. 20, World Customs Organization,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