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s of Korean Children towards Older Adults

한국 어린이의 노인에 대한 태도: 명시적 태도와 암묵적 태도 차이를 중심으로

  • Han, Gyoung-hae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eok, Minae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MaloneBeach, E.E. (Dept. of Human Environmental Studies, Central Michigan University)
  • 한경혜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석민애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대학원) ;
  • Received : 2017.02.28
  • Accepted : 2017.05.25
  • Published : 2017.05.30

Abstract

Increasing evidence shows that ageist attitudes towards older adults develop quite early in childhood in Western culture, yet, empirical research on this topic in Korea is lacking. It has been argued that as Korea has become more youth oriented, negative views of aging have emerged and Korean children are increasingly exposured to negative stereotypes of older adults. Nuclearization of family structure and consequent reduction of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is considered to be another important fa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Korean children have ageist attitudes. Acknowledging the possibility that children tend to report in socially appropriate ways to the explicit measures of ageism, we included implicit measures of ageism. Data was collected from 570 fourth to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lected by quota sampling. The current study used Child-Age Implicit Association Test and two other explicit measurements. The original versions were modified to be culturally applicable to the Korean context. Results indicated that when measured explicitly, children do not report preferring younger person than older person. However when measured implicitly, it was found that children at this young age already reveal negative biases toward the elderly. Contrast to the fact that the level of explicit ageism is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implicit ageism is detected.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 어린이의 노인에 대한 태도를 명시적 태도와 암묵적 태도로 나누어 그 현황을 탐색하는 것이다. 자기보고식 척도로 측정하는 명시적 연령차별 태도는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한 영향으로 인하여 과소 보고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명시적 태도 측정과 더불어 암묵적 태도 측정 조사를 병행하여 어린이의 연령차별적 태도에 대해 입체적인 이해를 시도하였다. 명시적 태도는 기존연구들에서 사용하는 방식의 자기기입식 조사인 선호도척도, 웃는 얼굴 5점 척도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암묵적 태도는 아동용 암묵적 연령 연합검사(Children Implicit Age-association Test)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의 초등학교 4~6학년 초등학생 503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기술통계, t-test, 일원분산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의 노인에 대한 명시적 태도와 암묵적 태도에 차이가 발견되어, 노인에 대한 암묵적 태도는 뚜렷한 부정성을 보였으나 명시적 태도는 그보다 낮은 부정적 성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 이미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내면화 하였다는 점, 그러나 편견에 대한 교육, 효 사상 등에 기인하는 사회적 바람직성의 영향으로 인해 명시적 태도 표현이 조절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암묵적 태도와 명시적 태도간의 차이는 명시적 태도의 측정 방식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과 비노인 집단에 대해 독립적으로 응답이 가능한 측정에서는 중립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 독립적인 응답이 불가능한 양자택일의 상황이 주어진 경우에는 노인에 대한 상대적인 선호가 낮은 경향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노인에 대한 연령차별적 태도 측정방식의 정교화와 다양화가 요구됨을 의미한다. 또한 아동의 노인에 대한 명시적 태도와 암묵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탐색과 함께,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등 보다 어린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