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among Potential Job-related Risks, Emotional Dissona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at Long-term Care Facilities :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장기요양기관 내 위험발생가능성, 감정부조화가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현정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엄명용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10.31
  • Accepted : 2017.12.08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otential job-related risks,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at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outh Korea, and to explore the potential mediator role of burnout in this association. For the study, survey data of 434 caregivers at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level of caregivers'perception of the potential job-related risks led to increased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Second, caregivers'burnou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the potential job-related risks on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more caregivers experience emotional dissonanc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caregivers'burnout. On the other hand, emotional dissonance of caregivers did not give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Burnou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Lastly, the more caregivers experience burnout, the higher possibility of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s suggested possible intervention methods as well as preventive measures to reduce the turnover of caregivers at long-term care facilities.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인 장기요양기관 내 위험발생가능성과 감정부조화가 요양보호사의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살펴봄과 동시에 스트레스요인들이 소진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여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대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434명에 대한 설문조사자료가 수집되었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가 위험발생가능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소진과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기요양기관 내 위험발생가능성은 소진을 매개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위험발생가능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고 소진은 두 변수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부조화 현상이 증가할수록 소진의 정도는 높아졌으나 감정부조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부조화와 이직의도사이에서 소진의 완전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넷째, 요양보호사가 경험하는 소진현상이 증가할수록 이직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Cited by

  1.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ulticultural youth on learning adaptation: Focusing on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vol.25, pp.4, 2020, https://doi.org/10.9708/jksci.2020.25.04.197
  2.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and Care Support for Multicultural Youth and Teacher Relations,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Determination vol.25, pp.5, 2017, https://doi.org/10.9708/jksci.2020.25.05.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