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a Floor Plan of 「Donggwoldo(東闕圖)」 through the Use of Rubber Sheeting Transformation - With a Focus on the Surroundings near the Geumcheongyo Bridge in Changdeokgung Palace -

러버쉬팅변환을 통한 「동궐도(東闕圖)」의 평면도 제작 가능성 연구 - 창덕궁 금천교 주변을 중심으로 -

  • Lee, Jae-Yong (Dept.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Young-Mo (Dept.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이재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김영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17.09.27
  • Accepted : 2017.11.08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produce the floor plan of the surroundings near Geumcheongyo Bridge in Changdeokgung Palace of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use of rubber sheeting transformation based on the drawing principles of "Donggwoldo(東闕圖)". First, the study compared the actual sizes of the major buildings that have existed since the production of "Donggwoldo(東闕圖)" with the sizes depicted in the picture to reveal that the front elevation of the buildings was produced by reducing it by approximately 1/200. However, the study could not confirm the same production proportions for the side elevation. Only the lengths of the side elevation were depicted at around half of the actual proportions, and as the diagonal line angles were found to be at an average of $39^{\circ}$, the study confirmed they were drawn in a manner similar to cabinet projection. Second, the study created an obliquely projected floor plan by inversely shadowing the drawing principles of "Donggwoldo(東闕圖)" and produced a floor plan of the surroundings near Geumcheongyo Bridge in Changdeokgung Palace through the use of rubber sheeting transformation. Projective transformation was confirmed as most suitable during the transformation, and with standard error of 2.1208m, the relatively high accuracy of the transformation shows that the production of a floor plan for "Donggwoldo(東闕圖)" is significant. Furthermore, it implies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floor plans for various documentary paintings produced using the paralleled oblique drawing method in addition to "Donggwoldo(東闕圖)". Third, the study evaluated the accuracy of the spati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roduced floor plan by comparing the three items of Geumcheongyo Bridge location, Geumcheongyo Bridge and Jinseonmun Gate arrangement, and Geumcheon stone embankment location. The result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floor plan as a useful tool which helps understand the appearance of the surroundings at the time of "Donggwoldo(東闕圖)" production because it is parallel to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Geumcheongyo Bridge and its contex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spatial information recorded in "Donggwoldo(東闕圖)" by applying rubber sheeting transformation and consequently in that it presents a new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appearance of the East Palace of the Late Joseon Period.

본고는 "동궐도(東闕圖)"의 작도원리를 기반으로 러버쉬팅변환(Rubber Sheeting Transformation)을 통해 조선후기 창덕궁 금천교 주변의 평면도 제작을 시도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궐도(東闕圖)" 제작 당시부터 현존하는 주요 전각의 실제 크기와 그림에 묘사된 크기를 비교하여 전각의 정입면이 약 1/200으로 축소되어 작성되었음을 밝혀냈다. 그러나 측입면에서는 동일한 제작 비율이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측입면의 길이가 실제의 약 절반 정도로 그려지고, 사선 각도가 평균 $39^{\circ}$로 파악됨에 따라 캐비닛 투영(Cabinet Projection)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동궐도(東闕圖)"의 작도 원리를 역추적하여 "사투영평면도"를 작성하고 러버쉬팅변환을 통해 "동궐도(東闕圖)"의 창덕궁금천교 주변 평면도를 제작하였다. 변환 시 투영변환(projective transformation)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표준 오차는 2.1208m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나타냄으로써 "동궐도(東闕圖)"의 평면도 제작이 유의미하였다. 이는 "동궐도(東闕圖)"뿐만 아니라 평행사선도법으로 작성된 각종 기록화의 평면도 제작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작성된 평면도가 제공하는 공간 정보의 정확성을 검토하기 위해 금천교의 위치, 금천교와 진선문의 배치, 금천의 석축 위치를 시기에 따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작성된 평면도의 내용이 금천교 발굴조사결과와 그 맥락을 함께 함으로써 러버쉬팅변환이 "동궐도(東闕圖)" 제작 당시 모습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러버쉬팅변환을 적용하여 "동궐도(東闕圖)"에 수록된 공간정보를 2차원 평면도로 제작하기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조선후기 동궐의 모습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서연, 2006, 京畿監營圖로 본 韓國建築圖法의 특징,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84-90
  2. 고려대학교박물관.동아대학교박물관, 2012, 동궐 특별전시 도록, p.21
  3. 국립고궁박물관, 2011, 조선왕실의 건축 창덕궁 학술연구, p.21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창덕궁 금천교 발굴조사 보고서, p.37, pp.149-171
  5. 김완, 2012, 동궐도(東闕圖)의 도상(圖像) 해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30
  6. 김왕직.김홍식, 1998, 朝鮮時代 建築 配置圖의 圖法과 思想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7권 2호, pp.91-112
  7. 김현준.심우경, 2007, 동궐도(東闕圖)에 나타난 식재 현황 및 특징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41-154
  8. 문화재관리국, 1998, 창덕궁 인정전 실측조사보고서, pp.119-120
  9. 문화재관리국, 1987, 창경궁 중건보고서(도판), 도면 27-32
  10. 문화재청, 2016, 동궐(창덕궁, 창경궁)의 주요 식생 분석 및 가림시설 원형고증 연구, pp.29-34
  11. 문화재청, 2016, 창덕궁 주합루 정밀실측보고서, p.32, 108
  12. 문화재청, 2015, 창경궁 양화당 해체보수공사 수리보고서, p.40, 52
  13. 문화재청, 2015, 창덕궁 돈화문 정밀구조안전진단 보고서, pp.25-33
  14. 문화재청, 2010, 창경궁 환경전 보수공사, p.44, 49
  15. 문화재청, 2002, 창덕궁, 종묘 원유(苑囿), p.47-48
  16. 박재산.한동수, 2013, 동궐도와 동궐도형의 비교연구 - 침전과 편전영역의 문의 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36-137
  17. 손신영, 1995, 東闕圖를 통해 본 昌德宮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9-60
  18. 송인호, 2002, 四方顚倒描法 硏究 - 宿踐諸衙圖를 중심으로 - 건축역사연구 제11권 3호, pp.105-120
  19. 안휘준, 1997, 옛 궁궐 그림, 대원사, pp.32-67
  20. 양신, 1999, 중국 회화사 삼천년, 학고재, p.102
  21. 우주선, 2005, 동궐도(東闕圖)를 통해 본 창덕궁(昌德宮) 외부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7-37
  22. 이강근, 2014, 근대기 창덕궁 건축의 변천에 대한 연구 강좌미술사 42권 42호, pp.26-27
  23. 이동규, 1999, 東闕圖분석을 통한 조선후기 再現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7-58
  24. 이선.배상원, 2005, 창덕궁 노거수의 수령 측정 및 생육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제23권 제2호, pp.19-35
  25. 정용재, 2003, 동궐도의 창경궁분석을 통한 평행사선도법과 그 표현에 관한 연구 문명연지 제4권 제2호, pp.89-112
  26.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근대건축도면집 - 해설편 -, pp.42-44
  27. 동궐도(東闕圖), 19세기,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28. 창덕궁평면도(昌德宮平面圖), 일제강점기, 장서각 소장
  29. Arnoud De, B., Leen, B., Sandor, S., and Hans, V., 2011, 'Virtual Historical Landscapes', Exploring the Visual Landscapes, Research in Urbanism Series Vol.2, pp.185-203
  30. Arnoud De, B., 2010, 'Processing old maps and drawings to create virtual historic landscapes', e-Perimetron, International Web Journal on Sciences and Technologies affined to History of Cartography and MapsVol.5(2), pp.49-57
  31. Bernhard J., Adrian W., and Lorenz H., 2007, 'Visualizing the Planimetric Accuracy of Historical Maps with MapAnalyst', Cartographica, International Cartographic Association Vol.42(1), pp.89-94
  32. Balletti, C., 2000, 'Analytical and quantitative methods for the analysis of the geometrical content of historical cartography',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Amsterdam Vol.33 Part B5, pp.30-37
  33. Fuse, T., Shimizu, E. and Morichi, S., 1998, 'A study on geometric correction of historical maps',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Hakodate Vol.32 Part5, pp.543-548
  34. Shekhar, S., Xiong, H., 2008, Encyclopedia of GIS, Springer, p.129, 885, 1002
  35. Shimizu, E., Fuse, T., 2003, 'Rubber-sheeting of historical maps in GIS and its application to landscape visualization of old-time cities: focusing on Tokyo of the past'In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in Urban Planning and Urban Management Vol.11(1), pp.1-8
  36. http://www.esri.com
  37. http://www.tilemapeditor.com